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재론과 반실재론을 넘어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세계와 정신

3 경험의 두 차원

4 경험과 이론화

5 맺는 말

본문내용

자신의 견해가 정당성을 얻는 것 같은 태도를 유지한다. 그러나 실재론/반실재론의 이분법적 대립은 순수하게 이론적 차원에서의 문제이다. 우리의 실제 경험에 눈을 돌려보면 실재론과 반실재론은 우리의 경험의 구조에 관한 대립적인 이론들이 아니라 부분적이고 제한적인 이론들이다.
5 맺는 말
최근까지 지속되었던 실재론과 반실재론의 대립적 논쟁은 미해결의 논쟁으로 남은 채 서서히 그 생명력을 잃어 가는 것으로 보인다. 철학자들은 차츰 이 문제를 다루지 않게 되었으며, 새로운 방향으로 논의의 초점을 옮겨간다. 이것은 이례적인 현상도 불운한 현상도 아니다. 대신에 이러한 논의는 분명히 우리의 경험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방향을 촉구한다. 마치 하나의 씨앗이 새로운 싹을 틔워내는 것으로 그 소임을 다 하는 것처럼 실재론/반실재론 논쟁은 새로운 다음의 문제를 배태(胚胎)하는 것으로 그 소임을 다 한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그 동안의 실재론/반실재론 논쟁은 아무런 해결에 도달하지는 못했지만 결코 무용한 것만은 아니다.
체험주의적 시각을 수용하는 것은 실재론 또는 반실재론을 지지하는 것도 아니며, 동시에 그 어느 쪽을 거부하는 것도 아니다.
) 레이코프와 존슨은 최근에 자신들의 견해를 '신체화된 실재론'(embodied realism)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지만 그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는 용어 선택으로 보인다. 그것은 이 견해가 실재론/반실재론 논쟁의 구도에서 본다면 실재론도 반실재론도 아닌 제3의 새로운 시각이기 때문이다. Johnson, The Body in the Mind, 8장; Lakoff and Johnson, Philosophy in the Flesh, 6장 등 참조.
그것은 오히려 오늘날 논의되고 있는 형태의 실재론/반실재론이라는 이분법적 이해 방식이 우리 경험의 포괄적 해명이라는 차원에서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을 뿐이다. 그것은 이러한 반성적 고찰은 경험에 대한 '이론화'를 통해 무엇이 억제되며, 무엇이 부가되는지를 되돌아봄으로써 경험에 대한 새로운 시각에로의 전환을 요구한다. 그래서 우리가 스스로를 부분적으로 실재론자라고 말한다 하더라도 그것은 결코 '형이상학적 실재론'이 아니다. 그러나 형이상학적 실재론을 거부한다고 해서 곧 반실재론자가 되는 것도 아니다.
이것은 단순히 대립적인 이론을 적절하게 화해시키려는 절충적인 견해가 아니라 오히려 그 논의 구도 자체에 대한 해체적 성향을 드러내는 또 하나의 새로운 메타적 시각이다. 로티의 표현을 빌면 그것은 논의의 유용성에 물음을 제기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체험주의는 그러한 거부를 통해 그 자체로 철학적 작업이 완수되었다고 선언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 주어진 경험 과학을 통해 경험의 구조에 대한 더 나은 해명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그래서 그러한 철학적 태도는 '해체'와는 다른 새로운 이름을 필요로 한다.
참고 문헌
김여수. 「진리와 실재론」. 한국분석철학회 편(1993).
노양진. 「퍼트남의 내재적 실재론과 상대주의의 문제」. 『철학』 39집 (1993 봄): 359-83.
. 「체험주의의 철학적 전개」, 『범한철학』 10집 (1995 봄): 341-76.
.「로티의 듀이 해석」. 김동식 편. 『로티와 철학과 과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97.
.「지칭에서 의미로」. 『철학』 56집 (1998 가을): 193-214.
로티, R. 『실용주의의 결과』. 김동식 역. 서울: 민음사, 1996.
비트겐슈타인, L. 『논리 철학 논고』. 이영철 역. 수정판. 서울: 천지, 1994.
.『철학적 탐구』, 이영철 역. 서울: 서광사, 1994.
소흥렬. 「관념론과 유물론의 종합」. 한국분석철학회 편(1993).
오종환. 「온건한 상대주의의 옹호」. 한국분석철학회 편(1993).
정대현. 「실재론과 넓은 지칭」. 한국분석철학회 편(1993).
퍼트남, H. 『이성, 진리, 역사』. 김효명 역. 서울: 민음사, 1987.
한국분석철학회 편. 『실재론과 반실재론』.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93.
Devitt, Michael. Realism and Truth. 2nd ed. Oxford: Blackwell, 1991.
Dewey, John. Experience and Nature: The Later Works, 1925-1953, Vol. 1. Ed. Jo Ann Boydston. Carbondale, Ill.: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88.
Dummett, Michael. Truth and Other Enigmas.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Johnson, Mark. The Body in the Mind: The Bodily Basis of Meaning, Imagination, and Reas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Lakoff, George and Mark Johnson. Philosophy in the Flesh: The Embodied Mind and Its Challenge to Western Thought. New York: Basic Books, 1999.
Putnam, Hilary. Reason, Truth and Histo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
. Realism with a Human Face. Ed. James Conant.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Searle, John. Intentional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Wittgenstein, Ludwig. The Blue and Brown Books. New York: Harper & Row, 1965.
. Zettel. Trans. G. E. M. Anscombe. Berkeley, Cal.: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0.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04.15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29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