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좋은 문항의 조건
2. 문항 유형
1) 선택형 문항
(1) 진위형
(2) 선다형
2) 서답형 문항
(1) 단답형
(2) 완성형
3. 문항 분석
1)문항 난이도
2)문항 변별도
3) 문항반응분포
4)문항반응 이론
(1) 문항특성곡선
2. 문항 유형
1) 선택형 문항
(1) 진위형
(2) 선다형
2) 서답형 문항
(1) 단답형
(2) 완성형
3. 문항 분석
1)문항 난이도
2)문항 변별도
3) 문항반응분포
4)문항반응 이론
(1) 문항특성곡선
본문내용
은 문항
변별력이 (-) : 반드시 제외
3) 문항반응분포
- 피험자 집단의 학습자들이 문항의 각 답지에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가를 기술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분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 분석의 대상이 문항 그 자체가 아니라 문항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답지에 대한 반응이다.
예)
<문항1>
<문항2>
<문항3>
답지
반응자수
답지
반응자수
답지
반응자수
①
25
①
20
①
4
②
21
②
15(정답)
②
20
③
19
③
73
③
90(정답)
④
55(정답)
④
12
④
6
120
120
120
문항반응 분포의 과정
<문항1>
바람직한 문장
- 정답에 많은 수의 피험자들이 반응
- 오답지에 비교적 고르게 반응분포
<문항2>
정답이 정답구실을 못함
- 정답이 왜 정답구실을 못했는지 검토 후 정답문항을 개선하거나 ③번 오답의 매력을 줄여야 한다.
<문항3>
실제로는 진위형 문항
- 정답이 너무 뚜렷하고 오답의 매력이 너무 적어 실제 사용 불가
- 오답지의 매력을 좀더 늘려야 한다.
4)문항반응 이론
- 고전 검사이론의 단점( 검사총점에 의해 분석되고, 집단과 검사에 의하여 제한)의 대안으로 제시된 이론이다.
- 문항은 문항 각각이 불변하는 고유한 속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속성을 나타내는 문항특성 곡선에 의하여 문항을 분석하는 이론
- 장점은 불변성 개념으로 문항 특성 불변성 및 피험자 능력 불변성 개념이다.
@문항 특성 불변성: 문항 특성이 피험자 집단의 특성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피험자 능력 불변성: 피험자의 능력은 특정검사나 문항에 따라 변하는 것이 아니라 고유한 능력 수준이 있다. 검사의 어렵고 쉬운 정도에 관계없이 피험자의 능력을 안정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1) 문항특성곡선
어떤 문항에 반응하는 각 피험자는 얼마만큼의 기초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각 피험자는 능력척도 상에서 어느 위치의 수치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피험자의 능력
P():각 능력 수준에서 그 능력을 가진 피험자가 그 문항에 답을 맞출 확률
피험자의 능력에 따라 문항의 답을 맞출 확률을 나타내는 곡선을 문항특성곡선이라 한다.
문항특성곡선
- 일반적으로 S자 형태
- 피험자의 능력은 대략 -3.0~ +3.0사이에 위치한다.
- 능력이 높을수록 문항의 답을 맞출 확률이 증가하나 직선증가는 아니다.
- 문항 난이도, 문항 변별도, 문항 추측도에 따라 다양한 곡선이 생긴다.
1) 문항 난이도: 문항이 어느 능력 수준에서 기능하는가를 나타내는 지수
문항의 어려운 정도를 보여준다.
곡선이 오른쪽에 위치할수록 문항이 어렵다.
값이 커질수록 어려운 문항이다.
문항의 답을 맞출 확률이 0.5에 대응하는 능력 수준(b)
일반적으로 -2.0~ +2.0 사이
2)문항변별도:문항이 피험자를 능력에 따라 변별하는 정도를 나타내는지수
변별력은 문항특성곡선의 기울기와 관계
기울기가 급하면 변별도 크고 완만하면 낮아진다.
문항특성곡선상의문항난이도를 표시하는 점에서문항특성곡선의 기울기를 말한다.(a)
일반적으로 0~ +2.0 까지의 값을 가진다.
높을수록 좋은 문항이다.
3)문항추측도: 능력이 전혀 없음에도 불구하고 문항의 답을 맞추는 확률(c)
일반적으로 답지가 네 개인 문항에서 0~ 0.20사이이다.
값이 높을수록 좋지 않은 문항
(2) 문항반응모형
- 문항특성곡선의 특성을 수리적으로 표시한 것으로 문항모수 및 피험자의 능력을 추정한다.
