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y~=~0.003``m
sigma
(N/m ^{2})
5722500
11445000
17167500
22890000
28612500
34335000
40057500
45780000
51502500
E``(GN`/`m ^{2} )
178.828
173.409
178.828
178.828
178.828
178.828
178.828
178.828
176.378
평 균
nu
= 0.304 ,
E
=
177.953~GN/m ^{2}
최소자승법
E
=
177.962`GN/m ^{2}
■■ 측정값과 오차값의 비교
추무게(kg)
1
2
3
4
5
6
7
8
9
참 값(
GN`/`m ^{2}
)
210
210
210
210
210
210
210
210
210
측정값(
GN`/`m ^{2}
)
178.828
173.409
178.828
178.828
178.828
178.828
178.828
178.828
176.378
오차(%)
14.8
17.4
14.8
14.8
14.8
14.8
14.8
14.8
16
평균오차(%)
15.3
■■ 오차의 원인
① 부재에 Strain Gage 부착 시 부정확한 위치로 인한 오차
- 본드로 부착 시 약간 미끄러짐
② 추 걸이에 추를 걸때 부재의 이동에 의한 오차
③ 테이블의 평형상태에 따른 오차
④ 부재의
E
가
200`GN/m ^{2}
의 값을 가지는지에 대한 의문
- 사용한 부재의
E
값이
195 SIM 220`GN/m ^{2}
의 범위에서 가지는 정확한 값의 도출이 어렵다.
⑤ 추 걸이의 있는 추 무게의 시간이 지남에 따른 변위의 증가에 따른 오차
- 같은 무게에서 측정기가 2~3번 이상 측정하면 다른 값이 나온다.
⑥ 부재의 표면정리로 인한 오차
-
I
의 값은 균일단면보이나 실제로 표면정리(사포질)로 인한 표면의 미세한 고저가 생긴다.
■■ 실험을 통한 느낌...
어떤 보에 집중하중을 작용하면 그에 따른 인장이나 압축이 일어남니다. 그래서 그 하중이 그 보의 최대 허용 응력을 넘어서면 그물체는 구부려지거나 부러지고 맘니다.. 그러므로 어떤 구조물을 설계시 구조물에 들어가는 각 보나 빔, 기둥등의 부재의 최대 응력값을 구하면 전체 구조물이 견딜수있는 최대의 힘을 구할수있습니다.
이 실험에서는 어떤 하나의 보의 작은 부분의 응력값만을 측정하였으나 이것을 토대로 확대 실험하면 복잡한 구조물의 최대 응력값도 구할수있다는 점을 알았습니다...
y~=~0.003``m
sigma
(N/m ^{2})
5722500
11445000
17167500
22890000
28612500
34335000
40057500
45780000
51502500
E``(GN`/`m ^{2} )
178.828
173.409
178.828
178.828
178.828
178.828
178.828
178.828
176.378
평 균
nu
= 0.304 ,
E
=
177.953~GN/m ^{2}
최소자승법
E
=
177.962`GN/m ^{2}
■■ 측정값과 오차값의 비교
추무게(kg)
1
2
3
4
5
6
7
8
9
참 값(
GN`/`m ^{2}
)
210
210
210
210
210
210
210
210
210
측정값(
GN`/`m ^{2}
)
178.828
173.409
178.828
178.828
178.828
178.828
178.828
178.828
176.378
오차(%)
14.8
17.4
14.8
14.8
14.8
14.8
14.8
14.8
16
평균오차(%)
15.3
■■ 오차의 원인
① 부재에 Strain Gage 부착 시 부정확한 위치로 인한 오차
- 본드로 부착 시 약간 미끄러짐
② 추 걸이에 추를 걸때 부재의 이동에 의한 오차
③ 테이블의 평형상태에 따른 오차
④ 부재의
E
가
200`GN/m ^{2}
의 값을 가지는지에 대한 의문
- 사용한 부재의
E
값이
195 SIM 220`GN/m ^{2}
의 범위에서 가지는 정확한 값의 도출이 어렵다.
⑤ 추 걸이의 있는 추 무게의 시간이 지남에 따른 변위의 증가에 따른 오차
- 같은 무게에서 측정기가 2~3번 이상 측정하면 다른 값이 나온다.
⑥ 부재의 표면정리로 인한 오차
-
I
의 값은 균일단면보이나 실제로 표면정리(사포질)로 인한 표면의 미세한 고저가 생긴다.
■■ 실험을 통한 느낌...
어떤 보에 집중하중을 작용하면 그에 따른 인장이나 압축이 일어남니다. 그래서 그 하중이 그 보의 최대 허용 응력을 넘어서면 그물체는 구부려지거나 부러지고 맘니다.. 그러므로 어떤 구조물을 설계시 구조물에 들어가는 각 보나 빔, 기둥등의 부재의 최대 응력값을 구하면 전체 구조물이 견딜수있는 최대의 힘을 구할수있습니다.
이 실험에서는 어떤 하나의 보의 작은 부분의 응력값만을 측정하였으나 이것을 토대로 확대 실험하면 복잡한 구조물의 최대 응력값도 구할수있다는 점을 알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