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홍우 저, 교육과정탐구를 읽고..(감상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내용과 생각
1) 문제 의식
2) 기본 모형
3) 교육 사태와 생활 사태, 학문과 교과
4) 지적 인간과 도덕적 사회, 교육 내용으로서의 지식
5) 학습자 중심 교육
6) 잠재적 교육과정
3. 논의
4. 마치며

본문내용

시대의 가치판단에 따른 변화와도 연관된다고 생각된다.
아주 쉬운 예로, 서태지가 사회적 이슈가 되었을 때, 사람들은 공부가 아닌 다른 것으로도 성공할 수 있다는 생각을 했고, 박찬호와 박세리가 외국에서 한국의 이미지를 높일 때, 운동을 잘하는 것도 좋다는 생각을 했다. 한때는 부정적인 것으로 치부되던 것들이, 현재의 교육과정이 포용하지 못한 긍정적인 측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에우레카의 知(지)의 風土(풍토)는 교육에 의해서가 아니고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겠는가?'라고 물으며 본문의 끝을 맺는다.
3. 논 의
수업시간에 교수님께서 말씀하신대로, 교육 이론에 있어서의 중심이 되는 이론이 있을 수는 있어도, 절대적인 혹은 완전한 이론은 없다. 제기된 이론에 대한 비판과, 보완을 거쳐 상호 발전해 가는 것이며, 이미 옳지 않은 것으로 판명된 이론이라 하더라도 더 좋은 방법을 찾기 위해 연구해야할 가치가 얼마든지 있는 것이다.
저자는 브루너의 관점에서 교육과정을 탐색하고 있으며, 목표모형과 내용모형중 내용 모형에 더 중심을 두고 있으며, 또한 지식 교육의 올바른 이해와 중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외재적 목표에 의한 교육으로 어떠한 결과만을 나타내려고 하는 방법보다는, 교육 그 자체에 의미를 두고 내재적 가치에 중점을 두는 것에 동의하고 있다. 교사가 무엇을 위하여 가르치냐는 질문에 앞서 무엇을 가르치며 그 가치는 무엇인가에 대해 긍정적인 사고를 할 수 있었다.
하지만 대체적으로 저자의 생각에 동의하는 편이나, 1장에서 얘기한 '음악만 잘하는 사람'이라던가 12장에서 코멘트한 '박찬호'등의 예처럼, 지식 교육에서 빠뜨리기 쉬운 면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다. 교육에 있어서의 보편적 가치라던가, 추구해야할 올바른 방향에 있어서는 이의의 여지가 없겠으나, 사회와 교육과의 괴리나 학생의 흥미를 무시하는 교육과정 등에서 우리가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속도의 차이가 아닐까 싶다. 사회는 학교보다 빠르고, 학생은 사회보다 빠르다는 점이다. 여기서 빠르다는 것은 변화를 의미하는데 이것은 생각과 행동의 변화뿐만 아니라 심지어 가치의 변화까지도 포함한다. 현실을 냉철하게 표현해보자면, 사회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주어야 할 교육이 이미 사회의 규범에 뒤쳐지고 있으며, 학생들은 또 다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닐까. 물론 이것은 극단적인 예일 수도 있고, 사회가 아무리 빠르게 돌아가도 인간 본연이 지녀야할 덕목이 변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것은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필요로 하기도 하다. 특수성이라는 것이 언제까지나 특수한 것에만 머물러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물론 저자는 이런 것들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고, 우리가 인식하고 있는 '참 진리'에 대해서 말하고 싶었던 것 같다.
책은 저자의 의견을 피력함과 동시에 이 Report에 언급하지 못한 여러 이론들을 상세히 풀어쓰고 있으며 이는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우리가 '교사'에 대해 생각해 봄에 있어 밀접하게 뒷받침이 되고 있다.
4. 마치며
이 책을 읽으며 느낀 점은 초판이 쓰여 진지 30년이 된 오래된 책임에도 불구하고, 듣던 대로 - 교육학도라면 하나씩 가지고 있을 만한 - 좋은 책이구나. 하는 점이었다. 탐구 과제와 증보자료 또한 유용하고 적절했으며, 또한 정도를 다시 고찰해보고자 하는 - 이것은 생각의 경직됨은 아니다. - 저자의 의도 또한 많은 감화를 주었다. 겨우 책 한권을 읽고 미숙한 교육 학도로써 한층 성숙해진 느낌을 가질 수 있었다면 저자가 의도한 '교육'이 내게도 적중했다고 할 수 있을까. 교육을 공부함에 있어 어떤 방향을 가늠할 수 있다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일일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06.30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85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