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창시자 박중빈과 원불교 출현의 시대 사상적 배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불교 창시자 박중빈과 원불교 출현의 시대 사상적 배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머리말
1. 원불교 창교의 역사적 배경 - 국제적 상황-
2. 원불교 창교와 상호관계
3. 원불교 창교의 역사적 배경 -국내적 상황-
4. 실학사상의 한계와 동학의 창도
5. 동학혁명의 실패와 원불교 창교
6. 사상적 배경
7. 맺은말

본문내용

사상이라고 말하는소이인 것이다.
3.기독교의 종말론과 메시아
성경에 기록된 종말사상은 기독교의 중요한 교리중의 하나로 억압당하고 지배받는 백성들 속에서는 어느때 어느곳을 막론하여 크게 영향을 주었던 사상인 것이다. 한국에 기독교가 전래된것은 1700년댜 후반이었으나 그뒤 100여년간은 갖은 박해를 당하고 많은 순교자를 배출하면서 꾸준하게 이땅에 뿌리를 내렸던 것이다. 기독교가 이땅에서 박해를 받은 원인은 사상적 배경 사회적 배경 정치적 배경등으로 인한 것이었지만 이땅에 토착하게된중요한 원인중의 하나가 혼란의 극에 달했던 구한말 당시 사회배경에 힘입은 바 컸다고 생각되는 것이다.
4.불교의 말법사상과 미륵불
불설미륵하생경, 불설미륵하생성불경, 불설미륵대성불경, 불설미륵래시경 불설미륵보살상생도설천경등에 보면 용화회상에 미륵불이 탄생하여 그때의 세계는 살기 좋은 이상의 선경이 이루어지는 새대임을 밝히고 있다. 불멸후 정법천년 상법천년 말법천년이 지내고 나면 미륵불이 탄생하게 된다는 것이다. 불멸후 일정기간은 교행증의 삼요소가 구배되어 사람들이 불의 교에 따라 수행하면 증과를 얻는 정법시대가 지내고 다음에는 교와 행은 있어도 증과가 없는 상법의 새대, 그리고 교만 있고 수행도 증과도 없어인심은 극악하고 악한 일들이 횡횡하는 말법시대가 된다. 이 말법시대가 지내고 나면 미극불이 탄생한다는 것이다.... 더시의 세계는 사시의 기후가 화창하고 사람들은 병이 없으며 탐하고 성내고 어리석은 사람이 없으며 모두가 평등하고 사이좋게 사는세계가된다. 그때 사람들은 얼굴이 도화색같이 곱고 사람이 모두경중하며 대소변까지도 간단하게 처리하며 곡식인 풍부하고금은보석이 땅에 떨어져 있으나 욕심내는 사람이 없다. 도시가 많이 생겨 큰 닭이 날아다닐 정도로 즐비하게 늘어서고 그때 사람들의 수명은 극히 길고 병이 없어 8만 4천세나 되며 여자는 5백세가 되어야 출가를한다.
5. 괴질과 후천개벽사상
조선말 180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사회적 불안과 거듭되는 난세는 현실부정과 미래의 선경을 그리는 또 한 유형의 사상이 대두된다. 소의 괴질에 의한 세상의 종말과 후천선경에 대한 동경이다. 이 사상은 김항 최제우 강일순에 의해두두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괴질'이란 전대미문의 대병란이 세상을 크게한번 휩쓸고 지나가리라는 것이며 "개벽"이란 言天地之初開也 天開地闢이라 하여 하늘이 처음 열림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우주가 처음 시작한 것을 선천개벽이요 이제 닦아올 새 우주가 열릴때를 후천개벽이라 부른것이다. 이것은 일종의 운도설에 의한 역사이해의 한 방법으로 어떤 시점을 깆ㄴ으로 하여 선후천을 구분하고 선후천이 교역하여 커다란 변화가 이루어진다고 보는 사상이다.
6. 남조선 신앙과 정감록
조선중엽 이후부터 민간사이에 이상화 되었던 또 하나의 신앙이 있었다. 남조선신앙이라는 이상세계에 대한 산앙인 것이다. 이것은 미레의 영원한 조선을 뜻하는 말이며 현실세계에서 그들의 의욕과 욕망을 충족시킬 수 없는 민간인과 사상가에 의하여 관념적으로 여러가지 선경비향을 설정하여 왔던 것이다. 그러다가 근세에 이르러 연달은 내우외환과 위정자의 미책무능으로 말미암은 현실계의 염오는 점차 초현실적 관념의 세계로 전향하여 희망을 미래에 두는이상사회를 구상화 하기에 이르게 된 것이다.
우리들의 현실은 고통과 역경 속에 있지만 머지않은 장래에 우리앞에 진인인 나타나서 우리를 이상세계로 인도하여 거기에서 이상적인 안락의 생활을 할 수 있게 되리라는 것이다.
맺음말
개화기 일제하를 거쳐 해방이후 한국사의 전개는 세계 어느나라도 겪지 아니하는 우리만의 특수한 여건 속에서 이루어졌다. 특수한 여건이란 첫째가 분단의 고착화와 분단의식의 심화요 둘째는 자본주의의 한국적 전개가 그것이다. 분단이 40년이상 지속되면서 우리에게는 분단의식이 심화되어 민족족 동질성이 파괴되어왔고 민주주의 실현이 제한되어 왔으며, 사화 속에서 전개되면서 빈부의 격차를 심화시켜 왔으며, 한국경제의 대외종속성을 가속화시켰다. 이같은 오늘의 한국사회 상황은 한국 근대 개화기 일제하에 당시 한국사회의 역사적 사회적 과제 해결을 위해 종교적 형태로 출발했던 원불교의 민족운동의 새로운 전개와 사상적 재창조작업을 요구하는 상황이라 말해도 좋을 것이다. 다시 말하여 현대의 한국사회상황은 원불교사상이 기반으로 삼고 있는 민족주체사상의 새로운 전개 -민죽 문제해결을 위해 민족의 현실에 적극적으로 응답해야 한다를 통해 민족사의 과제 해결에 적극 동참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 가격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5.05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88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