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老子의 사상
Ⅲ. 장자의 사상
Ⅳ. 노장 사상의 다원성과 복합성
Ⅴ. 결론
참고문헌
Ⅱ. 老子의 사상
Ⅲ. 장자의 사상
Ⅳ. 노장 사상의 다원성과 복합성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라지고 난 뒤에 仁을 말하고, 仁이 사라지고 난 뒤에 義를 말하고, 義가 사라지고 난 뒤에 禮를 말한다. 무릇 禮란 '진실함'과 '믿음'이 옅기 때문에 난동의 시작인 것이다. (『老子』 38장)
2) 법가의 법령주의 비판
○ …세상에 금지 사상이 많으면 백성은 더욱 가난해 진다. 백성에게 문명의 利器가 많으면 나라는 그만큼 쉽게 혼란에 빠진다. 백성들에게 교묘한 기술이 많아지면 괴상한 물건들이 그 만큼 많이 생겨난다. 법령이 그만큼 많아지면 도둑들이 많게 된다. (『老子』 57장)
이와 같이 유가와, 법가에 대한 비판, 더 나아가 억압적이고 불평등한 사회정치에 대한 비판이 『老子』에 많이 보인다. 이렇듯, 老子와 장자의 사상은 당시 사회에 대한 꺾임으로서, 반사회적이고, 반문화적인 성격을 강하게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백성을 다스리는 자는 無知의 상태에 머물러야 하며, 백성들도 앎에 대한 욕망을 절제해야 더 높은 경지를 추구할 수 있다는 사상은 악랄한 자의 손아귀에 들어가면 일종의 우민화 논리로도 이용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순히 道의 경지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추구하는 도가사상은 다원적이고 복합적인 의미를 내재하고 있다. 이는 어느 한 개인의 사상은 한 개인의 것만은 아니며, 사회 전체의 사상을 반영한다고 할 때, 老子와 장자의 사상은 지극히 개인적인 것이기 보다 당시의 사회와 문화를 반영하고 있고, 시대가 흘러오면서 여러 가지 사상이 축적되었을 것이라는 게 나의 생각이다. 따라서 도가의 사상은 반사회적인 성격이 강하며, 어느 한 개인의 생각이기 보다 당시의 다수의 생각의 염원이 반영되었을 것이다.
Ⅴ. 결론
지금까지 대략적인 도가 사상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와 같이 반유교적, 반정부적, 그리고 어떤 면에서 반민주적인 철학이 역설적으로 중국이 체험한 상당한 정도의 사회적, 정치적 민주주의를 건설하는데 유교와 협력했다. 이는 도가가 유교의 이념을 반하는데서 생기는 긍정성을 토대로 유교의 부족한 이념을 보완하였기 때문이 아닌가 하고 생각한다. 도교는 개인이 자기의 영혼을 자기의 것으로 부를 수 있는 권리를 주장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며, 중국의 예술을 고양시켰으며, 앞서 밝힌 바와 같이 후대 중국인들의 이념적 균형을 맞추어 주었다는 점에서 또 다른 의미로 세월이 흘러서도 중국인의 마음을 파고든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한다. 또한 모든 만물이 상대적이라는 이론을 폄으로서, 도가 사상은 중국 정신의 개인주의 및 화해의 논리에 무한한 기여를 해 왔다.
◎ 참고 문헌
H. G. 크릴 지음/ 李東俊, 李東仁 역, 『中國思想의 理解』, 경문사.
宋榮培, 『諸子百家의 思想』 , 玄音社, 1994.
貝塚茂樹/ 김석근 역,『諸子百家 - 中國古代의 사상가들』, 까치 출판사, 1989.
이성규 외, 『중국사 강좌』 , 지식산업사, 1989.
장주/ 김학주 역, 『장자』, 을유문화사, 2000..
老子/ 김학주 역, 『老子』, 을유문화사, 2000.
풍우란/ 박성규 역,『중국철학사 上』, 까치출판사, 2004.
