목차
1. 협동학습
2. 협동학습의 4가지 원리
1) P:Positive Interdependence(긍정적인 상호의존)
2) I: Individual Accountability(개인적인 책무성)
3) E: Equal Participation(동등한 참여)
4) S:Simultaneous Interaction (동시다발적 상호작용)
3. 협동학습의 원리와 전통적 소집단 학습과 다른 점
4.협동학습의 대표적인 수업모형
(1) .Jigsaw 모형
1) 전문가 학습 모형(직소 Ⅱ)의 개념
2) 모형의 절차
3) 모형의 장점
4) 모형의 단점
(2) STAD (Student Teams-Achievement Division)
1) STAD 팀의 구성 방법
2) STAD 학습 활동 방법
3) 팀 점수의 계산
4) 팀 점수의 게시와 보상
5) STAD 평가의 장점
(3) 교사가 소집단 활동을 격려하기 위한 규칙의 보기
2. 협동학습의 4가지 원리
1) P:Positive Interdependence(긍정적인 상호의존)
2) I: Individual Accountability(개인적인 책무성)
3) E: Equal Participation(동등한 참여)
4) S:Simultaneous Interaction (동시다발적 상호작용)
3. 협동학습의 원리와 전통적 소집단 학습과 다른 점
4.협동학습의 대표적인 수업모형
(1) .Jigsaw 모형
1) 전문가 학습 모형(직소 Ⅱ)의 개념
2) 모형의 절차
3) 모형의 장점
4) 모형의 단점
(2) STAD (Student Teams-Achievement Division)
1) STAD 팀의 구성 방법
2) STAD 학습 활동 방법
3) 팀 점수의 계산
4) 팀 점수의 게시와 보상
5) STAD 평가의 장점
(3) 교사가 소집단 활동을 격려하기 위한 규칙의 보기
본문내용
기존의 누적된 기본 점수와 이번 평가 점수를 합한 것의 평균이 그 학습자의 능력을 정확히 나타낼 뿐만 아니라 향상 점수를 한꺼번에 많이 얻기 위해서 허위로 답안을 작성하는 행위를 막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향상 점수로 팀 점수를 계산하는 것은 모든 학습자가 보상의 기회를 동일하게 갖게 됨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경쟁이 아니라 자신과의 경쟁을 하게 함으로써 인지적으로나 정의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얻게 한다.
4) 팀 점수의 게시와 보상
평가가 끝났을 때 최대한 빨리 점수를 발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교사는 두 가지 방식으로 보상을 주게 되는데 하나는 우수 팀에 대한 시상이고 또 하나는 팀 점수를 게시판에 공고하는 것이다. 팀에 대한 시상은 보통 일정 기준을 넘은 팀에게는 칭호를 주거나 칭찬을 해 주거나 상표를 주는 방법을 사용한다. 가능한 많은 팀을 시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STAD 평가의 장점
STAD의 독특한 보상 체계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모든 학습자는 최고의 점수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이 모형에서는 퀴즈에서 얻는 절대 점수보다는 기본 점수와 퀴즈 점수를 비교한 향상 점수로 평가와 보상을 하기 때문에 학업 능력이 낮은 학습자들도 최고 점수(앞의 예에 의하면 30점)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학업 능력이 낮은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향상 점수는 모든 학생이 학습 의욕과 용기를 갖도록 하는 것이 주목적이므로 후하게 부여하여 대부분의 학생이 향상 점수를 받을 수 있도록 배려한다. 둘째는 모든 학습자가 동일한 보상 기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즉 경쟁 학습 구조에서와 같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누구나 팀의 보상을 통하여 보상받을 기회가 열려 있다. 따라서 대다수의 학습자들이 긍정적 학습 동기를 갖게 된다.
(3) 교사가 소집단 활동을 격려하기 위한 규칙의 보기
o 각자는 자기 소집단의 구성원들이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는데 책임을 져야한다.
o 모든 구성원이 과제를 다 해결할 때까지 소집단 활동을 끝내서는 안된다.
o 과제가 어려워서 해결되지 않을 경우, 소집단내에서 최대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도저히 해결되지 않을 때에만 교사에게 질문한다. 이때에는 소집단 구성원 모두가 함께 손을 들어 표시한다.
o 소집단 활동은 다른 소집단을 방해하지 말아야 한다. 10인치 목소리, 즉 낮은 목소리로 토론할 것을 요구한다.
