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의 언어치료 사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의 언어치료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치료장소 및 기간, 치료도구
1) 치료장소 및 치료기간
2) 치료도구

2. 치료방법
1) 관찰방법
2) 치료절차
(1) 환경Ⅰ(놀이실/자유놀이 장면)
(2) 환경Ⅱ(가정/자유놀이 장면)

3. 치료효과
1) 자발어의 효과
(1) 환경Ⅰ
(2) 환경Ⅱ
2) 요구와 모델에 의한 발어 경향
3) 자발어의 유지효과

4. 결론

본문내용

. 환경Ⅱ에서는 평균 16.17회로 최저 자발어 회수는 13회였고, 최고 자발어 회수는 20회였다. 환경Ⅱ에서 자발어 회수가 환경Ⅰ에서 보다 높게 나타난 것을 중재가 연속적으로 일어났으며, 환경이 가정이라서 아동이 더욱더 적극적으로 자발어를 표현하였기 때문이다.
4. 결론
자신의 요구를 자발적으로 표현하려는 동기가 부족한 만 5세의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에게 환경중심 언어지도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환경중심 언어지도는 애착형성이 결여되어 관계성에 제한성을 가진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의 자발어 증가에 효과적으로 아동은 상황에 맞게 정확하게 표현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아동이 자발적으로 언어 표현을 하지 않을 때 요구와 모델에 의해서도 자발어가 증가되었고, 아동의 자발어의 빈도수가 증가함에 따라 요구와 모델을 필요로 하는 회수는 감소되었다. 이는 요구와 모델에 의해서 습득되었던 발어가 유지되어 다음 회기에는 자발어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환경중심 언어지도를 통해 습득된 자발어는 환경에 관계없이 유지되었다. 놀이실에서의 유지효과와 가정에서의 유지 효과가 분명한 결과로 나타났으므로, 습득한 자발어의 효과는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6.12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19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