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티그룹 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시티그룹의 일반적 현황
(2)대표적인 자회사
(3)비지니스 라인
(4)인사관련 정책
(5)경영전략
(6)한국에서의 활동
3.결론

본문내용

에서도 국내은행이 뒤쳐지고 있다.
시티은행을 비롯한 외국은행들은 예금, 인출 등이 세계적인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어서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금융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반면 국내 은행들은 네트워크 시스템이 상대적으로 부실하여 외국은행들에 비해 한계를 보이고 있다.
리스크 관리 면에서도 최근의 국내외 금융환경이 급변하고 있으며 또한 금융시장의 개방화로 인해 새로운 금융상품이 계속 도입됨으로써 은행경영을 둘러싼 각종 리스크가 복잡, 고도화되고 있어, 리스크 관리 능력이 은행의 성패를 좌우하는 시대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은행들은 각 금융사가 감당할 수 있을 정도의 리스크만 떠안는다는 간단한 계산을 외면하고 외형성장 경쟁에 골몰하다 어려운 시기를 맞고 있다.
반면 시티그룹은 아시아 외환 위기 전부터 철저한 재무분석을 통한 여신 심사원칙을 지켜왔다. 과거와 같은 경제 성장률의 유지가 어렵다는 판단으로 기업 여신에 대해서는 신중한 태도를 취하고 대신 수수료 수입의 확대와 외환 거래에 치중하기 시작했다.
외환 위기 이후 국내 금융사들도 서둘러 리스크 관리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있지만 아직 외형만 겨우 갖춘 상태이다. 시티그룹의 경우는 본사에서 전사적으로 포괄적인 리스크 관리 정책을 수립하여 각 지점의 리스크 관리를 지도 감독하고 있으며 리스크 정책위원회에서 총괄적인 리스크 관리를 하고 있다.
시티그룹은 시티은행과 트레블러스 그룹의 합병을 통한 철학인 ‘대형화를 통한 감량화’라는 상반된 논리를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논리는 우리 국내의 은행들에게 무조건 덩치만 큰 금융기업이 아닌 덩치는 키우되 군살을 빼면서 경쟁력을 높여야만이 생존 할 수 있다고 시사하는 바이다.
※시티은행과 국내은행의 비교
수신고
시티은행
국민은행
시티은행의 수신고는 95년 불과 1조6천 억원이었는데 지금은 6조원을 훨씬 넘는다.
이 6조원이 딱 12개 지점에서 올린 수 신고이다. 지점당 평균 5천억원이다.
영업점당수신액
5천억원
1천 3백억원
국내 최우량은행인 국민은행의 영업점
문제는 외형성장뿐만이 아니다. 재무대상이 없다는 점이다.
당 수신액이 1천 3백억원이다.
구조의 건전성이나 수익성면에서 대적할
고정이하 여신비율
시티은행
신한은행
부실가능성이 높은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0.7% 수준이다.
철저한 재무분석과 신용평가시스템으로 상환 능력을 예측하는 여신심사시스템 덕분이다.
부실가능성이 높은 고정이하 여신비율
0.7%
3.98%
시중은행에서 고정이하 여신이 가장
적다는 신한은행도 이 비율이 3.98%이다.
총자산이익률(ROA)
시티은행
국민은행
주택은행
신한은행
ROA
1.5%
0.97%
0.94%
0.85%
2000년 총자산 10조5천3백68억원에서 충당금적립전이익 2천1백40억원, 당기순이익 1천4백71억원을 거뒀다. 총자산이익률(ROA)이 무려 1.5%대이다.
2000년 국내 최고우량은행인 국민은행의 ROA가 0.97%, 주택은행은 0.94%, 신한은행은 0.85%를 거뒀다.
시티은행은 67년 기업금융 업무로 한국에 진출하고 86년 주력인 소비자금융 업무를 개시한 이래 한해의 예외도 없이 흑자를 내고 있다. 최근 2년간 1조2천억원어치의 투자상품을 판매했으며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금융시장과 금융사들이 혼란에 빠진 이후부터는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실제로 시티은행의 자산 구조와 수익구조는 매우 단순하다. 일반 은행과 마찬가지로 원화 및 외화 여수신, 신용카드 자산, 유동성 확보용 유가증권, 콜머니가 자산 구성 항목이고 수익은 예대마진과 수익증권 판매 대행, 외환 및 파생상품 거래 등 브로커 업무의 수수료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단기 유동성 확보용 유가증권 자산은 국공채뿐이다. 보유 채권은 거의 100%국채라고 보아도 좋다. 수익을 높이기 위해서는 신용등급이 떨어지는 회사채나 투기채 등도 편입할 수 있지만 보수적 운용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이익을 내야 한다는 측면에서 보면 반드시 최선의 운용이라고는 볼 수 없지만 아무튼 이것이 시티은행의 원칙이다.
물론 국내 시중은행과 외국은행 지점과는 수익구조가 다를 수밖에 없다. 외국계 은행들은 자금조달 수단으로 금리가 높은 예금보다는 자신들의 높은 신용을 활용해 단기 콜머니를 최대한 이용하기 때문에 금리 면에서 국내 금융기관과는 경쟁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것만이 지속적인 수익 발생의 원인은 아니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국내 금융사들이 감당할 수 있을 정도의 리스크만 떠안는다는 간단한 계산은 외면하고 외형성장 경쟁에 골몰하다 어려운 시기를 맞았다면 시티은행은 아시아 외환위기 이전부터 철저한 재무분석을 통한 여신 심사원칙을 지켜왔다. 과거와 같은 경제 성장률의 유지가 어렵다는 판단으로 기업 여신에 대해서는 신중한 태도를 취하고 대신 수수료 수입의 확대와 외환 거래에 치중하기 시작하는 전략을 택했고 특히 외환 위기 이후에는 발빠른 변신을 보여줬다. 이같은 영업의 기조는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조금 더 들어가 보면 특히 시중은행들과 비교되는 것이 리스크 관리 시스템이다. 외환위기 이후 국내 금융사도 서둘러 리스크 관리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있지만, 아직 외형만 겨우 갖춘 상태이다. 시티의 리스크 관리는 자산부채위원회가 주도한다. 위원회는 한국지점장, 자금부, 영업부, 기획부, 심사부의 수장 등 회사 핵심들로 구성돼 있다. 이들은 정기적으로 모여 시장 상황을 분석하며 그에 따른 은행 전략을 수립하고 은행 전체 포트폴리오의 만기구조 통화구조 갭에 대한 지침을 세워 시행한다. 리스크정책위원회에서는 한국지점의 자산규모 및 영업계획을 분석해 각종 리스크 한도를 정한다. 자금부에서는 상품 특성을 감안, 전체 리스크 한도를 정해 놓고 있으며 환 딜러들은 현재 포지션 구성 및 손익 현황을 매일매일 보고해 집계한다. “운용에 있어 매뉴얼에 철두철미하고 내부 정책을 철저히 준수하는 것뿐이다.” 매우 간단하지만 막상 실행은 쉽지 않은 원칙을 철저히 실천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
www.citi.com(citibank.co.kr)
www.naver.com
www.yahoo.co.kr
www.mk.co.kr
『Good company』, 김농주, 이너북, 2004
  • 가격1,2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5.06.19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34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