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과 도덕의 관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식과 도덕의 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지식과 도덕

Ⅲ. 지식과 도덕의 관계에 관한 학자들의 입장
1. 긍정적인 입장의 학자들
2. 부정적인 입장의 학자들

Ⅳ. 지식과 도덕의 관계에 관한 실제 사례
1. 관계가 있는 경우
2. 관계가 없는 경우

-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 지식으로 변하고 있는 느낌을 주고 있다. 1945년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교사는 성직자 같은 존재로서 신성시하고 교사의 속된 사회성을 부정하였다. 또 교사의 전문성을 부정하였다. 그러나 1945 이후에는 교사는 봉사자, 민주적 지도자, 그냥 다른 일반 직업으로서의 전문직으로 보고 있다.
학교에서 지식이 학생들에게 그냥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도덕성에 바탕을 둔 인간으로서 학생들에게 전달되어야 한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러나 지금의 학교에서 가르치는 지식이 그런 지식인가?
5) 지식인의 성폭행 범죄
서울 관악경찰서는 같은 학교 여학생을 성폭행한 혐의(청소년 성보호 법률위반)로 고교 교사 김모(23)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경찰에 따르면 김씨는 지난달 28일 오전 5시께 서울 동작구 노량진 주택가에서 학생 간부수련회를 간다고 속여 같은 학교 학생 간부인 A(16)양을 불러낸 뒤 인천월미도 등지로 데리고가 소주를 마시게 하고 여관에서 강제로 성폭행한 혐의다. 조사결과 김씨는 A양에게 선생님 말을 듣지 않으면 학교를 다닐 수 없게 하겠다고 협박까지 했고, A양과 부모가 뒤늦게 여성 성폭력 고발단체에 신고하면서 경찰에 붙잡혔다.
서울경찰청 방범 지도과는 A(12)양 등 10대 여성 둘을 상습적으로 성폭행한 혐의(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위반)로 목사 김모(60)씨를 구속했다. 또 이를 알고도 방치한 혐의(아동복지법 위반)로 A양의 어머니(41.여)를 구속하고 아버지(42)를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김씨는 지난 99년 자신이 만든 모 선교회에서 A양 가족등 10여명과 생활하며 자신을 하나님의 종이라고 믿고있는 A양에게 하나님의 계시라고 속이고 지난해 11월까지 성폭행하는 한편 지난해 6월부터는 같이 살던 A양의 사촌 B(13. 정신지체 2등급)양을 최근까지 상습적으로 성폭행한 혐의다. 성폭행 범으로 전락한 교사와 목사가 과연 성폭행이라는 것이 부도덕한 행위라는 것을 몰랐을까?
6) 지식인의 더러운 학문테러
국내 유명 대학들의 세 교수가 공동으로 제출한 논문이 표절로 판정되어 해당 국제학회로부터 항의를 받는 망신을 당했다. 대학인의 일원으로 얼굴을 들 수 없을 정도로 낯뜨거운 일이다. 갈 데까지 간 이 땅의 지적 천박성을 만천하에 드러낸 이 사건은 오늘도 자신과 싸우면서 연구실을 지키며 고뇌하는 대부분의 학자들을 절망시켰다는 점에서 학계를 향한 더러운 학문테러이기도 하다. 이 논문이 그 중 한 사람의 박사논문을 발췌한 것이라는 사실은 더욱 절망적이고 한심하다. 해당 학자들만의 문제가 아닌 이 사건은 우리 학자들의 도덕적 해이와 나태가 위험수위에 이르렀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지도교수와 제3자가 공동필자로 제자의 박사논문을 학회지에 투고하는 것을 평범한 상식으로 이해할 수도 없거니와 더욱 해괴한 것은 그 논문이 만들어진 과정이다. 학교와 분야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박사논문의 경우 주제의 선정으로부터 심사를 통과하기까지는 대체로 4∼5 단계의 검증을 받게 된다. 더구나 마지막 단계에는 그 분야의 권위있는 교수들 5인이 3∼5회의 심사까지 실시한다. 이와 같이 제도적으로 여러 겹의 거름장치들을 두고 있음에도 표절논문이 무사 통과된 사실이 더욱더 어이가 없다.
수퍼마켓에서 생활용품을 훔치는 좀도둑은 즉시 신고되어 처벌을 받는 반면, 영혼을 불태우는 정신적 고뇌의 산물을 약탈하는 표절은 범죄행위인지조차 깨닫지 못하는 현실이다. 표절에 대하여 대범하다못해 무감각하기까지 한 것은 우리가 표절이 일상화된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모두 표절행위의 방조자들인 셈이다. 대학사회에서 표절이 표면화되어 온 것은 결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원로급 교수들이 관련된 표절시비가 아직도 미제로 남아 있으며 그 문제를 제기한 사람들만 우습게 되어 버리는 이 땅의 상황은 지식인 사회에 만연된 도덕 불감증의 극치를 보여준다. 학부 신입생에 대한 강의 중 다른 사람의 문장 하나를 출처 없이 인용했다가 지적을 받자 미련 없이 사임한 보스턴 대학의 언론학과장 존 슐츠 교수. 이런 추상같은 자기관리의 사례를 우리 학계에선 찾기 힘들다. 으레 남의 글을 베껴 내거나 인터넷 등에서 따온 토막글을 짜깁기하는 게 리포트라고 생각하는 대학생들이 수두룩하고, 외국의 가요·만화·드라마·음악·방송프로그램을 베껴 한탕 해보려는 대중문화 담당자들이 주변에 널려있는 현실은 참담하다.
참고 문헌
참고 서적
초등교사론 『 심진구 著 』 교육과학사
교사를 위한 교육심리학 『 여광응 外 』 양서원
메타 구평회 교육학 『 구평회 編 』 신수서원
교육의 역사·철학적 기초 『 김병하 著 』 대구대학교 출판부
특수아동의 심리 『 이태영 編 』 대구대학교 출판부
알기쉬운 사회학 『 박화문 著 』 정림사
사랑의 수업론 『 박병학 著 』 교육과학사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이론과 실제 『 김용욱 外 』 ― 대구대학교 출판부 ―
참고 인터넷 사이트
http://www.bumo119.net/31ho/31-3.htm
http://nongae.gsnu.ac.kr/~bkkim/won/won_7.html
http://www.yuhan.co.kr/company/yuhan_about.asp?cid=연혁
http://www.nownuri.net/
http://www.youth.go.kr/circumstances/2_02list_all_1.asp
http://www.haja.net/users/cho/db4/vi.asp?idx=29
http://home.ewha.ac.kr/~imewha/kisa/2000-2/re1127/1129mun30.htm
http://lca.kaist.ac.kr/~pws/Opinions/opinion_011121.htm
http://kr.encycl.yahoo.com/
Ⅰ. 서 론 --1
Ⅱ. 지식과 도덕 --1
Ⅲ. 지식과 도덕의 관계에 관한 학자들의 입장 --3
1. 긍정적인 입장의 학자들 --3
2. 부정적인 입장의 학자들 --5
Ⅳ. 지식과 도덕의 관계에 관한 실제 사례 --6
1. 관계가 있는 경우 --6
2. 관계가 없는 경우 --8
참고문헌 --14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06.10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17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