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승로의 시무28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최승로의 시무28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序
2. 연구사적 검토
3. 상서문의 구성과 시무 28조의 구성
4. 시무책에 반영된 최승로의 정치사상
5. 結

본문내용

婢制度 등에 변화가 일어났으나, 이 변화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즉 8조에서는 태조이래 변모해진 복식제도의 정비기준을 신라의 전통적인 데에 두고 있으며, 17조에서는 尊卑의 가사제도를 酌定하여 중외로 하여금 준수케 하자는 것도 기 기준을 전통적인 데 두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22조에서는 광종대의 노비안검법 실시 이후 賤隸가 뜻을 얻어 尊貴를 업신여기는 事態를 탄식하면서 賤으로 하여금 업신여기지 말게 하자고 건의하고 있다. 여기서 최승로의 사회관에 대해 요약을 해보면 그는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의 엄격한 구분을 통해 고려 왕조의 건국으로 새로이 형성된 지배계층의 권익을 옹호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가치관을 탈피하지 못하였음을 나타내어 주는 것이어서 그의 시대적인 한계성을 찾아볼 수 있다.
5. 結
지금까지 시무책에 관한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았다. 성종의 명에 응해 올려진 시무책이 진정으로 바라는 것은 무엇이었을까. 우선 경종 대까지는 호족들의 세력이 컸기 때문에 왕권의 안정을 원했을 것이며, 이러한 왕권의 안정으로 신권도 존중받기를 원하는, 유교적 도덕정치가 행해지는 국가였을 것이다.
또한 현대의 평등이라는 개념이 아닌, 복식·가사·신분제도의 엄격한 구분을 통해 신분질서를 유지하려는, 시대적인 한계성을 지닌 경향도 있다. 그러나 삼국시대 이래로 고려초기까지 사상적인 이데올로기인 불교를 대신하여 유교를 수용 및 실천하였음을 단적으로 알려준 것이 최승로의 시무책이며 이는 고려의 유교를 바탕으로 한 고려의 귀족사회를 뒷받침하려는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5.20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78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