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2-1 사실주의(寫實主義)
2-2김동인의 붉은 산
2-3태형
3.결론
2.본론
2-1 사실주의(寫實主義)
2-2김동인의 붉은 산
2-3태형
3.결론
본문내용
나'의 육체적 자유 활동을 위한 공간 연장과 '영원영감'의 생명 연장을 위한 시간 개념은 상호 충돌하고 있다. 말하자면, 작가는 감옥이라는 특정된 극한 상황의 무대를 설정하고 인간 상호간의 몰이해, 고독, 대화 불능의 문제들을 제기하면서 궁극적으로 인간의 이면에 감추어진 생물적인 본능을 추출하려 하고 있다. 이는 자연주의자들의 강령인 관찰·실험 태도와 같은 태도라고 할 수 있다. 감옥이라는 속악한 환경에 들어오기 전까지는 이타적 독립 운동자였던 '나'가 ('나'의 민족·자유·독립의 의지도 결국은 환경과 감옥의 탓으로 좌절되었다.) 독립 만세 운동 시 두 아들을 잃고 같은 감방에서 고생하고 있는 '영원영감'에 대하여 동정하지 않고 오히려 냉소하면서 솔선하여 그를 사지로 몰아낸 것은 환경 탓이다.「태형」에서는 근원적으로 선인도 악인도 없다. 환경에 의해 선과 악은 결정되는 것이다.
) 윤홍로, 앞의책, pp.238~239.
이러한 근거에서 자연주의적 미학은 사실적인 세부의 축적과 원초적 힘의 작용에 대한 인식에 바탕을 둔다. 문학에서의 자연주의적 미학은 태내에서 무덤까지 인간의 눈먼 더듬이 속에서 더욱 날카로운 성적 본능과 식욕의 본능을 과장되게 실체화한다.「태형」이 굳이 자연주의적 세례를 강하게 받았다는 증거는 과거의 어느 작품보다도 작가가 인생의 추악한 육체의 세계를 들추어냈다는 점, 사상보다는 사물을 중시하는 외재적 사실 보도와 같은 태도를 견지했다는 점, 인간은 환경과 순간의 압력에 의해 지배되는 생물이라는 관점으로 관찰˙실험해 보았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보자면「태형」에서 보인 그것은 어떤 의미에서 민족 전체가 감옥과 같은 일제의 압박 하에서 민족의지를 소멸 당하는 것을 진단한 것이기도 하다. 감옥은 당시의 한반도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해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 윤홍로, 앞의책, pp.236∼237.
3.결론
사실주의라는 용어는 우리나라에서 자연주의라는 용어와는 구별되어 쓰이고 있다. 즉, 자연주의가 한결같이 허무나 염세 쪽으로 기울어지고 있으나 사실주의는 희망이나 이상을 지향하기도 한다거나, 자연주의가 부정적, 암흑적 현실을 제시하는데 치중하지만, 사실주의는 긍정적 현실을 제시할 수도 있다거나 하는 것의 차이가 그것이다. 원래 자연주의건 사실주의건 인간현실을 대하는 태도에 있어서 인습을 거부하는 냉철한 부정정신을 전제로 하는 점에서는 양자가 동일하다. 인간현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는 작중현실에 대하여 과연 어떤 긍정의 가능성을 발견하느냐 않느냐 하는 기본적 인생관의 차이에서 자연주의와 사실주의가 구별되는 것이지 그 산문적 방법에 있어서는 하등의 차이가 없는 것이다. 염상섭은 한국의 사실주의의 한 스타일을 형성하고 서구적 자연주의를 한국적 사실주의로 낙찰시킨 작가인데 이것은 서구의 산문문학에 비하여 우리의 사실주의가 간직하고 있는 약점과 특수성을 함축적으로 알려준다. 19세기 자연주의 및 사실주의에 이르러서 주어진 시대현실이 소설의 속성적 조건으로 제기되기에 이르렀으며 인간의 진실을 구체적, 객관적으로 파악하려는 전형적인 근대산문의 방법이 확립하기에 이른 것도 이때부터의 일이다. 근대소설의 전성기가 19세기이며 그것은 자연주의와 사실주의를 바탕으로 했었다는 사실과 관련해서 생각할 때 이는 결코 우연이 아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한국소설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과제이면서도 가장 소홀하게 지나쳐버리고 있는 문제의 하나가 사실주의에 관한 문제이다. 물론 의식의 흐름, 내부독백 등 새로운 수법을 기초로 한 소설이 오늘날 상당히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건 사실이다. 그러나 이런 성격의 소설들을 제외한다면 오늘날의 거의 모든 소설 속에 사실주의는 작용하는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뿐만 아니라 위의 요소들을 기초로 한 소설들조차도 사실주의는 직접 간접으로 작용하고있는 것이다. 사실주의가 제기 한 방법은 어떤 의미로든 근대소설의 기본적 성격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사실주의의 문제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소설문학의 기본적 과제의 하나로 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참고자료
이용남 외, 『한국현대작가론』, 민음사, 2001.
