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표본조사의 기본원리
2. 표본관련 용어 및 개념
3. 표본추출률(標本抽出率 : sampling fraction)
4. 가중표본추출(weighted sampling) : 상황에 따라 표본추출률을 달리하여 표집함
5. 표본의 크기
6. 표본크기 결정 방법
7. 표본추출법
2. 표본관련 용어 및 개념
3. 표본추출률(標本抽出率 : sampling fraction)
4. 가중표본추출(weighted sampling) : 상황에 따라 표본추출률을 달리하여 표집함
5. 표본의 크기
6. 표본크기 결정 방법
7. 표본추출법
본문내용
9 3 5 2 0 5 2 3
7 8 5 6 1 2 7 4 0 0 2 6 8 9 2 3 1 9 5 4
9 0 1 0 8 9 0 9 8 4 5 1 6 6 7 7 0 0 0 3
2 3 2 8 2 3 5 3 8 2 1 8 3 6 7 7 5 4 5 6
6 5 3 3 5 0 7 5 4 9 4 0 0 3 9 2 1 4 8 2
0 5 5 2 0 8 0 0 5 6 4 2 2 9 7 8 0 2 7 8
25 7 0 3 6 7 6 2 8 5 7 7 3 0 6 0 7 4 0
9 2 9 2 9 1 8 8 2 9 6 4 0 4 6 7 9 8 8 9
3 33 1 5 8 0 1 4 3 8 3 4 8 5 9 9 8 9 1
4 2 5 8 4 5 3 0 9 2 9 6 6 7 3 3 6 5 1 5
2 6 0 5 4 3 2 4 4 9 4 3 6 4 2 9 9 3 0 8
2 7 0 9 3 0 1 9 8 4 6 5 3 0 3 5 0 3 6 7
1 3 7 7 3 6 9 2 5 4 2 4 1 2 0 0 6 0 4 5
0 2 7 0 4 6 2 1 4 4 8 2 3 9 7 7 6 2 3 3
2 8 7 0 7 0 2 6 9 8 9 1 1 4 5 3 6 5 7 2
8 5 2 7 3 2 9 3 1 0 1 1 6 3 4 0 3 8 7 5
1 5 3 1 1 8 8 2 0 9 2 6 2 9 6 8 9 8 7 0
2 0 6 4 2 1 3 8 0 9 6 1 9 0 1 6 6 6 9 1
1 4 3 2 4 0 2 8 8 6 5 4 6 2 5 7 0 7 8 9
2) 계통적 임의표본추출법 (systematic random sample)
3) 층화임의표본추출법(stratified random sample)
① 비례층화 표본추출법
② 비비례층화표본추출법
<표8> 비비례층화표본추출법의 예(Ⅰ)
차량보유실태 조사연구
4) 집락표본추출법(cluster sampling)
(2) 비확률표집방법
1) 할당표본추출법(quota sampling)
- 비례층화표본추출법과 유사하지만 비례층화표본추출법처럼 지역이나 연령분포에 따라 엄격하게 조사대상 인구를 저울질하지 않는 것이 차이점이라 하겠다.
2) 임의표본추출법(accidental, availability, haphazard sampling)
- 확보하기 쉽고 편리한 표집단위를 표본으로 추출하는 것이다.
3) 유의표본추출법(purpose sampling)
예를 들어 대통령선거 결과를 예측하기 위해서 이제까지 통상적으로 A라는 도시지역에서 압도적인 득표를 한 입후보자가 대통령선거에서 당선되는 사례가 많았던 점을 감안하여 A도시에 거주하는 유권자들의 태도를 조사함으로써 전국 유권자들의 태도조사에 대신하는 사례가 여기에 속한다. 미국 대통령선거의 결과를 예측하기 위해 때때로 뉴햄프셔주나 또는 메인주의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미국의 각종 언론기관에서 여론조사를 실시하는 것도 이들 2개주의 여론이 전통적으로 미국 전체 국민들의 대통령선거에 관한 태도를 대변해 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메인주는 미국 전역의 여론을 반영한다(As goes Maine, so goes the nation)
7 8 5 6 1 2 7 4 0 0 2 6 8 9 2 3 1 9 5 4
9 0 1 0 8 9 0 9 8 4 5 1 6 6 7 7 0 0 0 3
2 3 2 8 2 3 5 3 8 2 1 8 3 6 7 7 5 4 5 6
6 5 3 3 5 0 7 5 4 9 4 0 0 3 9 2 1 4 8 2
0 5 5 2 0 8 0 0 5 6 4 2 2 9 7 8 0 2 7 8
25 7 0 3 6 7 6 2 8 5 7 7 3 0 6 0 7 4 0
9 2 9 2 9 1 8 8 2 9 6 4 0 4 6 7 9 8 8 9
3 33 1 5 8 0 1 4 3 8 3 4 8 5 9 9 8 9 1
4 2 5 8 4 5 3 0 9 2 9 6 6 7 3 3 6 5 1 5
2 6 0 5 4 3 2 4 4 9 4 3 6 4 2 9 9 3 0 8
2 7 0 9 3 0 1 9 8 4 6 5 3 0 3 5 0 3 6 7
1 3 7 7 3 6 9 2 5 4 2 4 1 2 0 0 6 0 4 5
0 2 7 0 4 6 2 1 4 4 8 2 3 9 7 7 6 2 3 3
2 8 7 0 7 0 2 6 9 8 9 1 1 4 5 3 6 5 7 2
8 5 2 7 3 2 9 3 1 0 1 1 6 3 4 0 3 8 7 5
1 5 3 1 1 8 8 2 0 9 2 6 2 9 6 8 9 8 7 0
2 0 6 4 2 1 3 8 0 9 6 1 9 0 1 6 6 6 9 1
1 4 3 2 4 0 2 8 8 6 5 4 6 2 5 7 0 7 8 9
2) 계통적 임의표본추출법 (systematic random sample)
3) 층화임의표본추출법(stratified random sample)
① 비례층화 표본추출법
② 비비례층화표본추출법
<표8> 비비례층화표본추출법의 예(Ⅰ)
차량보유실태 조사연구
4) 집락표본추출법(cluster sampling)
(2) 비확률표집방법
1) 할당표본추출법(quota sampling)
- 비례층화표본추출법과 유사하지만 비례층화표본추출법처럼 지역이나 연령분포에 따라 엄격하게 조사대상 인구를 저울질하지 않는 것이 차이점이라 하겠다.
2) 임의표본추출법(accidental, availability, haphazard sampling)
- 확보하기 쉽고 편리한 표집단위를 표본으로 추출하는 것이다.
3) 유의표본추출법(purpose sampling)
예를 들어 대통령선거 결과를 예측하기 위해서 이제까지 통상적으로 A라는 도시지역에서 압도적인 득표를 한 입후보자가 대통령선거에서 당선되는 사례가 많았던 점을 감안하여 A도시에 거주하는 유권자들의 태도를 조사함으로써 전국 유권자들의 태도조사에 대신하는 사례가 여기에 속한다. 미국 대통령선거의 결과를 예측하기 위해 때때로 뉴햄프셔주나 또는 메인주의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미국의 각종 언론기관에서 여론조사를 실시하는 것도 이들 2개주의 여론이 전통적으로 미국 전체 국민들의 대통령선거에 관한 태도를 대변해 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메인주는 미국 전역의 여론을 반영한다(As goes Maine, so goes the natio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