* 모둠수보다 적은 학습과제지 나누어주기-같이 보도록
*소집단 활동에 필요한 것은 무엇이고 각자 소집단의 성공을 위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적게함
참고문헌 ----------------------------------------------
1.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2.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변영계, 김영환 공저,1999, 학지사.
3. 교수방법론, 이성호 지음, 1999, 학지사
4. 교수·학습방법의 이론과 실제(Ⅱ), 박성익 지음, 1997, 교육과학사
5. 열린 교육을 위한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4) 팀 점수의 게시와 보상
평가가 끝났을 때 최대한 빨리 점수를 발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교사는 두 가지 방식으로 보상을 주게 되는데 하나는 우수 팀에 대한 시상이고 또 하나는 팀 점수를 게시판에 공고하는 것이다. 팀에 대한 시상은 보통 일정 기준을 넘은 팀에게는 칭호를 주거나 칭찬을 해 주거나 상표를 주는 방법을 사용한다. 가능한 많은 팀을 시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STAD 평가의 장점
STAD의 독특한 보상 체계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모든 학습자는 최고의 점수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이 모형에서는 퀴즈에서 얻는 절대 점수보다는 기본 점수와 퀴즈 점수를 비교한 향상 점수로 평가와 보상을 하기 때문에 학업 능력이 낮은 학습자들도 최고 점수(앞의 예에 의하면 30점)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학업 능력이 낮은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향상 점수는 모든 학생이 학습 의욕과 용기를 갖도록 하는 것이 주목적이므로 후하게 부여하여 대부분의 학생이 향상 점수를 받을 수 있도록 배려한다. 둘째는 모든 학습자가 동일한 보상 기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즉 경쟁 학습 구조에서와 같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누구나 팀의 보상을 통하여 보상받을 기회가 열려 있다. 따라서 대다수의 학습자들이 긍정적 학습 동기를 갖게 된다.
(3) 교사가 소집단 활동을 격려하기 위한 규칙의 보기
o 각자는 자기 소집단의 구성원들이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는데 책임을 져야한다.
o 모든 구성원이 과제를 다 해결할 때까지 소집단 활동을 끝내서는 안된다.
o 과제가 어려워서 해결되지 않을 경우, 소집단내에서 최대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도저히 해결되지 않을 때에만 교사에게 질문한다. 이때에는 소집단 구성원 모두가 함께 손을 들어 표시한다.
o 소집단 활동은 다른 소집단을 방해하지 말아야 한다. 10인치 목소리, 즉 낮은 목소리로 토론할 것을 요구한다.
* 모둠수보다 적은 학습과제지 나누어주기-같이 보도록
*소집단 활동에 필요한 것은 무엇이고 각자 소집단의 성공을 위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적게함
참고문헌 ----------------------------------------------
1.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2.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변영계, 김영환 공저,1999, 학지사.
3. 교수방법론, 이성호 지음, 1999, 학지사
4. 교수·학습방법의 이론과 실제(Ⅱ), 박성익 지음, 1997, 교육과학사
5. 열린 교육을 위한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추천자료
교수학습 - 개념학습, 발문교수, 탐구학습, 협동학습
인터넷 활용수업의 특징과 인터넷을 통한 협동학습에 관한 고찰
[장애인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의의, 장애인통합교육의 필요성, 장애인통합교육의 배경, ...
학업성취(학업성취도)와 교사질문, 학업성취(학업성취도)와 협동학습, 선수학습, 학업성취(학...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의 개념,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의 특성, 자기주도적학습능력의 중요성, 자기...
[비고츠키, 구성주의, 협동학습] 비고츠키의 구성주의 학습이론과 협동학습에 대하여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 말과 수놀이학습,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 문제해결협동학습...
활동중심학습(수업)프로그램 사례, 통일협동학습(수업)프로그램 사례, 자기주도적학습(수업)...
[영유아교수방법]교수학습유형 4가지(개념학습, 탐구학습, 협동학습, 토의학습)중 현재 우리...
세계사 교재화 연구(박물관 견학을 활용한 프로젝트 협동학습)
[협동놀이][협동게임][협동][놀이][게임][협동놀이 특징][협동학습][정신지체아교육]협동놀이...
다양한 교수학습유형에 대하여 설명하고 각 유형에 맞는 만5세 유아용 활동계획안을 제시하여...
유아과학교육_ 유아과학교육의 교수-학습방법 (탐구-발견적 방법, 구성주의적 교수-학습방법,...
영유아 교수법의 교수유형 (설명법, 개념학습법, 탐구학습법, 문제 중심 학습법, 협동학습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