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상거래와 변화의 시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자상거래와 변화의 시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들어가기
1.전자 상거래: 무엇인가
2.우리 나라 인터넷 사용자의 전자 상거래에 대한 보편적 인식·태도
3.그림 구매 영향력 조사 (광고 효과)
4.온라인 상거래 경험 유무
5.전자 상거래 이용시의 문제점
6.인터넷 구입 의향 순위
7.상품별 인터넷 상거래 성장 가능성에 대한 의견
8.전자 상거래 회사에 대한 인식

II. 이야기 하나 - 대기업의 전자 상거래
1.대기업 전자 상거래 사이트
2.전자 상거래를 시작한 동기
3.대기업의 신뢰도
4.소비자와의 inter-communication의 가능성, 다른 사이트와의 연계
5.전자상거래 팀 내의 구조
6.우리 나라 전자 상거래의 현실
7.일반 소비자의 전자 상거래에 대한 인식도

III. 이야기 둘 -
1.소규모 기업(혹은 개인)에 의한 전자 상거래
2.개인 소호 사이트

IV. 마치며, 그리고 생각해 보기
1.문제 제기
2.시공간 구조의 변화
1)속도에 적응하기
2)자기 관리, 자아 기획의 필요성 강조
3)활동 공간의 변화
3.신뢰 체계의 변화
1)지불 시스템의 변화
2) 개인화된 정보의 가치
4.LINK된 네트워크
5.누가 변화를 주도할 것인가, 누가 변화에 적응할 것인가.

