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언
2. 그리스도-율법의 폐기
3. 그리스도-율법의 목표
4. 그리스도-율법의 폐기와 목표
5. 결어
2. 그리스도-율법의 폐기
3. 그리스도-율법의 목표
4. 그리스도-율법의 폐기와 목표
5. 결어
본문내용
의미를 사용한 이유를 로마교회의 정황속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결론내리기를 바울은 이방인 크리스천들의 권익을 옹호하고 대변하려는 기본 입장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서중석 교수의 논의 전개는 매우 논리정연하다. 그러나 그가 내린 결론처럼 그리스도가 유대인들이 이해한 의미에서 율법은 폐기하고, 이방인들이 이해한 의미에서 율법은 지향하는 분으로 설정된다고 한다면, 이것은 결국 그리스도는 율법의 목표요 성취요 완성이라고 주장하는 것이 옳다. 즉 바울은 분명히 그리스도가 율법의 목표라는 사실에 대하여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스도는 바울이 인정하는 신앙에 있어서는 율법의 폐기일 수 없다. 고로 그리스도-율법의 폐기와 목표라는 도식은 바울이 설정한 도식이 아니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할 것이다.
추천자료
[종교]그리스도교 제례 의식의 한국문화 토착화 과제에 관한 연구
성 키릴과 발칸 반도의 그리스도교 전파
폴 틸리히의 그리스도론
리차드 니버의 < 그리스도와 문화 >감상문
리차드 니버의 그리스도 문화 감상문
성경관의 역사와 그리스도관
브라이언 채펠의 [그리스도 중심의 설교] 요약
기독교 강요 제 3권 - 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길 : 그 유익과 효과
칼빈이 말하는 그리스도인의 생활원리
도날드 맥클라우드의 개혁파 정통주의적 그리스도의 위격 이해
로버트 리담의 성경적 개혁파적 그리스도의 사역 이해
팔머 로벗슨의 계약신학과 그리스도요약
팔머 로벗슨 선지자와 그리스도 요약 및 평가 A+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