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구개파열의 원인과 유형
1.1 구개파열의 원인
1.1.1 발생학(embryology)
1.1.1.1 구조
1.1.1.2 발생학적 순서
1.1.2 발달적 요인
1.1.3 유전적(genetic) 요인
1.1.4 환경적 요인
1.1.5 물리적인 힘이나 방해(mechnical obstruction) 요인
1.2 구개파열의 유형
1.2.1 용어의 정의
1.2.1.1 입술파열 vs 구개파열
1.2.1.2 완전파열 vs 불완전파열
1.2.1.3 양측파열 vs 외측파열
1.2.1.4 전반부파열 vs 후반부파열
1.2.2 분류체계
1.2.2.1 미국구개파열학회(1962)의 분류체계
1.2.2.2 Kernahan and Stark(1958)의 분류체계
1.2.2.3 Veau(1931)의 분류체계
1.2.2.4 Davis and Ritchie(1922)의 분류체계
2. 구개파열 언어장애
2.1 음성장애
2.1.1 목쉰 음성
2.1.2 약한 음성과 단음조 음성
2.1.3 억압된 음성
2.2 공명장애
2.2.1 연인두폐쇄(velopharyngeal closure)
2.2.2 과대비성
2.2.3 맹관공명(cul-de-sac)
2.3 조음장애
2.3.1 오류의 유형
2.3.2 오류음소
3. 구개파열 언어장애 평가
3.1 발성 및 공명장애 평가
3.1.1 비강기류 방출 검사
3.1.2 과대비성 검사
3.1.3 음성 검사
3.2 조음장애 평가
4. 치료
4.1 외과적 치료
4.1.1 인두피부판(pharyngeal flap) 수술
4.1.2 V-Y 후위법(V-Y retropositon)
4.2 언어치료
4.2.1 혀운동
4.2.1.1 혀의 위치와 접촉점 인식훈련
4.2.1.2 혀의 기동성 증진훈련
4.2.2 입술훈련
4.2.3 조음점 확립훈련
4.2.4 청능훈련
4.2.5 음성치료
4.2.5.1 비성감소 훈련
4.2.5.2 보상치료
4.2.6 정확한 기류유출과 구인두 괄약근(palatopharyngeal sphincter) 사용훈련
4.2.7 구인두괄약근과 조음근육의 협응훈련
4.2.8 성문폐쇄음 극복훈련
4.2.9 인두마찰음 혹은 후두마찰음 극복훈련
4.2.10 얼굴표정 훈련
4.2.11 감각자극 훈련
1.1 구개파열의 원인
1.1.1 발생학(embryology)
1.1.1.1 구조
1.1.1.2 발생학적 순서
1.1.2 발달적 요인
1.1.3 유전적(genetic) 요인
1.1.4 환경적 요인
1.1.5 물리적인 힘이나 방해(mechnical obstruction) 요인
1.2 구개파열의 유형
1.2.1 용어의 정의
1.2.1.1 입술파열 vs 구개파열
1.2.1.2 완전파열 vs 불완전파열
1.2.1.3 양측파열 vs 외측파열
1.2.1.4 전반부파열 vs 후반부파열
1.2.2 분류체계
1.2.2.1 미국구개파열학회(1962)의 분류체계
1.2.2.2 Kernahan and Stark(1958)의 분류체계
1.2.2.3 Veau(1931)의 분류체계
1.2.2.4 Davis and Ritchie(1922)의 분류체계
2. 구개파열 언어장애
2.1 음성장애
2.1.1 목쉰 음성
2.1.2 약한 음성과 단음조 음성
2.1.3 억압된 음성
2.2 공명장애
2.2.1 연인두폐쇄(velopharyngeal closure)
2.2.2 과대비성
2.2.3 맹관공명(cul-de-sac)
2.3 조음장애
2.3.1 오류의 유형
2.3.2 오류음소
3. 구개파열 언어장애 평가
3.1 발성 및 공명장애 평가
3.1.1 비강기류 방출 검사
3.1.2 과대비성 검사
3.1.3 음성 검사
3.2 조음장애 평가
4. 치료
4.1 외과적 치료
4.1.1 인두피부판(pharyngeal flap) 수술
4.1.2 V-Y 후위법(V-Y retropositon)
4.2 언어치료
4.2.1 혀운동
4.2.1.1 혀의 위치와 접촉점 인식훈련
4.2.1.2 혀의 기동성 증진훈련
4.2.2 입술훈련
4.2.3 조음점 확립훈련
4.2.4 청능훈련
4.2.5 음성치료
4.2.5.1 비성감소 훈련
4.2.5.2 보상치료
4.2.6 정확한 기류유출과 구인두 괄약근(palatopharyngeal sphincter) 사용훈련
4.2.7 구인두괄약근과 조음근육의 협응훈련
4.2.8 성문폐쇄음 극복훈련
4.2.9 인두마찰음 혹은 후두마찰음 극복훈련
4.2.10 얼굴표정 훈련
4.2.11 감각자극 훈련
본문내용
자음 산출이 종종 더 쉽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연습합니다:
압-아, 압-아, 압-아이, 압-이...