본문내용

에 사는가, 그들은 어떠한 물건을 소비하고 있는가-에 대한 정보들은 기업 측의 경영 전략에 매우 필요하다. 신상 정보를
<그림 10> 롯데 인터넷 백화점
가입 신청서
<그림 11> 현대 인터넷 백화점
가입 신청서
제공하는 소비자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개인이 원하는 옵션들을 개인의 구미에 맞게 제공해야 하는 세심함이 필요하다. 소비자의 생일을 챙기고, 그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신상품이 나왔을 경우 그것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각종 행사에 대한 자료들을 공급하는 등, 개인화된 정보, 그 소비자에게만 맞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전략일 수 있다.
특히, 소비 공간에 우연히 모인 이들을 위한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것은 소비자에게 또다른 즐거움을 제공할 수도 있다. 가령, 공동으로 구매함으로서 더 싸게 구입할 수 있다면 그들은 협동 관계에 있는 것이다. 이 뿐만 아니라 소비 공간에서 형성되는 커뮤니티는 소비자들이 다시 그 사이트를 찾을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화된 정보, 매우 귀찮게 메워 갔던 신상 정보의 빈칸들에 채워진 내용들은 장기적 안목으로 보았을 때 기업과 소비자 모두에게 매우 유용한 정보이며 '합리적' 소비를 위한 자료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이상적 관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기업과 소비자간의 누적된 신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신뢰를 유지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그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개인의 정보가 안정적으로 보장됨으로서 문명의 이기로 최대한의 편리를 누릴 수 있는 반면, 이 보안이 허술해질 경우 생길 수 있는 예기치 못한 '재앙'에 대한 두려움 역시 떨칠 수 없다.
LINK된 네트워크
<그림 12> Hello Seoul 웹사이트
인터넷의 가장 큰 재미이자 독특함은 만나려고 의도하지 않았던 사이트들과의 우연적 만남이다. 사이트 이용자의 경우 그 사이트와 링크된 사이트와 우연적으로 만나게 되는 것이지만 사이트 운영자들의 경우 링크된 사이트들은 공적, 사적으로 관계 속에 있다. 가령, 학술 관련 사이트들에 링크된 '참고할 만한 사이트'들은 학술 주제와 연관성이 있거나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정보를 공개적으로 공유하는 것이다. 반면, 상업적 사이트들의 경우 여기저기 떠서 화면을 깜빡이는 배너 광고들이나 링크된 사이트들은 서로를 광고해 주거나 동일한 이익 관계에 있거나, 상업적 공생 관계에 있는 경우가 많다. 롯데 백화점, 종로 서적 등으로 묶여 있는 '헬로우 서울'에는 많은 사이트들이 서로 링크되어있고 그들간에는 정보가 공유되고 있다. 그들을 헬로우 서울로 엮은 근거는 무엇일까. 왜 그들은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손을 잡고 있는 것인가.
한국 사회에서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그리고 좀더 확실한 정보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위해서는 연줄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는 비단 사업뿐만 아니라 취업을 하거나, 아쉬운 부탁을 할 경우 모두 해당된다. 기존의 연줄들이 상당히 끈적한 관계들, 즉, 지연, 학연, 혈연 등에 근거하여 사회적 자본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면 인터넷을 근거로 한 사업들의 경우 기존의 연줄망과는 다른 방식의 정보 통로와 사회적 안정망을 가질 것인가. 소호들의 경우 연줄 확장에 필요한 막후 교섭들을 중요한 경영 전략 중의 하나로 삼고 있었다. 누구의 손을 잡을 것인가. 먼저 좋은 자리를 선점한 이들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미디어에 이름을 반복적으로 비추는 것, 특히 각 분야의 권력자들과의 관계를 트거나 유지하는 것 등 '로비'라 불리는 일들은 사업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일상 중의 일부인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시장들이 형성되고 있다면 그와 관련된 새로운 업종들도 동시에 성장할 것이다. 택배업, 포장업, 금융업.... 반면 기존의 노동 인력들은 더 이상 필요 없게 될 것이다. 실업에의 위기, 노동시장의 재구조화는 전자 상거래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누구와의 관계를 맺으며 사업할 것인가. 이는 누구와 공존의 손을 잡을 것인가의 문제이며 서로 맞잡은 손을 통하여 정보와 자원들은 이동하고 공유되고 있는 것이 아닐까.
누가 변화를 주도할 것인가, 누가 변화에 적응할 것인가.
변화의 속도에 적응하는 것, 또는 그 속도를 따라 잡는 것은 일상에 억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자 상거래를 통하여 시공간 구조는 많은 변화를 야기할 것이다.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은 늘어날 것이며 공간적 제약을 넘어서 우리는 동시에 여러 가지 일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하지만 더 싸고 좋은 상품을 구입하기 위하여 눈에 불을 켜고 정보 사냥에 나서야 하며 이로 인해 시간적 여유를 만끽할 것 같지는 않다. 시장에 안가는 대신 집에서 이윤을 남기기 위한 무언가를 노동해야 할지도 모른다. '시공간 구조의 변화'는 개인마다 매우 다른 형식으로 이루어질 것이며 어떤 이에게는 여유의 시간에 더 강도 높은 노동이 요구될지도 모른다. 또 어떤 이에게는 노동의 장에서 내쫓기고 변화의 속도에 적응하지 못한 자의 낙인이 찍힐지도 모른다.
낙관과 비관이 만나는 미래의 그림은 분명하지는 않다. 하지만 '진화의 속도'에 적응하는 자가 비교적 낙관의 그림을 그릴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은 해볼 수 있다. 수당을 받아 가며 직업훈련을 교육받은 이들은 이미 변화의 속도에 뒤쳐진 이들이다. 특히, 여성, 아줌마들은 훈련을 통하여 취업이 되지 않을지는 모르지만 변화를 체험함으로서 잠재적 소비자의 가능성을 갖게 된다. 백화점의 문화 센터에 들리는 아줌마들은 백화점에 들리면서 백화점의 소비에 유혹 받게 되고 그것에 익숙해진다. 어찌 보면 소비 능력을 키워 주는 교육들이 곳곳의 직업 훈련 센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아닐까라는 의심을 떨칠 수 없다.
20: 80의 사회에 대한 비관론이 미래를 어둡게 한다. 문명의 이기로 인한 일상의 혁명적 변화를 모든 이들이 동시에 경험하게 되는 것은 언제쯤일까. 그때에서야 '정보화 사회'라는 이름을 좀 당당하게 붙일 수 있을 것 같다. 아직 낙관의 그림을 그리기에는 걸리는 문제들이 너무 산적해 있다. 그리하여 변화의 속도가 위태롭고 불안한 것일까.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4.10.01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90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