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수의 사상과 문학적 경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이광수의 사상과 문학적 경향
2.1. 민족주의
2.2. 계몽주의
2.3. 비극적 세계인식
2.4. 이상주의
2.5. 페미니즘

Ⅲ. 마치며

본문내용

은 모두 미혼여성과 기혼남성 사이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다루고 있다.
이광수는 전체적으로 자유 연애혼의 주제와 함께 여성의 자아각성과 주체성 확립을 강조한 페미니스트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지만 부분적으로는 남성 중심적 관점에서 여성을 부속적 존재로, 남성의 교화 대상인 미숙한 존재로 그리기도 한다. 그리고 여성으로 하여금 결혼과 사랑에 대해 극도의 신비화에 빠지게 만드는 상황 설정을 통해서 성차별주의를 드러냈다고 볼 수도 있다. 결국 그가「개척자」에서 추구한 페미니즘은 여성의 주체성 자각과 자유연애 등을 목표로 삼는 자유주의적이고 부르주아적 성격임을 알 수 있다.
Ⅲ. 마치며
이광수의 민족주의는 인도주의적 인간 완성에만 치중할 뿐 독립에의 확신과 의지를 상실함으로써, 타협적인 방향에서 현실적으로 가능한 민족성의 개량, 실력양성, 자치권의 획득과 같은 일제의 문화정책이 표방하는 이데올로기를 수용하여 민족운동의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민족주의는 식민지적 기존상황을 전제로 하는 한계 내에서의 개량적 의도만을 드러내는 평화 지향적이고, 온건한 민족주의라고 할 수 있다. 즉, 반식민과 반제국의 저항적 성격을 뚜렷하게 나타내며, 민족의 독립을 주장하고, 민족 국가 건설을 전제로 하는 근대적 의미의 민족 이념을 창출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근대지향을 통하여 민족의 발전을 추구하고, 언어적 민족주의 이념에 의하여 민족문화의 주체성과 고유성을 함양하고자 하고, 인도주의적 민족주의 이념에 의해 식민치하의 민족의 반인도적 억압을 간접적으로 비판하며, 종족 민족주의 이념에 의해 민족적 일체감을 강조함으로써 간접적으로나마 민족의 독립을 지향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그의 민족주의는 점차 초월적인 세계에, 민족보다 인류를 지향하고, 현실적 도덕률보다 인간의 보편적인 선에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민족의 구체적인 현실로부터 멀어져갔고, 결국 1930년대 후반에는 친일의 길로 접어들게 되었다.
이광수에 대한 수많은 부정적인 견해는 존재한다. 김붕구, 정명환, 송욱, 김동석, 김동인, 정태용 등의 수많은 학자들이 이광수에 대한 혹평을 하고 그의 사상을 끌어내리곤 한다. 하지만 우리 나라의 현대문학 한 세기가 지난 지금도 이광수를 뛰어넘었다고 평가되는 대작가는 나오지 않고 있다. 그만큼 대작가로 평가되었기 때문에 그는 명예와, 일제의 회유에 넘어갔다는 불명예를 동시에 안고 있다. 그러나 한가지, 이광수가 우리의 민족주의 사상과 계몽주의 사상에 그 어느 작가보다 커다란 한 획을 그은 것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參考文獻》
김윤식,『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일지사, 1999.
김윤식 외,『한국소설사』, 예하출판주식회사, 1993.
송명희,『이광수의 민족주의와 페미니즘』, 국학자료원, 1997.
윤흥로,『동양학 16집』, 단국대동양학연구소, 1986.
이용남 외,『한국현대작가론』, 민음사, 2001.
한승옥,『이광수-비극적 세계 인식과 초월의지』,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5.
홍혜원,『이광수 소설의 이야기와 담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2.
  • 가격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7.17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10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