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서 맴돌었던 것 같다.
하지만 본서를 읽으면서 저자가 말하는 부분이 복음주의의 의의와 역사 즉 현재의 복음주의 입장에서 과거를 살펴보고 미래를 내다보는 통찰력이 있다고 볼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서를 읽으면서 교수님께서 내주시는 내용물을 읽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볼수 있다.
복음주의 교회에 새로운 대안제시를 해줄수 있다고 본다. 역사적으로 보나 복음주의는 과거를 통해 지금까지 검증되어왔으며 성경을 통해서 즉 살아계신 예수그리스도를 전파하며 복음을 증거하고 회심시키면서 성경적으로 그 운동이 지내 왔기 때문이다.
이 시대가 요구하는 은동이 바로 복음주의다라고 감히 말할수 있다. 이 책의 서론에서 특히 젊은이들은 복음이 가져다 주는 활력과 기쁨을 복음주의를 통하여 발견하게 되었다고 말한다라는 부분에서 동감을 한다.
지금 미국과 한국에서 수많은 젊은이들이 복음주의자들의 메시지를 듣고 변화받고 예수를 그리스도를 믿고 회심하여 변화하고 또한 세계에 나가서 복음을 전하고 있다.
세계에 선교사를 제일 많이 보내는 미국과 그다음 한국젊은이들이 대체적으로 그렇다고 볼수 있다. 그렇다고 세속화의 반대개념으로서 복음주의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거룩의 구별로서 복음주의 와 세속화를 구분하는 것이 어떨까라는 생각이 든다. 반대개념으로 말하는 것이 아니다.
자유주의자에 대한 언급에서 자유주의자들은 기독교의 변증적 책임을 회피하였다. 하지만 복음주의자들에게 있어서 변증의 필요조건이고 그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볼수 있다.
본서에서 많이 강조하는 부분이있다면 그것은 복음주의운동의 분리주의에 대한 안타까운 부분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사실 복음주의라는 것은 교단과 교파를 초월해서 존재한다고 볼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복음주의자들 만의 교회, 교단 그런것들은 오히려 교회를 분열시키는 하나의 모순점이 아닐까 생각이든다. 그리고 복음주의 영향력을 전세계 교회에 미쳐야 되지 않을까 생각이듭니다.
복음주의의 약점은 복음과의 친밀함이 아닌 정부에 영향을 미치는 세속적인 단체가 될 때 타락한다고 말한다. 그렇다 교회는 순수해야 한다. 또한 그곳은 하나님 나라의 모형이 되어야 한다. 그렇다고 압제당하고 억울하게 사는 백성들을 왜면하라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사랑, 이웃사랑, 교회사랑, 가족사랑 사랑을 전하는 것이 교회이기 때문이다.
복음주의는 매력이 있고 미래가 있다. 왜냐면 제일순수하고 성경적이기 때문이다.
본서를 읽게 해주신 교수님에게 감사드립니다.
하지만 본서를 읽으면서 저자가 말하는 부분이 복음주의의 의의와 역사 즉 현재의 복음주의 입장에서 과거를 살펴보고 미래를 내다보는 통찰력이 있다고 볼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서를 읽으면서 교수님께서 내주시는 내용물을 읽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볼수 있다.
복음주의 교회에 새로운 대안제시를 해줄수 있다고 본다. 역사적으로 보나 복음주의는 과거를 통해 지금까지 검증되어왔으며 성경을 통해서 즉 살아계신 예수그리스도를 전파하며 복음을 증거하고 회심시키면서 성경적으로 그 운동이 지내 왔기 때문이다.
이 시대가 요구하는 은동이 바로 복음주의다라고 감히 말할수 있다. 이 책의 서론에서 특히 젊은이들은 복음이 가져다 주는 활력과 기쁨을 복음주의를 통하여 발견하게 되었다고 말한다라는 부분에서 동감을 한다.
지금 미국과 한국에서 수많은 젊은이들이 복음주의자들의 메시지를 듣고 변화받고 예수를 그리스도를 믿고 회심하여 변화하고 또한 세계에 나가서 복음을 전하고 있다.
세계에 선교사를 제일 많이 보내는 미국과 그다음 한국젊은이들이 대체적으로 그렇다고 볼수 있다. 그렇다고 세속화의 반대개념으로서 복음주의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거룩의 구별로서 복음주의 와 세속화를 구분하는 것이 어떨까라는 생각이 든다. 반대개념으로 말하는 것이 아니다.
자유주의자에 대한 언급에서 자유주의자들은 기독교의 변증적 책임을 회피하였다. 하지만 복음주의자들에게 있어서 변증의 필요조건이고 그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볼수 있다.
본서에서 많이 강조하는 부분이있다면 그것은 복음주의운동의 분리주의에 대한 안타까운 부분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사실 복음주의라는 것은 교단과 교파를 초월해서 존재한다고 볼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복음주의자들 만의 교회, 교단 그런것들은 오히려 교회를 분열시키는 하나의 모순점이 아닐까 생각이든다. 그리고 복음주의 영향력을 전세계 교회에 미쳐야 되지 않을까 생각이듭니다.
복음주의의 약점은 복음과의 친밀함이 아닌 정부에 영향을 미치는 세속적인 단체가 될 때 타락한다고 말한다. 그렇다 교회는 순수해야 한다. 또한 그곳은 하나님 나라의 모형이 되어야 한다. 그렇다고 압제당하고 억울하게 사는 백성들을 왜면하라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사랑, 이웃사랑, 교회사랑, 가족사랑 사랑을 전하는 것이 교회이기 때문이다.
복음주의는 매력이 있고 미래가 있다. 왜냐면 제일순수하고 성경적이기 때문이다.
본서를 읽게 해주신 교수님에게 감사드립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