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들 속에서 우리는 우리의 문명을 지켜낼 수 있을 지 궁금하다. 정말 아서 크로커의 기계의 소유물로 인간이 전락하고 있다는 말은 심각하게 생각해 봐야할 문제이다. 컴퓨터를 없애고 원시로 돌아가자 식의 문제 해결은 불가능하다. 또한 과학으로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기계에 의해 정복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우리 자신 즉, 인간성에 대한 끊임없는 발견이다. 따뜻한 봄날 산 속에 피어나는 진달래꽃을 보며 뭔가를 느낄 줄 아는 그런 인간들을 사랑하고 필요에 의해 끊임없이 창조할 줄 아는 인간을 사랑해야 한다. 그러한 것들은 인간들만이 가지고 있는 생존무기이다. 기계에 그것은 전해준다면 우리는 인간문명을 포기한 것일 뿐이다.
" 피부를 벗기고 플러그를 꽂아라."란 다큐멘터리 속의 대사가 머리를 떠나지 않는다.
" 피부를 벗기고 플러그를 꽂아라."란 다큐멘터리 속의 대사가 머리를 떠나지 않는다.
추천자료
조직이란 무엇이고,인간이란 누구인가?
한국문학에 드러난 부르주아 인간상
복제에 관한 조사-생명복제, 인간복제
생명 복제의 이해와 인간복제의 윤리학적 과제의 해결방안
인생을 두배로 사는 아침형 인간을 읽고
[환경]인간은 동물을 배려하고 환경을 보호할 의무를 지니는가
기독교 교육의 관점에서 인간을 어떻게 이해할것인가에 대하여 논술하시오
창조록적 관점에서 본 생명체와 인간의 기원
[근대생물학] 인간의 생물학적 위치
행동주의 입장에서 바라 본 인간행동 발달과정을 본인의 성장과정과 연결하여 설명.
가설을 시험하는 기본절차 & 인간개체복제에 대한 윤리적검토
[언어言語의이해]인간언어의 본질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 방통대 언어의이해 E형
전략적간호관리 2017 과학적관리론과 인간관계론을 비교하여논하고 간호사들이 신명나게 일하...
응용윤리와 도덕적 딜레마, 인간과 동물의 윤리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