⑦ 음절연습시에는 /아/부터 시작합니다. 왜냐하면 /우/나 /이/에서와는 달리, 연구개가 높이 위치되지 않아도 /아/는 산출되고 혀가 평평해서 구강을 통과하는 기류가 저항을 덜 받기 때문입니다.
4.2.4 청능훈련
① 비성과 무비성 단어짝을 만들어 변별훈련을 실시합니다: 밤-밥, 맛-받, 공-곧...
② 자신의 음질을 인식하는 훈련을 실시합니다.
a) 환자음성을 녹음할 것을 허락을 받습니다.
b) 녹음된 음성을 분석하고 토론합니다.
c) 음성을 변화시켜 산출하도록 시도합니다: 좀더 크게, 좀더 높게, 좀더 낮게...
d) 비성을 감소시켜 산출하도록 시도합니다.
4.2.5 음성치료
4.2.5.1 비성감소 훈련
① 구강바닥에 혀을 이완시킨 상태로 두는 이완훈련을 합니다.
② 혀가 이완되고 평평한 상태에서 /아/를 산출합니다. /이/와 /우/도 같은 훈련을 실시합니다.
③ 구강개방을 많이 하도록 강조하고 훈련동안 이가 닫혀 있지 않도록, 또 설첨이 열려진 입 중간에 나오지 않도록 주의시킵니다.
④ /m/과 /n/을 허밍합니다. 한 번에 한쪽 비공을 막고 실시하고 마지막에는 두 비공을 모두 개방한 상태에서 실시합니다.
⑤ 허밍합니다. 처음에는 입을 다물고 하다가 점차적으로 입을 열어서 모음을 산출하면서 실시합니다.
⑥ 휘파람을 불기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허밍을 삽입하여 휘파람과 허밍이 동시에 되도록 합니다.
⑦ 비성이 적은 모음으로부터 시작하여 다른 모음으로 훈련을 해 나갑니다.
4.2.5.2 보상치료
① 입을 크게 벌리고 말하도록 합니다.
② 힘을 준 음성과 힘을 덜주어 산출한 음성을 대조하면서 보다 나은 음성을 사용하도록 합니다.
4.2.6 정확한 기류유출과 구인두 괄약근(palatopharyngeal sphincter) 사용훈련
① 휘파람을 붑니다.
② 부는 악기(피리, 하모니카 등)를 연주합니다.
③ 빨아들이는 게임을 실시합니다.
④ 허밍합니다.
⑤ 하품하기를 실시합니다.
a) 하품할 때의 입모양으로 숨을 들이쉰 다음, 소리를 내지 않고 모음을 산출할 때의 입모양
을 하고 숨을 내쉽니다.
b) 하품할 때의 입모양으로 숨을 들이쉰 다음, 모음을 산출하면서 숨을 내쉽니다.
c) 하품할 때의 입모양을 상상만하고 모음을 산출합니다. 거울을 이용합니다.
⑥ 연구개의 움직임을 의도적으로 느끼게 합니다. 거울을 보면서 단속적인 발성/아 - 아 - 아 -/를 실시합니다.
