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전기문학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전기문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조선 전기 문학

<시대개관>

< 악 장 (樂章) >

< 언 해 (諺解) >

< 시 조 (時調) >

<가사>

<한문학>

<소설>

본문내용

계와 생애 및 성품, 공과를 서술하기 위해 대상이 되는 사물에 얽힌 여러 전고(典故)를 많이 도입하고 있어 자못 현학적인 분위기를 이끌어내는 것이 보통이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가전의 형식을 벗어나 본기체(本紀體), 연의체(演義體) 등의 작품들도 활발하게 창작되었다. 임제(林悌)의 《수성지(愁城誌)》, 정태제(鄭泰齊)의 《천군연의(天君演義)》 등이 대표작들이다. 그러나 가전을 표방하고 있는 작품들도 꾸준히 창작되었는데, 이들 중에는 대화와 행동을 부각함으로써 평면적 서술을 지양한 유본학(柳本學)의 《오원전(烏圓傳)》과 같은 작품들이 있는가 하면 송세림(宋世琳)의 《주장군전(朱將軍傳)》처럼 풍자보다는 해학을 주조로 한 희필적인 작품들까지도 생겨났다.
3) 가전(假傳)의 발생과 양식적 특성
① 발생 : 중국은 당대(唐代) 한유(768 - 824)의 '모영전(毛潁傳)' 이 최초의 작품이고, 우리 나라에서는 고려 시대 임춘의 '국순전(麴醇傳)'과 '공방전(孔方傳)' 이 남아 있는 문헌상 최초의 작품이다.
② 특징 : 사물이나 동물, 식물을 의인화해서 내용, 속성, 가치를 주로 표현한 것이다. 마치 사람의 일대기(傳)처럼 표현하고, 또 중 역사책인 사마천의 〈사기〉의 열전(列傳)처럼 사신(史臣)의 평이 붙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4) 가전체와 문학사적 위치
가전의 전기(傳記)형식과 허구적 성격으로 말미암아 후대의 소설 발생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즉, 고전 소설이 대부분 '∼전'이라는 제목 아래 개인의 일생을 다루고 있는 허구적 서사물이라는 점에서 가전은 고전 소설과 통한다. 그러나 가전은 소설 그 자체는 아니다. 아직 역사적 전거(典據: 근거로 삼는 문헌상의 출처)를 관념적으로 나열하고 있어 작품 내적 세계의 독자성이 확보되지 않고 있으며, 서술적 형상화에 크게 미흡하기 때문이다.
5) 작품
< 저생전(楮生傳)>
① 갈래 : 가전
② 성격 : 경세적, 교훈적
③ 주제 : 문신으로서의 올바른 삶
④ 출전 : 《동문선》
⑤. 작품해설 : 이 작품에 의인화되어 있는 저생의 생애는 작자 이첨의 실제 생애와 아주 유사하다. 작가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에 이르기까지 9명의 임금을 섬기는 동안 화려한 벼슬살이를 하기도 하였지만, 직언을 하다가 여러 번 귀양살이도 하였으니, 그야말로 영욕의 삶을 살았던 인물이다. 작가는 자신의 파란만장한 생애를 종이의 역사나 기능에 의탁하여 당시 부패한 선비의 도에 대하여 경종을 울리려고 이 작품을 썼다고 볼 수 있다.
2. 몽유록
1) 몽유록 개관
꿈에서 겪은 일을 적은 교술 문학. 꿈 속의 일은 허구이지만, 그 내용은 역사적 사실을 비판적으로 해석한다. 심의의 '대관재몽유록(大觀齋夢遊錄-'문장 왕국'을 설정 최치원이 천자, 이제현이 좌상, 을지문덕 수상, 이규보 우상으로 등장)', 임제의 '원생몽유록(元生夢遊錄-생육신의 한사람인 원회로 추정되는 원자허가 어느 날 꿈 속에서 낯선 곳으로 인도되어 단종과 사육신이 한자리에 모여 이야기를 나눔)'이 있다.
2) 작품
