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노산의 적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목적, 원리
(2) 시약 조사
(3) 실험 과정
(4) 관찰
(5) Data & Result
(6) Discussion
(7) Reference

본문내용

두 가지를 꼽을 수 있는데, 한 가지는 우리가 만든 NaOH의 농도가 문제이다. 실험에서 필요한 NaOH는 관찰부분에서 언급하였듯이 우리가 직접 만들어 사용하였는데, 0.1M보다 더 묽게 만들어 졌을 가능성이 있다. NaOH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조해성이 있는데 우리가 4g을 측정할 때도 금방 수분을 흡수하여 고운가루에서 물기가 묻은 소금과 같은 형태로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것에 의해 실제로 4g보다 더 적은 양의 NaOH를 사용한 것이다.
그리고 두 번째 이유는 아미노산 용액이 실제보다 농도가 진하게 묽혀진 것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실험실에서 나눠주는 것을 이용하여 했으므로 오차의 원인으로는 타당성이 부족한 것 같다.

- 아미노산의 적정 곡선 상에서 보면 염기를 가하여도 pH가 그다지 변하지 않는 변곡점에서의 pH가 아미노산의 pKa이다. 이렇게 염기를 가하여도 pH가 변하지 않는 구간이 나타나는 이유는?
pKa=pH+log([짝염기]/[짝산]) 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 식에 의해서 당량점을 지나면 짝염기와 짝산의 양이 같아지므로 염기를 더 가하여도 pH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PH가 변하지 않는 구간이 나타나는 것이다.
- 아미노산 용액을 제조할 때 염산을 넣어주는 이유는?
amino acid를 모두 protonation시켜서 적정을 시작할 준비를 하기 위함이다.
(NH2→NH3+ , COO-→COOH)
(7) Reference
1. http://www.shingu.ac.kr/%7Edolchoi/lc_bc/bc3-1.html
2. 네이버 지식 in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8.05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26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