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인식 및 역사가의 임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의 인식 및 역사가의 임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역사와 과학》
001. 문자의 발명
002. 역사학의 위기
003. 학문의 세분화와 역사
004. 역사와 과학

《보편성과 특수성》
001. 보편주의적 인간관
002. 독일의 역사주의
003. 새로운 차원에서의 보편성과 특수성
004. 특수성(심리주의)
005. 보편성
006. 역사의 분야별 구분 방법
007. 아날(Anal)학파의 활동
008. 보편성과 특수성의 관계

《주관성과 객관성, 필연과 우연》
001. 주관적 입장에서의 역사 서술
002. 객관적 입장에서의 역사 서술
003. 필연성과 우연성

《역사학의 임무》
001. 역사학에 대한 오판
002. 역사학의 학문적 임무
003. 역사학의 진정한 임무

본문내용

현실문제를 다루기에도 너무 바빠서 제 분야의 과거의 일을 되돌아 볼 여유가 없다거나, 사료를 처리하는데 서툴기 때문에 이것들을 전문적으로 다루어주는 학문으로서 역사학이 필요하다면 그것은 보조학적인 임무밖에 가지지 못할 것이다.
002. 역사학의 학문적 임무
역사학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우선 한 시대마다의 정치적, 경제적 또는 사회적, 문화적 성격을 차자내고 또 그것들을 종합하여 한 차원 높은 위치에서의 그 시대의 역사적 성격, 다시 말하면 시대성격을 추출해 내는데 있으며, 더 나아가서 이들 각 시대마다의 시대성격을 엮어서 민족사, 세계사의 사조를 파악하는데 있다. 비유해서 말하면 정치사학·경제사학 등이 알아낼 수 있는 것은 하나의 독립된 골짜기의 모습뿐이지만 역사학은 그 산의 전체 모습을 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역사학이 각 시대마다의 종합적인 시대성격을 찾아낸다는 일은 결국 그 시대 전체를 이끌어나간 지도원리를 발견하는 일이며 그것은 또 나아가서 역사발전의 법칙을 찾아내고 이해하는 일은 곧 역사의 올바른 발전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밑받침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역사학은 한 시대의 지도원리를 발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정치학적·경제학적 혹은 사회학적 가식판단보다 한 단계 더 높은 위치에서의 한 시대에 대한 종합적이고 최종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게 될 때 비로소 그 임무를 다하게 되는 것이다.
003. 역사학의 진정한 임무
역사학이 하나의 시대성격과 지도원리를 찾아내는 일은 결국 좁게는 그 민족사회의, 그리고 넓게는 시대사회의 앞길을 바로잡는 방향타를 마련하는 일이다. 이렇게 역사의 흐름을 더 정확하게 더 멀리 바라볼 수 있는 학문과 학자에게는 그만큼의 책임과 임무가 따르게 마련이다. 즉, 과거를 엄격하고 정확하게 판단함으로써 현재를 가장 객관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역사학의 임무이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임무가 앞으로의 올바른 방향을 제일 먼저 찾아내고 지시하는데 있음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한 민족사의 발전방향이 잘못 잡아졌을 경우 그것은 곧 세계사 발전을 저해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며, 옳은 방향이 세워졌을 때는 바로 세계사 발전을 위한 밑거름이 되는 것이다. 민족사에 있어서나 세계사에 있어서 역사발전의 올바른 발전법칙을 찾아내는 일과, 그리고 그것들 사이에 기본적인 차이점이나 배치현상이 있을 수 없다는 사실을 분명히 하는 것이 역사학이 가진 또 하나의 중요한 임무인 것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8.23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40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