⑦ 모음과 비성자음을 교대로 연습합니다: /아-앙 아-앙 아-앙/
⑧ 입에 공기를 물고 유지하는 훈련을 합니다.
a) 뺨부풀리기를 합니다. 필요하면 비공을 막습니다.
b) 짧은 코파람을 유출시키되, 구개를 거상시키고 구인두 괄약근에 힘을 주면서 실시합니다
(킁킁거리는 것처럼).
c) 공기를 구강을 통해 유출시키는 것과 비강을 통해 유출시키는 훈련을 교대로 실시합니다.
4.2.7 구인두괄약근과 조음근육의 협응훈련
하나의 자음으로부터 시작합니다. 일반적으로 /p/가 가장 쉽습니다.
① 공기를 입안에 가득 물고 입술을 다문 채로, 구인두 괄약근을 통해 누출시킵니다. 즉 입안의 공기가 목구멍쪽으로 꺼지게 합니다.
② 허밍(괄약근이 약간 열린 상태)하고, 뺨을 부풀려서 입 안에 공기를 모읍니다(괄약근이 닫힌 상태).
③ 허밍 -> 뺨 부풀리기 -> 허밍 -> 뺨 부풀리기를 교대로 반복하여 연습합니다.
④ 허밍 -> 뺨 부풀리기 -> /p/를 산출하면서 공기를 유출시키기를 연습합니다.
⑤ 뺨 부풀리기 -> 입술이완 -> 비공을 막은 채로 /p/ 산출하기를 연습합니다.
⑥ 음-파, 음-페이, 음-피, 음-포, 음-푸 등을 빠르게 반복하여 구인두 괄약근의 개방-폐쇄를 반복적으로 실시합니다.
⑦ 위의 절차를 보다 빠르게 마치 연속구어의 속도에 맞게 연습합니다. 은-파, 은-페이, 은-피, 은-포, 은-푸 등과 응-파, 응-페이, 응-피, 응-포, 응-푸 등을 이용하여서도 연습합니다.
⑧ 비성을 없애고 파열자음만을 연습합니다:
a) 파, 페이, 피, 포, 푸
b) 파파, 페이 페이, 피피, 포포, 푸푸
c) 파파파, 페이 페이 페이, 피피피, 포포포, 푸푸푸
⑨ /p/를 어말에서 연습합니다: 압, 밥, 갑, 납, 삽, 팁, 팝, 힙, 오답, 고집
4.2.8 성문폐쇄음 극복훈련
① 모든 음소를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산출하는 훈련을 합니다.
② 허밍을 합니다: 처음에는 작은 양의 공기가 코를 통해 나가도록 부드럽게 허밍하고, 점차 모음을 삽입해가며 허밍합니다.
③ 속삭이는 듯한 산출훈련을 합니다: 숨을 가볍게 입을 통해 들이 쉬고 내쉽니다; 쉬운 모음부터 시작하여, 무성자음을 시도하고, 그 다음은 유성자음으로 옮겨갑니다.
④ 파열음을 처음 산출할 때, 임상가는 자신의 손가락으로 환자의 아랫입술을 적당히 움직여서 공기가 유출되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4.2.9 인두마찰음 혹은 후두마찰음 극복훈련
① 숨을 들이쉬고, 비공을 막고, 입술은 거의 다문 상태에서 가볍게 공기를 내쉽니다.
② 치아와 아랫입술을 /f/를 산출할 때의 모양을 하고 위의 절차를 반복합니다.
③ 정확히 산출하는 마찰음으로부터 시작하여 다른 마찰음으로 옮겨가며 산출합니다. 일반적으로 비교적 쉬운 /f/로 시작하여 가장 어려운 마찰음인 /s/로 끝냅니다.
④ 휘파람을 불게하고, 점차 휘파람에서 목표음소로 옮겨 갑니다.
4.2.10 얼굴표정 훈련
① 조음훈련을 할 때 거울이나 비디오 녹화를 이용하여, 얼굴표정을 관찰합니다.
② 거울이나 비디오를 이용하여 얼굴표정을 변경하는 훈련을 합니다.
③ 손이나 손가락을 이용하여 원치 않는 표정을 방지해가며 연습합니다.
