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 부적응 행동지도 및 교사와 유아와의 대화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7장 유아 부적응 행동의 지도
1. 행동수정을 통한 지도

2. 놀이를 통한 부적응 행동지도

3. 심리극을 통한 부적응 행동지도

4. 미술활동을 통한 지도

5. 음악활동을 통한 지도

6. 부적응 유아의 약물 사용지도

- 제 8 장 유아-교사 관계와 대화법
1. 유아 - 교사 관계

2. 부정적인 대화법

3. 긍정적인 대화법

4. 긍정적인 대화법

본문내용

했을
경우에 경고나 위협으로 인해 대화가 중단됨은 물론 유아의 마음 소에 적개심만 쌓이게 된다.
(3) 유 혹
유아를 유혹한다는 것은 대화에서 "...하면...한다"와 같은 형태의 조건을 다는 것을 말한다.
이런 방법의 대화를 통해서는 유아의 부적응 행동을 지도하는데 일시저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런지는 몰라도 보다 지속적이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워진다.
(4) 일방적인 약속
유아와 합의되지 않은 일방적인 약속은 유아에게 비현실적인 기대를 가지게 한다. 유아가 어른이 진실되지 못하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면 앞으로 전개될 대화에 있어 유아들은 어른의 말을 전적으로 부인하게 되며 또한 대화에 있어 그 들이 가지고 있는 진실을 나타내려 하지않게 된다.
(5) 비꼬는 것, 비난, 창피주기
비꼬는 것과 비난, 창피주기는 유아의 마음 속에 부모나 교사에 대한 반발심만 일어나게 되며
대화의 기능인 의사소통에도 조금도 도움이 되지 못한다.
(6) 논리적으로 따지거나 추궁하는 질문
유아에게는 논리적으로 따지거나 추궁하는 질문을 한다는 것은 대화의 주도권을 교사나 부모가
쥐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유아와의 대화에서는 논리적으로 따지거나 추궁하는 질문보다는 오히려 유아가 현재 느끼고 있는 감정을 수용해 주는 태도를 지녀야 한다.
3. 긍정적인 대화법
1) 유아-교사관계를 온정적으로 이끄는 대화행동
(1) 경청과 적극적인 청취
유아와의 대화에서 교사나 부모가 유아의 이야기를 가만히 귀를 기울여 듣는다는 것은 기본적인
태도이며 기술이 된다. 유아와의 대화를 나누는 부모나 교사는 마음속으로 유아의 심리를 이해하려 는 적극적인 활동을 해야만 한다.
(2) 관심 기울이기
1 좋은 자세
몸의 위치, 움직임 그리고 앉은 자세 등이 상대방에 대한 관심 표현과 존중의 정도를 전달한다.
2 온화한 시선의 접촉
유아에게 부드러운 시선을 보냄으로써 주의를 집중하고 있으며,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을 전달 하는 것이다.
3 상냥한 얼굴 표정
상대방에게 밝고 상냥한 얼굴표정과 가벼운 미소를 보이고 수용적이고 부드러운 음성으로
이야기하는 것은 그에게 관심을 기울이는 좋은 반응이 된다.
4 즉각적인 언어 및 비언어적 반응
유아가 말하는 동안 마치 직후에 웃어주거나 고개를 끄떡이는 비언어적인 반응이나 또는
"아~ 그랬구나", "그래" 등의 맞장구를 치는 언어 반응을 보낸다.
2) 유아-교사관계를 온정적으로 이끄는 대화법
(1) 재진술의 기법
유아가 대화에서 표현한 말을 그대로 되풀이해 주는 재진술의 기법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된다. 즉 교사는 유아의 말을 그대로 반복하여 들려줌으로써 그들의 표현한 말을 있는 그대로하여 그들로 하여금 자기가 한 말을 더 깊이 생각하고 느끼도록 해 주자는 것이 바로 재진술의 기법이다.
(2) 되받아주기의 기법