<원생몽유록(元生夢遊錄)>
① 연대 : 선조 때(16세기)
② 갈래 : 한문 소설, 몽유록계 소설
③ 성격 : 애상적, 저항적
④ 주제 : 인간사의 부조리에 대한 회의, 모순된 정치 권력의 비판
⑤ 출전 : 《백호집》
⑥ 작자 : 임제(林悌, 1549-1587)
명종 - 선조 때의 문인. 자는 자순(子順), 호는 백호(白湖). 소년 시절을 방탕한 생활로 보내다가 20세부터 학문에 정진하여 선조 9년에 대과에 급제하였다. 그러나 현실에 순응하지 못하고 법도를 초탈하여 호방하게 지냈다. 봉건적 권위에 반항했던 인간으로서 주정적이고 낭만적인 인생 자세를 견지하였다.
문집으로 《백호집》을 남겼는데, 여기에 <화사> <수성지> <원생몽유록> 등의 한문 소설이 전한다.
3) 몽유와 현실 그리고 작가 의식
우리 소설사에서 초기에 나타난 소설들은 대체로 몽유에 의한 전개 방식을 택하고 있다. 《금오신화》의 작품들이 그렇고 <원생몽유록>이 그렇다. 이 몽유를 통해 작가는 현실적 욕구의 충족을 ]체험하고 사회 부조리와 모순을 비판한다. 환상적이고 낭만적인 가공의 세계에 사회 현실을 투사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현실적 부조리와 모순을 자각하면서도 현실의 속박, 봉건적 사회 구조에서 벗어날 수 없는 시대적 한계를 암시하는 것이다.
이 작품에 나오는 인물들을 보아도 작가의 의도가 단종의 폐위와 죽음에 대한 슬프고도 분한 감정의 표출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봉건 왕조의 전 시대를 통하여 성군으로 추앙받는 요순우탕을 비난하는 발언이 나오는 것은 반유가적이고 반체제적인 작가의 면목이 엿보이는 부분이다.
그러나 작가는 사회 비판이나 갈등 대립의 설정에 초점을 두지 않고, 작품의 분위기를 감상과 애한으로 몰아가고 있다. 등장 인물들이 읊은 시도 일률적으로 한스러운 생전의 일을 펼쳐 놓은 것들이다. 인물들이 생전에 겪은 공동의 비운으로 말미암아 이야기는 별다른 갈등이나 위기 없이 비분강개의 일방 통로를 따라 전개되었다. 그러다가 작품의 끝 부분에 첨부된 해월 거사의 평을 통해 작품의 의미를 해명하고 있다. 그것은 현실에 대한 비분 강개의 차원을 넘어 부조리한 인간사에 대한 작가의 깊은 회의였다.
4) 몽유록과 몽자류의 차이
작품 전개에 꿈이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소설들은 꿈 속에서 겪은 일을 중심 소재로 삼고, '현실- 입몽-꿈-각몽-현실'이라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몽유록계 소설에서는 꿈과 현실을 별개의 세계로 인식하고 있고, 몽자류 소설에서는 현실 자체를 꿈과 같이 무상한 것으로 보고 있다. 즉, 몽유록계 소설에서의 꿈은 현실의 불만을 해소하거나 만족을 이룩하는 공간이고, 몽자류 소설에서의 꿈은 이 세상에서 추구하는 욕망이나 삶 자체가 무상하다는 것을 깨닫게 하는 공간이다.
위에 소개된 <원생몽유록>과 <구운몽>을 비교해 보면 이 사실은 분명해 진다.
♠ 참고 자료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2」. 지식산업사.
http://gobai.com.ne.kr/gairon/josun.html
백철·이병기.「국문학전사」.신구문화사(1987)
문일한.「조선 고전 문학사」. 한국문화사(1997)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5.02.22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62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