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 문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예술의 의미

2 모방론·표현론·제도론

3 미의 의미

4 예술과 창조

5 모방과 표절의 틈새에서

본문내용

모방한다는 것이 단지 사물을 재현하거나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그 원본을 있는 그것보다도 더 탁월하게 만드는 것까지를 포함하고 있고, 그 결과로 쾌감이라는 보너스를 얻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모방은 늘 모방을 '넘어' 간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글을 좀더 읽어보자. 그는 『시학』에서 시인과 역사가의 차이에 대해, "역사가는 실제로 일어난 일을 이야기하고, 시인은 일어날 것으로 예측되는 일을 이야기한다"고 적고 있다. 역사는 개별적인 것을 말하고 시는 보편적인 것을 말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시(호머의 『일리아드』Iliad와 같은)는 물론 고유한 등장인물을 서술하고 있지만, 그러한 서술을 통해서 보편적인 것을 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듯 예술은 개별적인 것을 모방하면서도 그것을 넘어서 나아간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의 예술론에서는 모방을 넘어서 상상imagination과 창조creation를 주장한다. 상상과 창조를 주목하면서 근대적 예술론이 시작된다. 과연 근대적 예술론에서 말하고 있는 상상이란 무엇인가. 모방이 일종의 지시관계라고 한다면, 상상은 자유롭게 지시관계와 지성의 한계를 넘어서는 것을 말한다. 미학적 개념에 있어서 상상이 지성으로부터 자유롭다는 것은 지성적 개념을 넘어선다는 것, 즉 탈개념적이고 비규정적이라는 것을 뜻한다. 상상을 통해서만 인간은 자유롭게 된다. 상상의 세계는 가상 또는 허구이며, 자유의 실현이기 때문에 우리를 억압하는 신체적·도덕적인 현실 이상의 것이다. 그러므로 상상은 가상과 허구의 양상으로 존재의 가능성을 추적한다. 그 존재의 가능성에서 자연과 자유가 만나게 되는 것이라고 칸트는 말한다. 그리고 조금은 과장된 표현일지는 몰라도, 프랑크프루트 학파의 마르쿠제도 우리의 목표, 즉 비인간적인 현존재의 조건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키는 자유의 해결을 위해서는 " 미학을 경유해야 한다. 왜냐하면 자유에로 인도하는 것은 아름다움이기 때문이다"라고 쓰고 있다.
탁월한 모방이 쾌감을 보너스로 얻게 된다면, 상상과 창조는 그 노력의 덤으로 무엇을 얻게 되는가. 물론 쾌감을 얻게 될 것이다. 이 미적 쾌감은 감각적이지도 지적이지도 않은 다른 종류의 것이다. 그 미적 쾌감은 무한성의 개념에서 숭고함으로 고양된다. 이러한 즐거움과 고양감은 "온갖 감각적 척도를 뛰어넘는 정신의 능력", 이른바 상상력을 우리들이 지니고 있다는 것을 깨달을 때 생기는 쾌감인 것이다.
모방이 모방을 넘어선다는 것은 모방이 결코 창조와 배리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을 말해준다. 그러나 모방이 규칙과 법식에 의존적이라면 창조는 그것들로부터의 자유를 추구한다. 예술적 창조란 무로부터의 신적 창조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가상 또는 허구를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어떤 의미에서 새로운 것이 다른 의미에서는 새롭지 않을 수 있다. 실제에서 모방 및 창조와, 그리고 표절의 구분은 수월한 일이 아니다. 전자는 개성적인 것을 통해서 보편적인 것(모방의 경우)이나 존재의 가능성(창조의 경우)을 추구하는 것이고, 후자는 물질적인 것이나 개인적인 것에 얽매어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앞의 것이 자유의 실현이라면, 뒤의 것은 감각적 현실적인 것에 억압을 받고 있다. 그리고 모방과 창조가 도덕에 예속되고 있는 것, 즉 비도덕적인 것이 아니라고 말하는 것은, 표절의 경우에 있어서처럼 그것이 결코 부도덕한 것이라는 것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무엇보다도 표절이 허락되어서는 안될 까닭은 그것이 자기 자신을 위장하고 있고, 남을 기만하고 있다는 점이다. 출산의 고통을 겪지 않고 창조에 맞먹는 즐거움을 누리려고 하는 심보가 도대체 가당키나 한 일인가.
  • 가격1,6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05.25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87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