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일 영도체계와 군의 역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1.유일영도체계의 역사적 흐름과 군의 역할
1>한국전쟁과 정적 숙청
◇무정의 숙청
◇허가이의 숙청
◇박헌영과 남로당계의 숙청
2>한국전쟁이후의 권력체계의 변화 결과

본문내용

김일성의 단일 권력체계가 가능하도록 조직이 대대적으로 개편되었다.
당중앙위원회 조직위원회와 비서제가 폐지되고 중앙위원회 상무위원회가 신설되었다. 신설된 상무위원에는 김일성, 김두봉, 박정애, 박창옥, 김일, 박영빈, 최원택, 최창익. 강문석. 정일룡. 김황일. 김승화. 김광협. 박금철,남일 등 15명이 선출 되었다.
정치위원회도 새로 바뀌었다. 김일성, 김두봉, 박정애, 박창옥, 김일 등 5명이 정치위원이 선출 되었다.
이 결과는 1949년 6월의 남북노동당 합당 당시와 비교하면 엄청난 변화였다. 부위원장의 허가이와 박헌영과 비서의 허가이, 이승엽, 김삼룡 정치위원에서 도 박헌영, 이승엽, 김삼룡, 허헌, 허가이 ,박일우가 사라졌다.
핵심 지도부에서 김책 이외에는 확실한 자파 세력을 가지고 있지 못하던 김일성은 권력의 핵심인 정치위원회에 80%를 자신의 세력으로 가지게 되었다.
김일성은 한국전쟁에서는 패했을지 모르나 북한 내부의 권력투쟁에서는 승리하게 되었다. 무정, 허가이, 박헌영 등의 쟁쟁한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확실한 실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이로써 노동당 출범당시의 일종의 집단 지도체제에서 김일성의 단일 지도 체제로 전환하게 되었던 것이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12.02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67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