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개혁과 대학평준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장 서론
제 1절 문제제기
제 2절 연구의 목적
제 3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 2장 우리 교육의 현실과 원인
제 1절 우리 교육의 현실
제 2절 문제의 원인

제 3장 대학 평준화의 문제
제 1절 대학평준화의 의의
제 2절 실효성의 여부
제 3절 대학평준화의 한계와 개선방안
Ⅰ. 평준화의 한계
Ⅱ. 개선방안

목 차(2)

제 4장 우리 교육이 나아갈 방향
제 1절 직접적 대책
Ⅰ. 대학입시제도의 개편
Ⅱ. 고등교육체제 개편
Ⅲ. 고등학교 교육체제의 개선
제 2절 간접적 대책

제 5장 결론
제 1절 본문의 요약
제 2절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비스는 시장에 맡겨 두면, 공급자와 수요자가 필요한 만큼 생산하고 공급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시장의 원리가 작동하면 가격도 적절한 수준에서 결정된다. 정부는 교육의 질만 유지하면 된다.
第 4章 우리 敎育이 나아갈 方向
앞의 내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우리의 교육은 입시위주의 교육이다. 모든 문제는 바로 거기에 있는 것이다. 입시위주의 교육이란 학교교육이 본질적으로 추구해야할 교육가치를 실현하기 보다는 상급학교 진학준비를 위하여 과열 교육경쟁이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급학교진학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현재의 교육경쟁이 비교육적 경쟁, 다시 말하면 의미없는 경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입시위주교육이 해소된 모습이란 교육경쟁이 의미있는 경쟁으로 전환된 것을 말하는 것이다. 교육경쟁을 의미있는 경쟁으로 전환시키는 방안은 경쟁 그 자체를 변화시키는 직접적 대책과 경쟁의 환경과 조건을 바꿈으로서 경쟁의 모습을 변화시키는 간접적 대책으로 구분지을 수 있다.
第 1節 直接的 對策
Ⅰ. 大學入試制度의 改編
고등학교에서는 본래의 교육적 기능을 통하여 학생들의 진로를 선별해주지 못하고 있고, 고등교육 또는 계속교육 차원에서는 개개인의 진정한 자아실현과 산업사회의 노동수요에 일치하는 교육기회가 제공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대입제도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대학공급을 개방화하되 고등학교에서 대학교육수요를 양적으로 분산시키는 동시에 질적으로 통제하는 교육적 기능과 역할을 기본적으로 수행해야 한다는 전제하에서 출발해야 한다. 즉, 고등학교에서는 대학입시제도와 관계없이 고등학교의 교육적 기능과 역할을 통하여 학생들의 대학진학 자격여부를 판정함으로써 대학교육 수요를 조정하는 책임과 권한을 갖도록 하고, 주어진 대학진학자격을 가진 대학교육 희망자 가운데서 학생을 선발하는 기능은 대학의 고유한 책임과 권한으로 하자는 것이 장기적 개선안의 기본골자이다.
Ⅱ. 高等敎育體制 改編
입시위주교육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등교육의 총량적인 기회를 기본적으로 늘리되, 전통적인 학문중심의 대학보다는 비전통적이고, 직업지향적인 대학의 기회를 확충하고, 그러한 유형의 교육을 내실화함으로써 유인가를 높여 진학수요를 분산사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말하자면 4년제 대학에 집중되고 있는 진학수요를 공간적으로는 고등교육기관유형간의 기능분화와 특성화를 통해 여러 곳에 분산·수용하고, 개개인의 일생에 걸쳐 고등교육에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음으로써 고등학교 직후 일시에 몰리는 진학수요를 시간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Ⅲ. 高等學校 敎育體制의 改善