유아의 말을 되받아준다는 것은 재 진술의 차원을 넘어서 유아가 표현한 말 속에 숨어 있는 감정이 나 무의식적 동기, 그리고 무의식적 욕구 등을 부모나 교사가 파악한대로 들려주는 것을 말한다. 두 가지의 장점을 보면
첫째, 유아로 하여금 부모나 교사가 자기 자신을 깊이 이해하고 받아들여 주고 있다는 생각이나 느낌 을 가지게 한다.
둘째, 만약 부모나 교사가 유아의 본래 감정이나 느낌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유아는 부모나 교사에게 자기의 진정한 느낌이나 감정을 다시 표현 할수 있도록 해준다.
(3) 환언의 기법
환언이란 유아가 하는 이야기의 내용을 부모나 교사가 다른 말로 표현해 주는 대화의 기법을 말한 다. 환언은 대개 유아가 표현한 말의 수보다 적은 수의 말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데, 대부분의 경우 유아로 하여금 자기 자신의 내면세계의 심리적인 특징을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서 활용이
된다.
(4) 효과적인 질문
① 왜 라는 질문보다 무엇, 어떻게 란 질문을 한다.
② 폐쇄적인 질문보다는 개방적인 질문, 탐색을 위한 질문을 한다.
③ 직접적인 질문보다는 간접적인 질문을 한다.
④ 이중 질문을 피하여야 한다.
⑤ 부모나 교사는 유아 충분히 반응할 시간이나 기회를 주고 질문을 하여야 한다.
(5) 나-메시지
1 나-메시지의 구체적 방법
첫째, 부모나 교사에게 문제를 일으키는 유아의 행동과 상황을 보다 구체적으로 진술한다.
둘째, 그 행동이 교사나 부모에게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진술한다.
셋째, 그러한 일이나 상황으로 인하여 교사나 부모가 지니게 된 감정을 있는 그대로 표현한다.
(6) 맞닥뜨림
닥뜨림 또는 직면이란 유아가 잘못하고 있는 경우나 유아에게 무엇인가 불일치, 모순점이 있을 때 그 점을 지적하여 직면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맞닥뜨림이 적용되는 상황은 평소에 하
는 행동과 말이 불일치 할때, 스스로 인식하는 인식내용이 타인들과 불일치 할때, 평소의 언행이 일 반적으로 기대되는 방향 일때, 생각, 감정 또는 행동이나 표현 내용 속에서 무엇인가
일치하는 점들이 있을 때이다.
(7) 피드백
피드백이란 상대방의 행동이 나에게 또한 다른 사람에게 어떤 모습으로 비춰지는가 또는 다른 사람 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대하여 말해 주는 것이다.
(8) 긍정화
긍정화란 유아의 말이나 행동, 태도 등 상대방의 언어적, 비언어적 메시지에서 긍정적인 면을 찾아 내어 그 점을 부각시키는 상담기법이다.
(9) 자기 노출
자기노출은 일반적으로 있는 그대로의 자기 자신을 다른 사람에게 나타내 보이는 것을 말하다. 다 시 말해서, 자신의 개인적인 생각, 느낌, 기호, 취미, 경험 등 자신의 사적인 생활에 대해서 있는 그 대로를 상대방에게 솔직하게 나타내 보이는 것을 말한다.
4. 긍정적인 대화법
교사와 유아간의 관계는 단순히 가르치고 배우는 차원을 넘어선 인간 대 인간의 관계가 되어야 하며 나아가 가르치는 자와 배우는 자라는 역할 대 역할의 관계보다는 인간적 친밀감과 유대감을 느낄 수 있는 관계로까지 발전되어야 한다.
첫째, 교사와 유아가 서로간의 개방성과 솔직함을 보이도록 노력한다.
둘째, 교사와 유아는 서로 의존적인 관계임을 이해하는 것이다.
셋째, 개인의 특수성, 고유성을 인정해야만 한다.
넷째, 교사와 유아는 서로의 욕구를 상화 존중해야만 바람직한 관계를 가질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07.01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88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