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제
2. 시범목적
3. 시범내용
4. 시범 운영의 방법
5. 시범 운영의 결과 및 분석
6. 결 론
2. 시범목적
3. 시범내용
4. 시범 운영의 방법
5. 시범 운영의 결과 및 분석
6. 결 론
본문내용
움이 되었다고 느끼고 있었다. 학생의 경우는 남학생의 29%, 여학생의 25%만이 긍정적인 효과를 답하고 있는 반면 39%(남), 45%(여)가 부정적인 대답을 하여 대조를 이루었다.
(4) 종합 및 보완점
구 분
매우 그렇다
다소 그렇다
보통이다
별로 그렇지않다
전혀 그렇지않다
기 타
교 사
17
54
10
3
3
13
학부모
C형(남)
15
50
20
15
0
0
C형(여)
12
54
7
24
3
0
A형(남)
23
38
35
0
0
4
A형(여)
14
33
14
29
10
0
<남녀 혼성반의 경우 좌석배치가 학습 및 학교생활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하십니까? >
교사의 경우 영향을 주었다는 대답이 71%, 그렇지 않다고 대답한 것이 6%로 나타났으며, 학부모의 경우도 C형 학급의 학부모 경우 65%(남), 66%(여)가 긍정적인 대답을 하였으며, A형 학급의 학부모는 61%(남), 47%(여)가 영향을 주었다고 답하였다.
구 분
학습지도면
학습평가면
생활지도면
예절지도면
상담 및 성교육면
기 타
교 사
3
0
57
30
10
0
학부모
C형(남)
2
9
59
18
12
0
C형(여)
12
10
46
20
12
0
A형(남)
19
8
46
19
8
0
A형(여)
24
0
24
24
28
0
학 생
남
15
23
26
17
18
1
여
8
18
26
28
19
1
<남녀 혼성반 운영시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어떤 면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교사의 경우 생활지도면에 가장 많은 57%가 응답하였으며, 에절지도면에 30%, 상담 및 성교육면에 10%가 대답함으로써 남녀 혼성반 운영에서 가장 관심을 가져야 하는 부문이 생활지도임을 알 수 있다. 학부모의 경우는 남학생 학부모는 생활지도면에서(C형 : 59%, A형 : 46%)에 편중되어 있는 반면 여학생 학부모의 경우는 학습지도면(C형 : 12%, A형 : 24%), 생활지도면(C형 : 46%, A형 : 24%), 상담 및 성교육면(C형 : 12%, A형 : 28%)에 비교적 고른 분포를 나타냈다.
<혼성반 편성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구 분
매우 그렇다
다소 그렇다
보통이다
별로 그렇지않다
전혀 그렇지않다
기 타
교 사
30
47
17
3
3
0
학부모
C형(남)
56
9
35
0
0
2
C형(여)
39
24
27
10
0
0
A형(남)
38
15
38
8
0
3
A형(여)
34
19
38
9
0
3
교사의 경우 인성 예절교육의 강화에 47%, 탈의실등 교육시설의 확충에 30%, 교사학생들의 의식 및 행동의 변화에 17% 응답하였으며, 학부모들은 전반적으로 탈의실등 교육시설의 확충에 가장 많은 응답을 함으로써 탈의실 부족으로 인한 고충을 가장 많이 겪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특히 A형 학급의 학부모 경우 교사, 학생들의 의식 및 행동의 변화에도 38%정도가 답하고 있어 혼성반 시행에 있어서 혼성반 운영에 관한 충분한 연수 및 교육이 진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내년에도 남녀 혼성반을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유 형
확대실시
실시보완
확대실시
기 타
인원(%)
17
43
37
6
교 사
학 부 모
유 형
확대실시
실시보완
확대실시
기 타
인원(%)
17
43
37
6
유 형
확대실시
실시보완
확대실시
기 타
인원(%)
17
43
37
6
학 생
교사의 57%, 학부모의 54%, 학생의 79%가 내년에도 남녀 혼성반 운영에 찬성하고 있다. 그러나 교사의 40%, 학부모의 24%, 학생의 45%가 보완 실시를 주장함으로써 혼성반 운영에 필요한 기본 여건의 성숙과 교육시설의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한 학부모의 33%가 실시 불가를 주장하여 학부모 대상의 혼성반 운영에 대한 취지 및 방법에 대한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6. 결 론