2) 법가의 법령주의 비판
○ …세상에 금지 사상이 많으면 백성은 더욱 가난해 진다. 백성에게 문명의 利器가 많으면 나라는 그만큼 쉽게 혼란에 빠진다. 백성들에게 교묘한 기술이 많아지면 괴상한 물건들이 그 만큼 많이 생겨난다. 법령이 그만큼 많아지면 도둑들이 많게 된다. (『老子』 57장)
이와 같이 유가와, 법가에 대한 비판, 더 나아가 억압적이고 불평등한 사회정치에 대한 비판이 『老子』에 많이 보인다. 이렇듯, 老子와 장자의 사상은 당시 사회에 대한 꺾임으로서, 반사회적이고, 반문화적인 성격을 강하게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백성을 다스리는 자는 無知의 상태에 머물러야 하며, 백성들도 앎에 대한 욕망을 절제해야 더 높은 경지를 추구할 수 있다는 사상은 악랄한 자의 손아귀에 들어가면 일종의 우민화 논리로도 이용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순히 道의 경지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추구하는 도가사상은 다원적이고 복합적인 의미를 내재하고 있다. 이는 어느 한 개인의 사상은 한 개인의 것만은 아니며, 사회 전체의 사상을 반영한다고 할 때, 老子와 장자의 사상은 지극히 개인적인 것이기 보다 당시의 사회와 문화를 반영하고 있고, 시대가 흘러오면서 여러 가지 사상이 축적되었을 것이라는 게 나의 생각이다. 따라서 도가의 사상은 반사회적인 성격이 강하며, 어느 한 개인의 생각이기 보다 당시의 다수의 생각의 염원이 반영되었을 것이다.
Ⅴ. 결론
지금까지 대략적인 도가 사상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와 같이 반유교적, 반정부적, 그리고 어떤 면에서 반민주적인 철학이 역설적으로 중국이 체험한 상당한 정도의 사회적, 정치적 민주주의를 건설하는데 유교와 협력했다. 이는 도가가 유교의 이념을 반하는데서 생기는 긍정성을 토대로 유교의 부족한 이념을 보완하였기 때문이 아닌가 하고 생각한다. 도교는 개인이 자기의 영혼을 자기의 것으로 부를 수 있는 권리를 주장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며, 중국의 예술을 고양시켰으며, 앞서 밝힌 바와 같이 후대 중국인들의 이념적 균형을 맞추어 주었다는 점에서 또 다른 의미로 세월이 흘러서도 중국인의 마음을 파고든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한다. 또한 모든 만물이 상대적이라는 이론을 폄으로서, 도가 사상은 중국 정신의 개인주의 및 화해의 논리에 무한한 기여를 해 왔다.
◎ 참고 문헌
H. G. 크릴 지음/ 李東俊, 李東仁 역, 『中國思想의 理解』, 경문사.
宋榮培, 『諸子百家의 思想』 , 玄音社, 1994.
貝塚茂樹/ 김석근 역,『諸子百家 - 中國古代의 사상가들』, 까치 출판사, 1989.
이성규 외, 『중국사 강좌』 , 지식산업사, 1989.
장주/ 김학주 역, 『장자』, 을유문화사, 2000..
老子/ 김학주 역, 『老子』, 을유문화사, 2000.
풍우란/ 박성규 역,『중국철학사 上』, 까치출판사, 2004.
추천자료
노자의 무위자연과 장자의 소요
중국 전통문화와 사상...
중국의 중화 사상속에 담긴 삼국지 비평
중국 예악 사상 (능정감, 완원, 이여진, 유정섭, 여사서, 여성문제)
중국의 최초의 사상부터 근대 사상까지의 정리(천명사상, 공자, 유가, 묵가, 도가, 법가, 불...
중국 고대 사상의 세계 - ‘공자’편을 읽고
중국 고대 사상의 세계 - 묵자의 도전
순자(荀子)의 생애와 사상 및 중국에 미친영향
동양의 커뮤니케이션 사상 및 동서양, 한국, 중국, 일본 커뮤니케이션 비교
[중국현대문학A+]노쉰의 아큐정전(아Q정전)작품분석과 시대적,사상적 배경분석 및 김수영 치...
사상으로 본 중국
중국 과학(중국의 과학)의 형성, 중국 과학(중국의 과학)의 사상, 중국 과학(중국의 과학)의 ...
현대 중국학자들의 주돈이 사상 해석
양계초의 생애, 사상, 근대화론, 군주입헌사상, 국민경제사상, 사회계몽사상, 국민교육사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