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노동쟁의 조정제도
1. 노동쟁의 조정제도란 무엇인가?
2. 쟁의조정의 원칙
(1) 자주적 조정의 노력
(2) 노사당사자의 노동쟁의 해결 노력
(3) 국가 등의 책무
(4) 신속한 처리
(5) 공익사업 등의 우선적 취급
3. 노동쟁의 조정의 대상
B. 사적 조정, 중재
1. 사적 조정, 중재제도
2. 사적 조정, 중재의 요건
3. 사적 조정, 중재의 효과
C. 조 정
1. 조정의 의의
2. 조정과 중재의 차이
3. 조정의 개시절차
4. 조정기간의 소요
5. 조정서의 효력
6. 조정안에 대한 의견의 불일치
D. 중 재
1. 중재의 의의
2. 중재의 개시
E. 공익사업 등의 조정에 관한 특칙
1. 공익사업과 필수공익사업
2. 공익사업의 예
3. 필수공익사업의 예
4. 공익사업과 필수공익사업의 특징
(1) 쟁의조정의 우선적 처리
(2) 조정 기간
(3) 특별조정위원회에 의한 조정
(4) 필수공익사업에서의 강제중재의 허용
1. 노동쟁의 조정제도란 무엇인가?
2. 쟁의조정의 원칙
(1) 자주적 조정의 노력
(2) 노사당사자의 노동쟁의 해결 노력
(3) 국가 등의 책무
(4) 신속한 처리
(5) 공익사업 등의 우선적 취급
3. 노동쟁의 조정의 대상
B. 사적 조정, 중재
1. 사적 조정, 중재제도
2. 사적 조정, 중재의 요건
3. 사적 조정, 중재의 효과
C. 조 정
1. 조정의 의의
2. 조정과 중재의 차이
3. 조정의 개시절차
4. 조정기간의 소요
5. 조정서의 효력
6. 조정안에 대한 의견의 불일치
D. 중 재
1. 중재의 의의
2. 중재의 개시
E. 공익사업 등의 조정에 관한 특칙
1. 공익사업과 필수공익사업
2. 공익사업의 예
3. 필수공익사업의 예
4. 공익사업과 필수공익사업의 특징
(1) 쟁의조정의 우선적 처리
(2) 조정 기간
(3) 특별조정위원회에 의한 조정
(4) 필수공익사업에서의 강제중재의 허용
본문내용
거나 국민경제를 현저히 저해하고 그 업무의 대체가 용이하지 아니한 다음의 사업을 말합니다.
1) 철도(도시철도를 포함한다) 운송사업
2) 수도, 전기, 가스, 석유정제 및 석유공급사업
3) 병원산업
4) 한국은행
5) 통신사업
4. 공익사업과 필수공익사업의 특징
(1) 쟁의조정의 우선적 처리
국가, 지방자치단체, 국공영기업체, 방위산업체 및 공익사업에 있어서의 노동쟁의의 조정은 우선적으로 취급하고 신속히 처리하여야 합니다.
(2) 조정 기간
조정은 조정의 신청이 있은 날로부터 공익사업에 있어서는 15일 이내에 종료하여야 합니다. 조정기간은 관계 당사자간의 합의로 공익사업에 있어서는 15일 이내에 연장할 수 있습니다.
(3) 특별조정위원회에 의한 조정
공익사업의 노동쟁의의 조정을 위하여 노동위원회에 특별조정위원회를 둡니다. 특별조정위원회는 특별조정위원 3인으로 구성합니다.
(4) 필수공익사업에서의 강제중재의 허용
특별조정위원회는 필수공익사업에 있어서 조정이 성립될 가망이 없다고 인정한 경우에는 조정기간(15일)의 만료 전에 그 사건의 중재회부를 노동위원회에 권고 할 수 있으며 노동위원회의 위원장은 강제로 중재에 회부할 것인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1) 철도(도시철도를 포함한다) 운송사업
2) 수도, 전기, 가스, 석유정제 및 석유공급사업
3) 병원산업
4) 한국은행
5) 통신사업
4. 공익사업과 필수공익사업의 특징
(1) 쟁의조정의 우선적 처리
국가, 지방자치단체, 국공영기업체, 방위산업체 및 공익사업에 있어서의 노동쟁의의 조정은 우선적으로 취급하고 신속히 처리하여야 합니다.
(2) 조정 기간
조정은 조정의 신청이 있은 날로부터 공익사업에 있어서는 15일 이내에 종료하여야 합니다. 조정기간은 관계 당사자간의 합의로 공익사업에 있어서는 15일 이내에 연장할 수 있습니다.
(3) 특별조정위원회에 의한 조정
공익사업의 노동쟁의의 조정을 위하여 노동위원회에 특별조정위원회를 둡니다. 특별조정위원회는 특별조정위원 3인으로 구성합니다.
(4) 필수공익사업에서의 강제중재의 허용
특별조정위원회는 필수공익사업에 있어서 조정이 성립될 가망이 없다고 인정한 경우에는 조정기간(15일)의 만료 전에 그 사건의 중재회부를 노동위원회에 권고 할 수 있으며 노동위원회의 위원장은 강제로 중재에 회부할 것인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추천자료
[노동복지론]선택적근로자복지제도 생산적복지의 이념및 사내근로복지 기금과의 연계
[대우그룹 발전과정][대우그룹 근로조건][대우그룹 노동조합][대우그룹 세계화 전략][대우그...
쟁의행위의 조정에 대하여
중재제도에 대한 노동법적 검토
노동분쟁 중 권리분쟁 해결제도의 개선방안
[임금][임금격차][임금제도]임금의 개념, 임금의 원칙, 학력별 임금격차의 현황, 학력별 임금...
외국인이주노동자(외국인노동자)에 대한 고찰 및 정책(고용허가제,산업연수생제도) 보고서
[복지행정/사회복지A+]외국인노동자 정책에 관련된 산업연수생제도,고용허가제,사회보험 및 ...
[대우구조조정, 대우구조조정 특징, 추진과정, 대우그룹, 대우조선, 노동조합]대우구조조정의...
[신자유주의]신자유주의 구조조정과 국가기간산업, 재벌개혁, 신자유주의 구조조정과 사회양...
[안전보건, 안전보건준수]안전보건과 안전보건준수, 안전보건정책, 안전보건과 안전보건제도,...
[대우조선][대우조선 노동투쟁][대우조선 노동자 건강검진][대우조선 구조조정]대우조선의 노...
[기업][조합][기업 협동조합][개인투자조합][창업투자조합][구조조정조합][노동조합][조합활...
사회문제연구_노동문제_최저임금제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