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처럼 인간관계의 불신과 갈등이 심화되면서 사회의 공동체적 유대의식도 약화될 뿐 아니라, 개인의 삶 그자체도 안정감을 확보하기 어렵게 될 것이다. 이처럼 인간과의 만남을 통해 실현하는 유교의 도덕성은 인간 간의 화합을 추구하는 것이며, 인격의 깊이를 가진 군자를 통하여 보면, '서로 조화를 이루면서도 각자의 개성을 지닌 상태'로 파악된다.
우리의 공동체가 가족이거나 지역사회 혹은 국가이거나 인간상호간에 이해를 시모하시킬 수 있는 공동체는 서로에 대한 '인'의 형제적 유대감을 확인하여야 하며, 그를 위해서는 유교의 공동체의 제의적 의례가 요구된다.
「주역」 태괘의 정신에서는 윗 계층이 스스로 낮추어 아래 계층으로 찾아오고, 아래 계층에서는 적극적으로 윗계층을 지향하는 사회가 태평한 사회라 하였다. 또한 익괘에서는 진정한 이익이란 높은 데서 덜어다 낮은 데로 보태는 것이요 , 낮은 데에서 덜어다 높은 데 보태는 것이 아니라 하였다.
이와 같이 유교문화는 아직도 우리에게 긍정적 가능성들을 많이 제시해 주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유교 문화의 긍정적인 면들을 잘 살려서 우리 사회를 보다 나은 사회로 만들어 가고, 한국문화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면 좋을 것 같다.
우리의 공동체가 가족이거나 지역사회 혹은 국가이거나 인간상호간에 이해를 시모하시킬 수 있는 공동체는 서로에 대한 '인'의 형제적 유대감을 확인하여야 하며, 그를 위해서는 유교의 공동체의 제의적 의례가 요구된다.
「주역」 태괘의 정신에서는 윗 계층이 스스로 낮추어 아래 계층으로 찾아오고, 아래 계층에서는 적극적으로 윗계층을 지향하는 사회가 태평한 사회라 하였다. 또한 익괘에서는 진정한 이익이란 높은 데서 덜어다 낮은 데로 보태는 것이요 , 낮은 데에서 덜어다 높은 데 보태는 것이 아니라 하였다.
이와 같이 유교문화는 아직도 우리에게 긍정적 가능성들을 많이 제시해 주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유교 문화의 긍정적인 면들을 잘 살려서 우리 사회를 보다 나은 사회로 만들어 가고, 한국문화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면 좋을 것 같다.
추천자료
고려시대의 종교상 고찰 - 유교와 불교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현대 정치와 유교
경북 지역의 불교, 유교 역사와 특징
모럴 헤저드의 극복 - 유교자본주의의 부활
삼국유사 속에 등장하는 유교
공자와 맹자의 이론에서 반추한 유교와 교육간의 관계 조망의 글
도현철(1994) 「고려시대 유교의 전개와 성격」『한국사』6 한길사
(유아교육개론) 유교의 유아교육 발표용 PPT
(신)자유주의와 유교공동체주의의 윤리관 비교
[감상문] 유교 2500년의 여행
[백암 박은식선생]백암 박은식선생의 연혁, 백암 박은식선생의 유교구신론, 백암 박은식선생...
[유학과 직업윤리] 제사와 조선시대 유교의 영향을 받은 제사풍속에 관하여
1980년부터 2000년대까지의 한국사회에서 유교란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