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학] 프로이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종교학] 프로이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0. 서문

1. 프로이트의 종교 설명 이해에 필요한 윤곽

2. 세 편의 논문에 등장하는 종교 이론
『토템과 타부-미개인과 신경증 환자의 정신생활에서 상당 부분
일치하는 점에 관하여』
『모세와 유일신교』
『환상의 미래』

3. 프로이트에 대한 일반적 비판

4. 왜 프로이트는 의미를 가지는가

-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는 오로지 정신분석학적으로 취급될 때 비로소 그 본질인 나약함을 드러낸다'고 주장하여 기능주의적 환원주의로 비판받는다. 특히 보호의 반대급부로서 욕구의 많은 부분을 포기할 것을 요구하는 「토템과 타부」의 신개념과, 「환상의 미래」에서 보이는 보호자적인 신개념 이해 방식 사이에서 모순이 발생한다는 비판이 있기도 하는데, 그가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한 바는 종교가 그것 자체로 완결된 실체가 아니라 무엇인가의 반영물, 현상이라는 것이었다.
① 유신론, 무신론의 문제 : 프로이트의 종교 이해는 아버지로 상정되는 유일신 개념에서만 적용 가능. 다신론, 대모신, 비인격적인 신적 존재의 종교에 대해서는 설명 불가능.
② 유추와 역사의 문제 : 개인의 심리 발달 문제를 한 사회와 문명에 그대로 적용 가능한가. 문화적 습득 형질이 생물학적 유전 형질이 될 수 없음. 집단 기억을 전제한 것임. 당시의 진화론을 무비판적으로 수용. <모세와 유일신교>에서는 성경적, 고고학적 근거 없음.
③ 순환론의 문제 : 종교행위가 비정상적 행위임을 처음부터 전제하고, 종교를 정신분석학적으로 설명. <환상의 미래>에서 과학의 가능성을 논하며, 인간은 개체적 특성에 의해 제한되는 정도의 세계 안만 볼 수 있으며, 그 밖의 세계는 아는 것조차 무의미하고, 그러므로 종교보다 과학이 중요하다고 말했음. 그러나 과학에서 인간의 투사는 합리적이고 실제 세계에 관한 것이나 종교의 투사는 비합리적이고 비실제적 세계에 관한 것이라는 논의에 근거 부족.
④ 정신분석학의 과학적 지위에 관한 문제 : 미국 과학 철학의 주도 하에 정신분석학이 방법론적으로 과학이 아님을 증명하려는 시도. 정신분석학은 아직 과학적 방법론을 구축하지 못하여 스스로 증명도 반증도 할 수 없음. 모호한 비교와 무리한 추측에만 의거.
4. 왜 프로이트는 의미를 가지는가
① 꿈사고(부친살해)/꿈작업(토템과 타부 설정)/꿈내용(토테미즘, 타부, 종교)의 도식으로 종교 읽기 : 프로이트가 강조한 것은 억압, 전치의 꿈작업. 억압의 주체로서의 종교, 곧 사회
② 라깡의 주체 도식으로 읽는 미개인-종교-과학
③ 종교는 환상이다? 종교는 계시된 실체가 아니라 역사적 실체(『나의 이력서』)
④ 과학지상주의로 읽힐 수도 있다. 그러나 과학이라는 실재적 대상은 종교라는 대타자의 분열과 붕괴를 초래한다. 단순한 분열과 붕괴가 아니라 상호 의미를 교환하여 새로이 구축 가능성을 열어주는 계기.
⑤ 기반이 중층적 층위 위에 존재한다는 '반성적 사고'의 가능성에서 정신분석학의 팔루스(phallus)적 가치를 읽을 수 있지는 않을까.
19세기와 20세기 초의 많은 인류학, 종교학이 비판받는 것과 마찬가지로, 프로이트의 종교 이론 역시 문헌학적, 고고학적, 자연과학적 신빙성을 결여한 이론일 수 있다. 그러나 오히려 프로이트의 이론은 우리에게 종교학도로서, 종교인으로서 종교학과 종교를 바라보는 태도를 되돌아보도록 하는 계기를 제공해주지 않을까.
참고문헌
김상환, 『니체, 프로이트, 맑스 이후』, 창작과 비평사, 2002년.
김상환, 홍준기 편, 『라깡의 재탄생』, 창작과 비평사, 2002년.
옥타브 마노니, 변지현 역, 『프로이트: 라깡학파의 프로이트 읽기』, 백의, 1996년.
프로이트, 김석희 역, 『문명 속의 불만』, 열린책들, 1997년.
______, 이윤기 역, 『종교의 기원』, 열린책들, 1997년.
애너-마리아 리주토, 이재훈 외 역,『살아있는 신의 탄생』,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옮김, 2000년.
Daniel L. Pals (1996) Seven theories of relig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06.17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29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