4.2.11 감각자극 훈련
① 촉각 감각(tactile sensation)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조음기관들을 면봉, 설압자, 치경 등을 이용하여 만져줍니다.
② 저항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조음기관들에 설압자를 이용하여 압력을 가하거나, 물체를 입안에 혹은 입술에 대어주고 물체를 조음근육을 사용하여 힘껏 잡도록(유지하도록) 합니다.
③ 차갑고, 따뜻하고, 거칠고, 부드러운 물체를 사용하여 조음기관들에 자극을 줍니다.
압-아, 압-아, 압-아이, 압-이...
⑦ 음절연습시에는 /아/부터 시작합니다. 왜냐하면 /우/나 /이/에서와는 달리, 연구개가 높이 위치되지 않아도 /아/는 산출되고 혀가 평평해서 구강을 통과하는 기류가 저항을 덜 받기 때문입니다.
4.2.4 청능훈련
① 비성과 무비성 단어짝을 만들어 변별훈련을 실시합니다: 밤-밥, 맛-받, 공-곧...
② 자신의 음질을 인식하는 훈련을 실시합니다.
a) 환자음성을 녹음할 것을 허락을 받습니다.
b) 녹음된 음성을 분석하고 토론합니다.
c) 음성을 변화시켜 산출하도록 시도합니다: 좀더 크게, 좀더 높게, 좀더 낮게...
d) 비성을 감소시켜 산출하도록 시도합니다.
4.2.5 음성치료
4.2.5.1 비성감소 훈련
① 구강바닥에 혀을 이완시킨 상태로 두는 이완훈련을 합니다.
② 혀가 이완되고 평평한 상태에서 /아/를 산출합니다. /이/와 /우/도 같은 훈련을 실시합니다.
③ 구강개방을 많이 하도록 강조하고 훈련동안 이가 닫혀 있지 않도록, 또 설첨이 열려진 입 중간에 나오지 않도록 주의시킵니다.
④ /m/과 /n/을 허밍합니다. 한 번에 한쪽 비공을 막고 실시하고 마지막에는 두 비공을 모두 개방한 상태에서 실시합니다.
⑤ 허밍합니다. 처음에는 입을 다물고 하다가 점차적으로 입을 열어서 모음을 산출하면서 실시합니다.
⑥ 휘파람을 불기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허밍을 삽입하여 휘파람과 허밍이 동시에 되도록 합니다.
⑦ 비성이 적은 모음으로부터 시작하여 다른 모음으로 훈련을 해 나갑니다.
4.2.5.2 보상치료
① 입을 크게 벌리고 말하도록 합니다.
② 힘을 준 음성과 힘을 덜주어 산출한 음성을 대조하면서 보다 나은 음성을 사용하도록 합니다.
4.2.6 정확한 기류유출과 구인두 괄약근(palatopharyngeal sphincter) 사용훈련
① 휘파람을 붑니다.
② 부는 악기(피리, 하모니카 등)를 연주합니다.
③ 빨아들이는 게임을 실시합니다.
④ 허밍합니다.
⑤ 하품하기를 실시합니다.
a) 하품할 때의 입모양으로 숨을 들이쉰 다음, 소리를 내지 않고 모음을 산출할 때의 입모양
을 하고 숨을 내쉽니다.
b) 하품할 때의 입모양으로 숨을 들이쉰 다음, 모음을 산출하면서 숨을 내쉽니다.
c) 하품할 때의 입모양을 상상만하고 모음을 산출합니다. 거울을 이용합니다.
⑥ 연구개의 움직임을 의도적으로 느끼게 합니다. 거울을 보면서 단속적인 발성/아 - 아 - 아 -/를 실시합니다.
⑦ 모음과 비성자음을 교대로 연습합니다: /아-앙 아-앙 아-앙/
⑧ 입에 공기를 물고 유지하는 훈련을 합니다.
a) 뺨부풀리기를 합니다. 필요하면 비공을 막습니다.
b) 짧은 코파람을 유출시키되, 구개를 거상시키고 구인두 괄약근에 힘을 주면서 실시합니다
(킁킁거리는 것처럼).
c) 공기를 구강을 통해 유출시키는 것과 비강을 통해 유출시키는 훈련을 교대로 실시합니다.
