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아모스의 구성
2. 아모스서의 여러 가지 첨가물들
3. 아모스 인물과 활동 배경
4. 아모스의 환상을 통한 심판 확신
5. 아모스의 미래 선포
6. 아모스의 고발
7. 아모스의 구원선포 여부 논쟁
2. 아모스서의 여러 가지 첨가물들
3. 아모스 인물과 활동 배경
4. 아모스의 환상을 통한 심판 확신
5. 아모스의 미래 선포
6. 아모스의 고발
7. 아모스의 구원선포 여부 논쟁
본문내용
제를 사회 정의 결핍과 올바른 제의 회복 둘 중 하나로 선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5:24에 의하면 사회 정의 결핍을 주제로 볼 수 있으나, 오히려 사회 정의가 올바른 제의와 연결되어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바가 아닐까?
7. 아모스의 구원선포 여부 논쟁
아모스가 미래 선포를 넘어서 구원의 여운을 남겼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많다. 아모스서의 결말에 나오는 구원 예언(9:11이하)은 아모스가 말하지 않았다. 조건적 구원을 허용하는 “나를 찾으라 그리하면 살리라”(5:4)는 권고를 아모스가 한 말로 보아야 하는지의 문제는 아직도 불분명하다. 어쨌든, 아모스나 그의 제자 무리에 의해 선포되었든지 간에, 우리가 집중할 것은 선을 사랑하고 정의를 행하는 자들의 생존 가능성이 확실하지 않다는 것이다.-은혜는 오직 ‘남은 자’에게만 주어지며, 그것조차도 단지 “어쩌면” 주어질지도 모르는 것이다.(5:15) 따라서, 이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도하는지 의문을 제시한다. 진정한 구원의 희망은 호세아에 와서야 비로소 언급된다(1:10-2:1, 2:18이하). 그러나 역사의 진행과 북왕국의 멸망(기원전722)은 오히려 아모스가 옳았음을 보여 주었다.
7. 아모스의 구원선포 여부 논쟁
아모스가 미래 선포를 넘어서 구원의 여운을 남겼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많다. 아모스서의 결말에 나오는 구원 예언(9:11이하)은 아모스가 말하지 않았다. 조건적 구원을 허용하는 “나를 찾으라 그리하면 살리라”(5:4)는 권고를 아모스가 한 말로 보아야 하는지의 문제는 아직도 불분명하다. 어쨌든, 아모스나 그의 제자 무리에 의해 선포되었든지 간에, 우리가 집중할 것은 선을 사랑하고 정의를 행하는 자들의 생존 가능성이 확실하지 않다는 것이다.-은혜는 오직 ‘남은 자’에게만 주어지며, 그것조차도 단지 “어쩌면” 주어질지도 모르는 것이다.(5:15) 따라서, 이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도하는지 의문을 제시한다. 진정한 구원의 희망은 호세아에 와서야 비로소 언급된다(1:10-2:1, 2:18이하). 그러나 역사의 진행과 북왕국의 멸망(기원전722)은 오히려 아모스가 옳았음을 보여 주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