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변화를 따르는 움직임, 그리고 그에 따른 이중적 면모.
2.변화에 민감한 우리네들.
3.우리라는 공동체의식
2.변화에 민감한 우리네들.
3.우리라는 공동체의식
본문내용
나와 너를 포함한 어느 공동의 목표를 가진 가상의 공동체를 말한다. 나 또한 우리라는 말을 거의 언어적 습관처럼 사용하고 있다. 어릴 적부터 이 말에 익숙하도록 학습되어졌기 때문이다. 이 말은 나를 포함하면서 동시에 나를 무시하는 말처럼 느껴진다. 그렇기 때문에 월드컵에서의 붉은 악마는 우리라는 아주 큰 공동체인 동시에 나의 개성은 철저하게 무시하게 된다. 그래야만 우리 속에서 나는 일원으로 묶일 수 있다. 우리는 나를 없애고 나를 우리를 위한 나로 다시 태어나게 하는 것이다.
쉽게 우리 속에 들어갈 수 있지만, 또한 쉽게 우리에서 배제되고 타인이 될 수 있다.
우리는 급속한 변화를 겪으면서 나보다는 우리라는 불특정한 공동체를 위해 살아왔다. 나를 조금 죽이고 나와 너를 위해 서로를 위해 희생되어왔다
쉽게 우리 속에 들어갈 수 있지만, 또한 쉽게 우리에서 배제되고 타인이 될 수 있다.
우리는 급속한 변화를 겪으면서 나보다는 우리라는 불특정한 공동체를 위해 살아왔다. 나를 조금 죽이고 나와 너를 위해 서로를 위해 희생되어왔다
추천자료
왕따문제극복을 위한 사이버 공동체 학교의 설계와 프로토타입 개발
지역 사회 정보망과 공동체 발전
법철학적으로 본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유행어 양상 연구 -교회공동체를 중심으로-
인터넷의 발달과 사이버 공동체
[사회운동론] 공동체 운동에 대해서
베네딕트 엔더슨의 상상의 공동체-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
교육개혁의 오류와 교실붕괴의 공동체적 극복
미국을 움직이는 작은 공동체-세이비어교회
이산가족 교류 및 이산가족공동체 형성 방안
글쓰기와 의사소통 <공동체주의의 두 축> (형식단락 나누기, 개요작성, 요약정리, 전제, 주장...
바람직한 다문화 공동체를 형성을 위한 정책 제안 - 다문화 지원 정책의 원칙 & 구체적인...
디트리히 본훼퍼의 공동체 개념
가족복지론 - 가족공동체 활성화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