4.2.7 구인두괄약근과 조음근육의 협응훈련
하나의 자음으로부터 시작합니다. 일반적으로 /p/가 가장 쉽습니다.
① 공기를 입안에 가득 물고 입술을 다문 채로, 구인두 괄약근을 통해 누출시킵니다. 즉 입안의 공기가 목구멍쪽으로 꺼지게 합니다.
② 허밍(괄약근이 약간 열린 상태)하고, 뺨을 부풀려서 입 안에 공기를 모읍니다(괄약근이 닫힌 상태).
③ 허밍 -> 뺨 부풀리기 -> 허밍 -> 뺨 부풀리기를 교대로 반복하여 연습합니다.
④ 허밍 -> 뺨 부풀리기 -> /p/를 산출하면서 공기를 유출시키기를 연습합니다.
⑤ 뺨 부풀리기 -> 입술이완 -> 비공을 막은 채로 /p/ 산출하기를 연습합니다.
⑥ 음-파, 음-페이, 음-피, 음-포, 음-푸 등을 빠르게 반복하여 구인두 괄약근의 개방-폐쇄를 반복적으로 실시합니다.
⑦ 위의 절차를 보다 빠르게 마치 연속구어의 속도에 맞게 연습합니다. 은-파, 은-페이, 은-피, 은-포, 은-푸 등과 응-파, 응-페이, 응-피, 응-포, 응-푸 등을 이용하여서도 연습합니다.
⑧ 비성을 없애고 파열자음만을 연습합니다:
a) 파, 페이, 피, 포, 푸
b) 파파, 페이 페이, 피피, 포포, 푸푸
c) 파파파, 페이 페이 페이, 피피피, 포포포, 푸푸푸
⑨ /p/를 어말에서 연습합니다: 압, 밥, 갑, 납, 삽, 팁, 팝, 힙, 오답, 고집
4.2.8 성문폐쇄음 극복훈련
① 모든 음소를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산출하는 훈련을 합니다.
② 허밍을 합니다: 처음에는 작은 양의 공기가 코를 통해 나가도록 부드럽게 허밍하고, 점차 모음을 삽입해가며 허밍합니다.
③ 속삭이는 듯한 산출훈련을 합니다: 숨을 가볍게 입을 통해 들이 쉬고 내쉽니다; 쉬운 모음부터 시작하여, 무성자음을 시도하고, 그 다음은 유성자음으로 옮겨갑니다.
④ 파열음을 처음 산출할 때, 임상가는 자신의 손가락으로 환자의 아랫입술을 적당히 움직여서 공기가 유출되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4.2.9 인두마찰음 혹은 후두마찰음 극복훈련
① 숨을 들이쉬고, 비공을 막고, 입술은 거의 다문 상태에서 가볍게 공기를 내쉽니다.
② 치아와 아랫입술을 /f/를 산출할 때의 모양을 하고 위의 절차를 반복합니다.
③ 정확히 산출하는 마찰음으로부터 시작하여 다른 마찰음으로 옮겨가며 산출합니다. 일반적으로 비교적 쉬운 /f/로 시작하여 가장 어려운 마찰음인 /s/로 끝냅니다.
④ 휘파람을 불게하고, 점차 휘파람에서 목표음소로 옮겨 갑니다.
4.2.10 얼굴표정 훈련
① 조음훈련을 할 때 거울이나 비디오 녹화를 이용하여, 얼굴표정을 관찰합니다.
② 거울이나 비디오를 이용하여 얼굴표정을 변경하는 훈련을 합니다.
③ 손이나 손가락을 이용하여 원치 않는 표정을 방지해가며 연습합니다.
4.2.11 감각자극 훈련
① 촉각 감각(tactile sensation)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조음기관들을 면봉, 설압자, 치경 등을 이용하여 만져줍니다.
② 저항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조음기관들에 설압자를 이용하여 압력을 가하거나, 물체를 입안에 혹은 입술에 대어주고 물체를 조음근육을 사용하여 힘껏 잡도록(유지하도록) 합니다.
③ 차갑고, 따뜻하고, 거칠고, 부드러운 물체를 사용하여 조음기관들에 자극을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