첫째, 고등학교 종류를 다양화하고 그 운영을 탄력화 한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의 종류를 일반고교, 실업고교, 특수목적고교, 종합고교, 고등전문학교로 다양화하여 학생의 진로선택을 다변화 하고, 학교 간 학생이동을 유연화 시켜 진로변경이 용이하도록 하며, 진로지도체제의 구축을 통해 진로탐색과정을 운영하고 진로상담체제를 강화하며 학교별 진로지도위원회를 상설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둘째, 직업교육 중심의 고교체제를 확충한다. 일반계 고교의 직업 과정을 확대하여 비진학 일반계 고교생의 진로를 열어주고, 실업계 고교의 수용능력 확대를 위해 실업계 고교의 신설·증설을 유도하고 정부의 지원을 강화하며, 실업계 고교의 계열구분을 폐지하여 다양한 고육과정 운영의 길을 열어놓고 이들 학교의 교육여건을 개선하며 장학금 제도 등을 확대하며 실업계 고교의 유인가를 높이며, 직업교육 협력 체제를 구축하여 막대한 재정소요를 절감한다.
第 2節 間接的 對策-入試爲主敎育의 敎育外的 解消對策
첫째, 고학력 주의와 과열경쟁의 완화를 위하여 대학졸업이 행복한 사회생활에 있어 절대적으로 필요한 무기이며 가치있는 삶을 살기위한 유일한 방편이라는 인식을 불식시키기 위한 적정한 사회교육방법을 모색한다.
둘째, 경제계의 인력활용은 입시위주교육문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지는 않으나 실제로 직접적인 요인들보다 더 의미있는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고학력주의를 부채질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고용 관행의 적정유도를 위하여 채용에 있어 선입관과 고정관념을 탈피하고 공정한 기준을 활용토록 해야 하고 학력간 임금격차를 없애야 한다.
第 5章 結論
第 1節 本文의 要約
이상이 우리나라의 교육의 현실이고 또 앞으로의 우리교육의 이상이다. 이러한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해야하는 원인에는 오직 한 가지 이유만이 있을 뿐이다. 그것은 바로 우리의 사회현실인 것이다. 우리의 사회현실이 나이어린 학생들에게 대학에 들어가야 한다고 소리 없이 외치고 있는 것이다." 대학을 나와야만 사람대접을 받을 수 있다."에서부터 시작해서 취직을 할 때에도 학력에 차별을 두고 임금에서도 차별을 둔다. 만약 우리사회가 대학교수나 의사·변호사보다 청소부·노동자에게 더 많은 임금을 준다면 누가 대학을 나오려고 할 것인가. 심지어 결혼조차도 학력은 좌우된다. 대학을 나오지 않으면 제대로 결혼할 수 없는 것이 우리사회인 것이다.
私學非理, 치맛바람, 학교수업 무시 등등은 바로 사회가 벌여놓은 것이다. 교육부에서 수십 번씩 입시 제도를 바꾼다 해도 문제는 항상 생기게 마련인 것이다. 따라서, 교육개혁은 즉 사회개혁, 사람들의 사고방식변화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본다.
第 2節 硏究의 限界
아직은 논문 쓰는 방식에 익숙지 않아 용어의 선택 및 문장의 흐름이 보고서 수준에서 벗어나지 않는 점이 못내 아쉽다. 그리고 교육개혁에 관한 각종 참고문헌을 그다지 참고하지 못한 점도 아쉽다. 시간의 탓으로 돌리기엔 지나치게 많은 시일이 흐른 까닭이다. 그리고 대학 평준화에 대한 자료가 단행본을 제외하고 인터넷 자료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는 점이 검색의 편리성 면에서 불편했던 점으로 지적된다.
이번 논문 집필의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는 보다 더 논리적인 글을 전개할 것을 다짐하며 이만 글을 줄인다.
參考文獻
입시위주교육의 실상과 대책, 한국교육개발원, 1994
교육의 본연을 찾아서-입시와 입시교육의 개혁-,鄭範謨 外, 나남출판사, 1996
교육사회학, 김신일, 교육과학사, 1994
각종 인터넷 자료, 조선일보, 중앙일보 홈페이지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4.04.05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58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