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고가요와 향가의 전반적 특성 요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고가요와 향가의 전반적 특성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상고가요
1) 개념
2) 특징
3) 상고가요의 율격
4) 현전 작품
(1) 구지가(龜旨歌)
(2) 황조가(黃鳥歌)
(3)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2. 향가
1)향가의 개념
2)향가의 명칭
3)향가의 형식
4)향가의 작가
5)향가의 연대

본문내용

향가문학은 전적으로 신라의 국민문학의 성격을 띠었던 듯하다. 즉, “향가의 전형적인 형식은 10구체이고, 주동적인 작가는 승려였으며, 지배적인 내용은 불교적인 것이다”라는 개념이 성립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이러한 패션을 하나의 장르로 설정하는 데 주저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향가의 수사적(修辭的) 특성을 살펴보면, 《사뇌가》는 발원의 성취라는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서도 수사적인 기교를 필요로 했을 것이다. 예컨대, 월명사의 《제망매가》에 작자의 골육에 대한 절실한 사랑을 느낄 수 있으면서도 숭고한 종교 의식에 덮인 순탄한 표현 기교 때문에 눈물을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가을 바람에 나부끼는 낙엽처럼 무상한 인생과 형제간의 애정은 충분히 표현되어 있다. 이처럼 그 내용이 신불(神佛)에 대한 발원인 이상, 그 수사는 자연히 명랑하고 신비롭고 숭고한 인상을 주게 마련이다. 오늘날 전하는 향가 가운데서 저속하고 침음(沈陰)한 표현을 찾지 못하며, 또한 그 수사가 순진하고 원융(圓融)하여 평화로운 반면에 예리하고 격정적인 모습도 찾지 못한다. 이처럼 향가의 수사는 숭고하고도 평화로워, 흔히 고려시가에서 볼 수 있는 경박성과 노골적인 퇴폐성(頹廢性)을 찾지 못하는 동시에, 시조에서 보는 참신한 간결성도 찾을 수 없는 것은 오로지 그 내용에서 연유되는 것이라 하겠다. 그리하여 향가에서 ‘사청구려(詞淸句麗)’하고 ‘기의심고(其意甚高)’한 신라인의 표현을 재삼 음미하게 되며, 화랑의 문학, 즉 낭불(郞佛) 공유의 문학 또는 토속신앙의 문학 등으로 씩씩한 기상도 찾아볼 수 있다.
5)향가의 연대
향가의 연대에 대하여는 여러 설이 있으나, 가장 일반적인 것은 《삼국유사》에 실린 향가는 가장 오랜 《서동요》(559 이전)로부터 《처용가》(879)에 이르는 320여 년 동안에 생성된 것이며, 균여대사가 지은 11수는 973년(고려 광종 24) 그가 죽은 해 이전에 성립한 것이므로 이렇게 따지면 370여 년간에 이루어진 향가가 오늘날 전하는 셈이다. 《도이장가(悼二將歌)》까지를 향가로 본다는 설도 있어 여기에 따른다면 1120년(예종 15)까지 연장되어 520여 년에 걸치게 된다.
이상 개괄해 본 것처럼 향가의 소멸시기, 향가가 행해지던 지역적인 범위, 향가의 총작품수(失傳작품 포함) 등에는 여러 이설과 의문이 많으나,향찰이 발명되기 이전의 작품은 표기문자가 없어서 구전(口傳)되다가 소멸하였거나, 또는 향찰로 표기되다가도 소멸되어 전승되지 못했던 듯하다. 특히 오늘날 이름만 전해지는 향가집(鄕歌集) 《삼대목(三代目)》이 실전되었음은 유감스러운 일이나 현전하는 25수야말로 국문학사상 의의가 클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신라문학에 접할 수 있고, 당대의 문학적 생활을 엿볼 수 있음은 다행한 일이다. 또 향가는 훈민정음 이전의 고어 연구를 위해서도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물론, 향가가 훈민정음 이전의 표기형태인 향찰이나 이두로 기록된 작품이므로, 그 해독에 어려움이 따르고 각각 해독자에 따라 서로 다른 해석이 나온다는 점도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11.01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20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