본교의 남녀 혼성반 시범 운영 결과 교과 학습 면에서는 긍정적인 반응보다는 부정적인 반응이 우세한 편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녀 혼성반 운영과 관련하여 교과 학습지도 방법상의 다양하고도 세밀한 접근이 동반되어야 하며, 남녀 혼성반 운영에 관한 전교사의 공감대 형성이 필수적인 선행조건임을 일깨워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학교생활 및 행동면에서는 교사와 학부모가 긍정적인 효과를 실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언행의 순화와 위생관리, 폭력사용의 감소에 남녀 혼성반 운영이 커다란 도움이 되었다. 또한 가치관 형성 및 인성 면에서도 남녀 평등혼성반 운영이 커다란 도움이 되었다. 또한 가치관 형성 및 인성 면에서도 남녀 평등정신의 함양, 건전한 이성교제와 대화, 상호 인간존중 정신의 함양 및 남녀의 원만한 관계형성과 사회생활에의 적응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거의 모든 부문에서 교사, 학부모, 학생의 의견이 엇갈린 양상으로 나타났다. 예를들어 교과 학습면에서 교사와 학생은 부정적인 응답을 하는 반면 학부모들이 학생을 통하여 판단하고 있는 것과 학교에서의 실제 생활상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남녀 혼성반의 운영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교사, 학부모, 학생이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삼위일체가 되어 노력해야 하고, 보다 치밀한 실천 계획이 수립되어 학교 단위의 운영에 관한 공동원칙과 방법의 공유가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남녀 혼성반 운영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탈의실, 특별교실등의 교육시설 확충등의 제반여건이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사실 이 부분은 설문조사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잇듯이 남녀 혼성반 운영에 대해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1개 학급 규모의 탈의실로 600여명의 학생을 수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수밖에 없다. 남녀 혼성반의 효율적인 운영을 통하여 남녀간의 상호 신뢰와 조화를 통하여 성차별 의식해소와 정서순화를 기하고, 폭력충동을 자제할 수 있는 건전한 학교 풍토를 조성하며, 상호간의 인격을 존중하고 남녀간의 예의와 품격을 지키며, 모든 전인적인 학습활동에서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서 실질적인 남녀의 균등한 교육기회 제공을 실천할 수 있다는 운영 주체의 신념과 더불어 시설 확충등의 행정적인 지원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4) 종합 및 보완점
구 분
매우 그렇다
다소 그렇다
보통이다
별로 그렇지않다
전혀 그렇지않다
기 타
교 사
17
54
10
3
3
13
학부모
C형(남)
15
50
20
15
0
0
C형(여)
12
54
7
24
3
0
A형(남)
23
38
35
0
0
4
A형(여)
14
33
14
29
10
0
<남녀 혼성반의 경우 좌석배치가 학습 및 학교생활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하십니까? >
교사의 경우 영향을 주었다는 대답이 71%, 그렇지 않다고 대답한 것이 6%로 나타났으며, 학부모의 경우도 C형 학급의 학부모 경우 65%(남), 66%(여)가 긍정적인 대답을 하였으며, A형 학급의 학부모는 61%(남), 47%(여)가 영향을 주었다고 답하였다.
구 분
학습지도면
학습평가면
생활지도면
예절지도면
상담 및 성교육면
기 타
교 사
3
0
57
30
10
0
학부모
C형(남)
2
9
59
18
12
0
C형(여)
12
10
46
20
12
0
A형(남)
19
8
46
19
8
0
A형(여)
24
0
24
24
28
0
학 생
남
15
23
26
17
18
1
여
8
18
26
28
19
1
<남녀 혼성반 운영시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어떤 면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교사의 경우 생활지도면에 가장 많은 57%가 응답하였으며, 에절지도면에 30%, 상담 및 성교육면에 10%가 대답함으로써 남녀 혼성반 운영에서 가장 관심을 가져야 하는 부문이 생활지도임을 알 수 있다. 학부모의 경우는 남학생 학부모는 생활지도면에서(C형 : 59%, A형 : 46%)에 편중되어 있는 반면 여학생 학부모의 경우는 학습지도면(C형 : 12%, A형 : 24%), 생활지도면(C형 : 46%, A형 : 24%), 상담 및 성교육면(C형 : 12%, A형 : 28%)에 비교적 고른 분포를 나타냈다.