- 정규 오자이브 모형은 적분 계산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어 로지스틱 모형을 사용한다.
▣1모수 로지스틱 모형: 문항 난이도만 고려
▣2모수 로지스틱 모형: 문항 난이도와 문항 변별도 포함
▣3모수 로지스틱 모형: 문항 난이도, 문항변별도, 문항 추측도를 모두 포함
변별력이 (-) : 반드시 제외
3) 문항반응분포
- 피험자 집단의 학습자들이 문항의 각 답지에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가를 기술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분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 분석의 대상이 문항 그 자체가 아니라 문항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답지에 대한 반응이다.
예)
<문항1>
<문항2>
<문항3>
답지
반응자수
답지
반응자수
답지
반응자수
①
25
①
20
①
4
②
21
②
15(정답)
②
20
③
19
③
73
③
90(정답)
④
55(정답)
④
12
④
6
120
120
120
문항반응 분포의 과정
<문항1>
바람직한 문장
- 정답에 많은 수의 피험자들이 반응
- 오답지에 비교적 고르게 반응분포
<문항2>
정답이 정답구실을 못함
- 정답이 왜 정답구실을 못했는지 검토 후 정답문항을 개선하거나 ③번 오답의 매력을 줄여야 한다.
<문항3>
실제로는 진위형 문항
- 정답이 너무 뚜렷하고 오답의 매력이 너무 적어 실제 사용 불가
- 오답지의 매력을 좀더 늘려야 한다.
4)문항반응 이론
- 고전 검사이론의 단점( 검사총점에 의해 분석되고, 집단과 검사에 의하여 제한)의 대안으로 제시된 이론이다.
- 문항은 문항 각각이 불변하는 고유한 속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속성을 나타내는 문항특성 곡선에 의하여 문항을 분석하는 이론
- 장점은 불변성 개념으로 문항 특성 불변성 및 피험자 능력 불변성 개념이다.
@문항 특성 불변성: 문항 특성이 피험자 집단의 특성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피험자 능력 불변성: 피험자의 능력은 특정검사나 문항에 따라 변하는 것이 아니라 고유한 능력 수준이 있다. 검사의 어렵고 쉬운 정도에 관계없이 피험자의 능력을 안정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1) 문항특성곡선
어떤 문항에 반응하는 각 피험자는 얼마만큼의 기초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각 피험자는 능력척도 상에서 어느 위치의 수치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피험자의 능력
P():각 능력 수준에서 그 능력을 가진 피험자가 그 문항에 답을 맞출 확률
피험자의 능력에 따라 문항의 답을 맞출 확률을 나타내는 곡선을 문항특성곡선이라 한다.
문항특성곡선
- 일반적으로 S자 형태
- 피험자의 능력은 대략 -3.0~ +3.0사이에 위치한다.
- 능력이 높을수록 문항의 답을 맞출 확률이 증가하나 직선증가는 아니다.
- 문항 난이도, 문항 변별도, 문항 추측도에 따라 다양한 곡선이 생긴다.
1) 문항 난이도: 문항이 어느 능력 수준에서 기능하는가를 나타내는 지수
문항의 어려운 정도를 보여준다.
곡선이 오른쪽에 위치할수록 문항이 어렵다.
값이 커질수록 어려운 문항이다.
문항의 답을 맞출 확률이 0.5에 대응하는 능력 수준(b)
일반적으로 -2.0~ +2.0 사이
2)문항변별도:문항이 피험자를 능력에 따라 변별하는 정도를 나타내는지수
변별력은 문항특성곡선의 기울기와 관계
기울기가 급하면 변별도 크고 완만하면 낮아진다.
문항특성곡선상의문항난이도를 표시하는 점에서문항특성곡선의 기울기를 말한다.(a)
일반적으로 0~ +2.0 까지의 값을 가진다.
높을수록 좋은 문항이다.
3)문항추측도: 능력이 전혀 없음에도 불구하고 문항의 답을 맞추는 확률(c)
일반적으로 답지가 네 개인 문항에서 0~ 0.20사이이다.
값이 높을수록 좋지 않은 문항
(2) 문항반응모형
- 문항특성곡선의 특성을 수리적으로 표시한 것으로 문항모수 및 피험자의 능력을 추정한다.
- 정규 오자이브 모형은 적분 계산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어 로지스틱 모형을 사용한다.
▣1모수 로지스틱 모형: 문항 난이도만 고려
▣2모수 로지스틱 모형: 문항 난이도와 문항 변별도 포함
▣3모수 로지스틱 모형: 문항 난이도, 문항변별도, 문항 추측도를 모두 포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