두산세계대백과사전』, 두산동아, 1996.
백철,『김동인연구』, 새문사, 1986
윤정헌,『한국 근대 소설론고』, 국학자료원, 2001
송현호,『한국 현대소설의 해설』, 관동출판사, 1992
정현기,『한국 현대 단편소설의 분석과 감상』, 송정문화사, 1995
윤홍로,『한국 소설의 해석』, 단국대학교출판부, 1998
) 윤홍로, 앞의책, pp.238~239.
이러한 근거에서 자연주의적 미학은 사실적인 세부의 축적과 원초적 힘의 작용에 대한 인식에 바탕을 둔다. 문학에서의 자연주의적 미학은 태내에서 무덤까지 인간의 눈먼 더듬이 속에서 더욱 날카로운 성적 본능과 식욕의 본능을 과장되게 실체화한다.「태형」이 굳이 자연주의적 세례를 강하게 받았다는 증거는 과거의 어느 작품보다도 작가가 인생의 추악한 육체의 세계를 들추어냈다는 점, 사상보다는 사물을 중시하는 외재적 사실 보도와 같은 태도를 견지했다는 점, 인간은 환경과 순간의 압력에 의해 지배되는 생물이라는 관점으로 관찰˙실험해 보았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보자면「태형」에서 보인 그것은 어떤 의미에서 민족 전체가 감옥과 같은 일제의 압박 하에서 민족의지를 소멸 당하는 것을 진단한 것이기도 하다. 감옥은 당시의 한반도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해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 윤홍로, 앞의책, pp.236∼237.
3.결론
사실주의라는 용어는 우리나라에서 자연주의라는 용어와는 구별되어 쓰이고 있다. 즉, 자연주의가 한결같이 허무나 염세 쪽으로 기울어지고 있으나 사실주의는 희망이나 이상을 지향하기도 한다거나, 자연주의가 부정적, 암흑적 현실을 제시하는데 치중하지만, 사실주의는 긍정적 현실을 제시할 수도 있다거나 하는 것의 차이가 그것이다. 원래 자연주의건 사실주의건 인간현실을 대하는 태도에 있어서 인습을 거부하는 냉철한 부정정신을 전제로 하는 점에서는 양자가 동일하다. 인간현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는 작중현실에 대하여 과연 어떤 긍정의 가능성을 발견하느냐 않느냐 하는 기본적 인생관의 차이에서 자연주의와 사실주의가 구별되는 것이지 그 산문적 방법에 있어서는 하등의 차이가 없는 것이다. 염상섭은 한국의 사실주의의 한 스타일을 형성하고 서구적 자연주의를 한국적 사실주의로 낙찰시킨 작가인데 이것은 서구의 산문문학에 비하여 우리의 사실주의가 간직하고 있는 약점과 특수성을 함축적으로 알려준다. 19세기 자연주의 및 사실주의에 이르러서 주어진 시대현실이 소설의 속성적 조건으로 제기되기에 이르렀으며 인간의 진실을 구체적, 객관적으로 파악하려는 전형적인 근대산문의 방법이 확립하기에 이른 것도 이때부터의 일이다. 근대소설의 전성기가 19세기이며 그것은 자연주의와 사실주의를 바탕으로 했었다는 사실과 관련해서 생각할 때 이는 결코 우연이 아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한국소설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과제이면서도 가장 소홀하게 지나쳐버리고 있는 문제의 하나가 사실주의에 관한 문제이다. 물론 의식의 흐름, 내부독백 등 새로운 수법을 기초로 한 소설이 오늘날 상당히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건 사실이다. 그러나 이런 성격의 소설들을 제외한다면 오늘날의 거의 모든 소설 속에 사실주의는 작용하는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뿐만 아니라 위의 요소들을 기초로 한 소설들조차도 사실주의는 직접 간접으로 작용하고있는 것이다. 사실주의가 제기 한 방법은 어떤 의미로든 근대소설의 기본적 성격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사실주의의 문제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소설문학의 기본적 과제의 하나로 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참고자료
이용남 외, 『한국현대작가론』, 민음사, 2001.
두산세계대백과사전』, 두산동아, 1996.
백철,『김동인연구』, 새문사, 1986
윤정헌,『한국 근대 소설론고』, 국학자료원, 2001
송현호,『한국 현대소설의 해설』, 관동출판사, 1992
정현기,『한국 현대 단편소설의 분석과 감상』, 송정문화사, 1995
윤홍로,『한국 소설의 해석』, 단국대학교출판부,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