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 경기력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의 접근
1.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트레이닝의 필요성
2. 트레이닝의 처방법
Ⅲ. 검도인 들을 위한 근력 트레이닝법
1. 다리 근력 강화 트레이닝
2. 허리, 등 근력 강화 트레이닝
3. 가슴과 상완, 삼두근의 강화트레이닝
4. 어깨 근력 강화 트레이닝
5. 복부 강화 트레이닝
6. 목 근력 강화 트레이닝
7. 손목 근력 강화 트레이닝
Ⅱ. 경기력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의 접근
1.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트레이닝의 필요성
2. 트레이닝의 처방법
Ⅲ. 검도인 들을 위한 근력 트레이닝법
1. 다리 근력 강화 트레이닝
2. 허리, 등 근력 강화 트레이닝
3. 가슴과 상완, 삼두근의 강화트레이닝
4. 어깨 근력 강화 트레이닝
5. 복부 강화 트레이닝
6. 목 근력 강화 트레이닝
7. 손목 근력 강화 트레이닝
본문내용
사이드 프렉션
7. 손목 근력 강화 트레이닝
(1) 레베 레치 바 엑스사이즈
한쪽 손으로 바벨을 잡고 손목을 이용하여 상하로 바벨을 움직이며 실시한다. 어깨가 들리지 않도록 하고 몸이 기울어지지 않으며 손목의 힘만을 사용하여 실시한다.
결론
흔히 트레이닝이라 하면 많은 기구와 거기에 맞는 장소가 준비되어야만 가능하다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다. 위에서 제시하는 방법들은 바벨과 벤치만 있다면 어디서나 할 수 있는 근력 트레이닝법이다. 위의 트레이닝을 사용할 때 주의할 사항은 급하게 먹은 밥이 체하듯이, 처음부터 너무 무거운 중량과 많은 횟수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신체 조건이 사람마다 다르므로 개인차를 염두에 두고 트레이닝을 해야 한다. 처음에는 부하를 거의 느끼지 못할 정도의 무게(보통 자신의 최대 근력(한번에 무리없이 들 수 있는 무게)의 60-80%)와 횟수로 시작을 하고 점차적으로 무게와 횟수를 늘려가야 할 것이다. 또한 근력 강화 트레이닝은 꾸준히 계속적으로 실시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보통 6주이상의 오랜 기간을 실시 해야만 뚜렷한 근력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 오늘날은 시합 상황에서 종전의 머리, 손목, 허리 등의 단순기술보다는 손목-머리치기, 손목-허리치기, 손목-머리-머리 치기 등의 고도화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때문에 검도의 빠른 스피드에 힘을 붙여줄 수 있으면서 연속적인 기술을 부담없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근력 및 근지구력의 향상이 중요하게 요구된다. 때문에 이를 합리적으로 트레이닝할 수 있다면 효과적인 경기 운영에 있어 소기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7. 손목 근력 강화 트레이닝
(1) 레베 레치 바 엑스사이즈
한쪽 손으로 바벨을 잡고 손목을 이용하여 상하로 바벨을 움직이며 실시한다. 어깨가 들리지 않도록 하고 몸이 기울어지지 않으며 손목의 힘만을 사용하여 실시한다.
결론
흔히 트레이닝이라 하면 많은 기구와 거기에 맞는 장소가 준비되어야만 가능하다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다. 위에서 제시하는 방법들은 바벨과 벤치만 있다면 어디서나 할 수 있는 근력 트레이닝법이다. 위의 트레이닝을 사용할 때 주의할 사항은 급하게 먹은 밥이 체하듯이, 처음부터 너무 무거운 중량과 많은 횟수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신체 조건이 사람마다 다르므로 개인차를 염두에 두고 트레이닝을 해야 한다. 처음에는 부하를 거의 느끼지 못할 정도의 무게(보통 자신의 최대 근력(한번에 무리없이 들 수 있는 무게)의 60-80%)와 횟수로 시작을 하고 점차적으로 무게와 횟수를 늘려가야 할 것이다. 또한 근력 강화 트레이닝은 꾸준히 계속적으로 실시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보통 6주이상의 오랜 기간을 실시 해야만 뚜렷한 근력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 오늘날은 시합 상황에서 종전의 머리, 손목, 허리 등의 단순기술보다는 손목-머리치기, 손목-허리치기, 손목-머리-머리 치기 등의 고도화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때문에 검도의 빠른 스피드에 힘을 붙여줄 수 있으면서 연속적인 기술을 부담없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근력 및 근지구력의 향상이 중요하게 요구된다. 때문에 이를 합리적으로 트레이닝할 수 있다면 효과적인 경기 운영에 있어 소기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