<혼성반 편성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구 분
매우 그렇다
다소 그렇다
보통이다
별로 그렇지않다
전혀 그렇지않다
기 타
교 사
30
47
17
3
3
0
학부모
C형(남)
56
9
35
0
0
2
C형(여)
39
24
27
10
0
0
A형(남)
38
15
38
8
0
3
A형(여)
34
19
38
9
0
3
교사의 경우 인성 예절교육의 강화에 47%, 탈의실등 교육시설의 확충에 30%, 교사학생들의 의식 및 행동의 변화에 17% 응답하였으며, 학부모들은 전반적으로 탈의실등 교육시설의 확충에 가장 많은 응답을 함으로써 탈의실 부족으로 인한 고충을 가장 많이 겪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특히 A형 학급의 학부모 경우 교사, 학생들의 의식 및 행동의 변화에도 38%정도가 답하고 있어 혼성반 시행에 있어서 혼성반 운영에 관한 충분한 연수 및 교육이 진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내년에도 남녀 혼성반을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유 형
확대실시
실시보완
확대실시
기 타
인원(%)
17
43
37
6
교 사
학 부 모
유 형
확대실시
실시보완
확대실시
기 타
인원(%)
17
43
37
6
유 형
확대실시
실시보완
확대실시
기 타
인원(%)
17
43
37
6
학 생
교사의 57%, 학부모의 54%, 학생의 79%가 내년에도 남녀 혼성반 운영에 찬성하고 있다. 그러나 교사의 40%, 학부모의 24%, 학생의 45%가 보완 실시를 주장함으로써 혼성반 운영에 필요한 기본 여건의 성숙과 교육시설의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한 학부모의 33%가 실시 불가를 주장하여 학부모 대상의 혼성반 운영에 대한 취지 및 방법에 대한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6. 결 론
본교의 남녀 혼성반 시범 운영 결과 교과 학습 면에서는 긍정적인 반응보다는 부정적인 반응이 우세한 편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녀 혼성반 운영과 관련하여 교과 학습지도 방법상의 다양하고도 세밀한 접근이 동반되어야 하며, 남녀 혼성반 운영에 관한 전교사의 공감대 형성이 필수적인 선행조건임을 일깨워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학교생활 및 행동면에서는 교사와 학부모가 긍정적인 효과를 실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언행의 순화와 위생관리, 폭력사용의 감소에 남녀 혼성반 운영이 커다란 도움이 되었다. 또한 가치관 형성 및 인성 면에서도 남녀 평등혼성반 운영이 커다란 도움이 되었다. 또한 가치관 형성 및 인성 면에서도 남녀 평등정신의 함양, 건전한 이성교제와 대화, 상호 인간존중 정신의 함양 및 남녀의 원만한 관계형성과 사회생활에의 적응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거의 모든 부문에서 교사, 학부모, 학생의 의견이 엇갈린 양상으로 나타났다. 예를들어 교과 학습면에서 교사와 학생은 부정적인 응답을 하는 반면 학부모들이 학생을 통하여 판단하고 있는 것과 학교에서의 실제 생활상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남녀 혼성반의 운영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교사, 학부모, 학생이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삼위일체가 되어 노력해야 하고, 보다 치밀한 실천 계획이 수립되어 학교 단위의 운영에 관한 공동원칙과 방법의 공유가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남녀 혼성반 운영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탈의실, 특별교실등의 교육시설 확충등의 제반여건이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사실 이 부분은 설문조사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잇듯이 남녀 혼성반 운영에 대해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1개 학급 규모의 탈의실로 600여명의 학생을 수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수밖에 없다. 남녀 혼성반의 효율적인 운영을 통하여 남녀간의 상호 신뢰와 조화를 통하여 성차별 의식해소와 정서순화를 기하고, 폭력충동을 자제할 수 있는 건전한 학교 풍토를 조성하며, 상호간의 인격을 존중하고 남녀간의 예의와 품격을 지키며, 모든 전인적인 학습활동에서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서 실질적인 남녀의 균등한 교육기회 제공을 실천할 수 있다는 운영 주체의 신념과 더불어 시설 확충등의 행정적인 지원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