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_ 1. 서
_ 2. 확인의 이익의 기준
_ (1) 청구적격
_ (2) 당사자적격
_ (3) 확인의 이익(즉시확정의 이익)
_ (4) 가장 유효적절한 수단일 것
_ (5) 증서진부확인의 소에 있어서 소의 이익
_ (6) 중간확인의 소에 있어서 소의 이익
_ 2. 확인의 이익의 기준
_ (1) 청구적격
_ (2) 당사자적격
_ (3) 확인의 이익(즉시확정의 이익)
_ (4) 가장 유효적절한 수단일 것
_ (5) 증서진부확인의 소에 있어서 소의 이익
_ (6) 중간확인의 소에 있어서 소의 이익
본문내용
成權 내지 形成原因의 確認의 訴는 許容되지 아니한다는데 대하여는 異論이 없다. 그것은 이 경우에 確認判決을 받더라도 당해 紛爭이 解決되지 아니하고 그대로 남게 되기 때문이다.
_ 나) 바로 履行의 訴를 提起할 수 있는데도 이에 가름하여 請求權確認의 訴를 提起하는 것은 許容되지 아니한다. 그것은 履行判決을 받아야 强制履行도 可能하므로 紛爭解決의 手段으로는 履行의 訴가 가장 適切하므로 確認의 訴는 訴의 利益을 欠缺하게 된다.
_ 다) 一般理論으로 所有權의 歸屬에 관하여 다툼이 있는 경우에는 自己의 所有權의 積極的確認을 구하여야 하고 相對方의 所有權의 消極的確認을 구하는 것은 有效適切하지 아니하다. 所有權의 積極的確認이 拔本的紛爭解決方法이기 때문이다.
_ 라) 基本인 所有權과 그 支分權인 物上請求權(明渡請求權 또는 登記抹消請求權)과의 관계에 관해서는 物上請求權에 의한 履行訴訟이 認定되는 경우에도 基本인 所有權에 관하여 確認訴訟을 提起할 수 있다.
_ 그것은 明渡請求 또는 登記抹消請求에 관하여 履行의 勝訴判決을 받더라도 당연히 基本인 所有權에 관한 確認判決을 獲得한 것이 아니므로 基本인 所有權에 대하여 旣判力을 얻기 위하여 確認의 訴를 提起하는 것은 許容된다.
_ 나) 바로 履行의 訴를 提起할 수 있는데도 이에 가름하여 請求權確認의 訴를 提起하는 것은 許容되지 아니한다. 그것은 履行判決을 받아야 强制履行도 可能하므로 紛爭解決의 手段으로는 履行의 訴가 가장 適切하므로 確認의 訴는 訴의 利益을 欠缺하게 된다.
_ 다) 一般理論으로 所有權의 歸屬에 관하여 다툼이 있는 경우에는 自己의 所有權의 積極的確認을 구하여야 하고 相對方의 所有權의 消極的確認을 구하는 것은 有效適切하지 아니하다. 所有權의 積極的確認이 拔本的紛爭解決方法이기 때문이다.
_ 라) 基本인 所有權과 그 支分權인 物上請求權(明渡請求權 또는 登記抹消請求權)과의 관계에 관해서는 物上請求權에 의한 履行訴訟이 認定되는 경우에도 基本인 所有權에 관하여 確認訴訟을 提起할 수 있다.
_ 그것은 明渡請求 또는 登記抹消請求에 관하여 履行의 勝訴判決을 받더라도 당연히 基本인 所有權에 관한 確認判決을 獲得한 것이 아니므로 基本인 所有權에 대하여 旣判力을 얻기 위하여 確認의 訴를 提起하는 것은 許容된다.
추천자료
취소소송 이익과 집행정지
사물관할과 소송물의 가액
골프장 건설의 이익과 문제점 및 바람직한 대책
민사소송법핵심정리
[시화호 오염][갯벌][간척사업]시화호 오염을 통해 본 갯벌의 중요성과 간척사업의 역기능에 ...
민소법상 당사자적격
단체협약의 개정에 의한 구 단체협약상 근로조건의 불이익변경과 단체협약·취업규칙 사이의 ...
국가이익과 국위선양을 위한 태권도의 역할 분석
부당해고 구제시 법적 효과
부당해고 구제 등 전반에 대한 법적 연구
민소법상 소송에서의 중복 소제기의 금지
국제중 찬반의견과 이익집단
2013년 1학기 부동산법제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경매의권리분석에서의 유치권)
[성사랑사회B형] 참고도서 기지촌의 그늘을 넘어 읽고 “페미니즘의 의미를 단지 여성의 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