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들어가는 말
Ⅱ.본론
1)묵자의 생애와 사상의 시작
2)묵자의 평화이념과 실천
3)사회에 끼친 영향과
타사상과의 비교
Ⅲ.나오는 말
【참고문헌】
Ⅰ.들어가는 말
Ⅱ.본론
1)묵자의 생애와 사상의 시작
2)묵자의 평화이념과 실천
3)사회에 끼친 영향과
타사상과의 비교
Ⅲ.나오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번 리포트를 수행하면서 고등학교 윤리시간에 잠깐 배웠던 단편적인 제자백가사상. 그저 단순하게 넘어갔던 이러한 사상들 속에 국민, 군주, 신하 등 그밖에 우리를 둘러싼 모든 것에 대한 나름대로의 정의(定擬)를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에 매우 흥미로웠다.
리포트 주제를 묵가의 평화 이념과 실천에 초점을 맞춰 과제를 수행하기는 했지만, 묵자의 사상을 이해하기위해 다른 사상가들과의 연계시켜 가면서 그들의 사상을 비교해볼 수 있어서 나에게 있어서 매우 유익한 시간이었다. 각각의 가(家)속에 들어있는 역사적 배경과 사상을 조사하면서 서로의 단점과 장점을 객관적인 입장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내가 조사했던 묵가의 약점은 바로 귀신을 믿고 숭배했다는 것인데 이것은 숙명론을 비판한 묵가의 사상에 부합하지 않는 것이었다.
그러나 묵가가 제자백가 중 가장 서민적인 가(家)라고 생각해 볼 때 이것은 당시 서민들이 당연하다고 믿었던 귀신숭배에 부합한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에서도 불교와 당시의 민간신앙이 융합해서 사람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지 않았는가? 자신의 능력을 중시하면서도 수호와 기복을 위해 미신을 믿었고 당시 묵가의 사상도 이러한 것을 허용했다고 생각한다.
또한 묵자는 혼란한 시대를 바로잡고 인간모두가 화목하게 살 수 있는 공동체를 꿈꾼 것 같다. 그런 인간의 공동체는 생산력의 무한한 발전이 가능할 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한정된 재화를 가지고 조금씩 절용하는 정신 속에서 가능하다고 묵자는 보았다. 이런 묵자의 사고는 오늘날과 같은 현실 속에서 문제를 풀어나가는데 아주 유용하다고 생각이 된다.
또 이번 과제를 하는 동안에 중앙도서관에서 교수님께서 수업시간에도 언급하신 중국의 유명한 철학자 「풍우란」이 저술한 중국철학사 라는 책을 빌려볼 수 있었다. 이 책은 제자백가 시절과, 이후의 경전의 시대 두 개의 큰 묶음의 틀 안에서 각각의 사상과 경전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어떤 이유로 태어났는지 또한 그것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제대로 보여주고 있었다. 사실 중국철학 전체를 단 한권의 책으로 저술한다는 것 자체가 무척 힘든 일이었을 것이다.
그에 비해 그의 저술은 그야말로 중국 철학을 쉽게 이해 할 수 있게 도와주는 등불과 같았다. 철학을 하는 사람들이 꼭 한번쯤은 읽어봐야 할 책이라고 생각하는 바이며, 앞으로도 중국의 철학뿐만 아니라 동양철학에 깊은 관심을 갖고 더욱 심도 있게 고찰해 봐야겠다.
【참고문헌】
풍우란/문정복 「중국철학소사」이문 출판사 1994
두산세계 대 백과 「제자백가의 사상」
김경일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바다 출판사 2001
이재봉 「도가의 반문명주의 ; 노.장사상과 새로운 문명」
「제자백가사상 개론」
김교빈 「동양철학 에세이」동녘 출판사 2003
윤무학「중국철학 방법론」한울 1999
인터넷 네이버( http://dragon.skku.ac.kr/~sulhang1/majer/ma2/mokja.htm)
(cafe.naver.com/acupofcoffee)
( http://blog.naver.com/delphicon.do )
리포트 주제를 묵가의 평화 이념과 실천에 초점을 맞춰 과제를 수행하기는 했지만, 묵자의 사상을 이해하기위해 다른 사상가들과의 연계시켜 가면서 그들의 사상을 비교해볼 수 있어서 나에게 있어서 매우 유익한 시간이었다. 각각의 가(家)속에 들어있는 역사적 배경과 사상을 조사하면서 서로의 단점과 장점을 객관적인 입장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내가 조사했던 묵가의 약점은 바로 귀신을 믿고 숭배했다는 것인데 이것은 숙명론을 비판한 묵가의 사상에 부합하지 않는 것이었다.
그러나 묵가가 제자백가 중 가장 서민적인 가(家)라고 생각해 볼 때 이것은 당시 서민들이 당연하다고 믿었던 귀신숭배에 부합한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에서도 불교와 당시의 민간신앙이 융합해서 사람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지 않았는가? 자신의 능력을 중시하면서도 수호와 기복을 위해 미신을 믿었고 당시 묵가의 사상도 이러한 것을 허용했다고 생각한다.
또한 묵자는 혼란한 시대를 바로잡고 인간모두가 화목하게 살 수 있는 공동체를 꿈꾼 것 같다. 그런 인간의 공동체는 생산력의 무한한 발전이 가능할 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한정된 재화를 가지고 조금씩 절용하는 정신 속에서 가능하다고 묵자는 보았다. 이런 묵자의 사고는 오늘날과 같은 현실 속에서 문제를 풀어나가는데 아주 유용하다고 생각이 된다.
또 이번 과제를 하는 동안에 중앙도서관에서 교수님께서 수업시간에도 언급하신 중국의 유명한 철학자 「풍우란」이 저술한 중국철학사 라는 책을 빌려볼 수 있었다. 이 책은 제자백가 시절과, 이후의 경전의 시대 두 개의 큰 묶음의 틀 안에서 각각의 사상과 경전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어떤 이유로 태어났는지 또한 그것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제대로 보여주고 있었다. 사실 중국철학 전체를 단 한권의 책으로 저술한다는 것 자체가 무척 힘든 일이었을 것이다.
그에 비해 그의 저술은 그야말로 중국 철학을 쉽게 이해 할 수 있게 도와주는 등불과 같았다. 철학을 하는 사람들이 꼭 한번쯤은 읽어봐야 할 책이라고 생각하는 바이며, 앞으로도 중국의 철학뿐만 아니라 동양철학에 깊은 관심을 갖고 더욱 심도 있게 고찰해 봐야겠다.
【참고문헌】
풍우란/문정복 「중국철학소사」이문 출판사 1994
두산세계 대 백과 「제자백가의 사상」
김경일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바다 출판사 2001
이재봉 「도가의 반문명주의 ; 노.장사상과 새로운 문명」
「제자백가사상 개론」
김교빈 「동양철학 에세이」동녘 출판사 2003
윤무학「중국철학 방법론」한울 1999
인터넷 네이버( http://dragon.skku.ac.kr/~sulhang1/majer/ma2/mokja.htm)
(cafe.naver.com/acupofcoffee)
( http://blog.naver.com/delphicon.do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