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타당도
2. 신뢰도
3. 객관도
4. 실용도
5. 표준화 검사
2. 신뢰도
3. 객관도
4. 실용도
5. 표준화 검사
본문내용
본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한다.
예비조사를 통해 문항을 수정하고, 실시 시간 및 방법, 그리고 실시 도중에 발생할 수 있 는 제반 문제점을 사전에 검토하고 문항 분석을 위한 자료를 수집한다.
⑷문항분석
문항분석 : 검사 문항으로 적절한지를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하는 절차.
문항별로 난이도를 조사하여 극단적으로 쉽거나 어려운 문항을 제거한 후 변별도를 분석 한다.
문항분석에서는 각 문항에 대하여 문항의 난이도, 변별도, 동질도, 타당도, 선택지별 오답 률 등을 충분히 검토하여 적절한 문항을 선정해야 한다.
⑸표준화 검사 제작
문항 분석의 결과에 따라 선택된 문항들로 구성된 검사를 최종적인 형태의 표준화 검사로 제작하고, 실시방법과 채점방법을 결정한다.
⑹규준 작성
최종적인 검사가 완성되면 평가 대상인 모집단을 가장 잘 대표할 수 있는 집단을 표집하 여 표준화를 위한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의하여 규준을 작성한다.
⑺신뢰도와 타당도의 산출
통계적 방법을 통하여 검사 자체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산출하고 검증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진 표준화 검사는 검사지와 검사 요강의 모양으로 판매가 된 다.
*검사요강-검사의 실행, 처리, 해석의 지침서로서 검사 전반에 걸친 상세한 내용이 수록되 어 있다.
3)표준화 검사의 종류
⑴검사목적에 따른 분류
개관검사/ 분석검사/ 진단검사
⑵문항 형식에 따른 분류
언어검사/ 비언어검사/ 수행검사
⑶측정방법에 따른 분류
속도검사/ 역량검사
⑷실시방법에 따른 분류
개인검사/ 집단검사
⑸검사내용에 따른 분류
지능검사/ 적성검사/ 학력검사/ 성격검사/ 흥미검사/ 태도 및 가치관 검사/ 사회성 검사
4)표준화 검사의 활용
⑴학습 지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학력 진단에 활용된다.
⑵학습자의 생활 지도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해 준다.
⑶교육적 배치를 위한 자료를 제공한다.
⑷교육연구와 교사의 자질 향상에 도움을 준다.
표준화 검사는 동일한 목적을 가진 것이라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므로 적절한 검사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표준화 검사를 선택할 때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 또는 선택기준
①검사 대상자의 연령 수준이나 학년 수준에 알맞은가?
②검사내용이 본래 검사를 실시하는 목적에 적합한가?
③검사의 실시, 채점, 해석에 있어서 전문적 소양이 필요하지 않는가?
등에 관한 사항을 충분히 검토하여 가장 적절한 검사를 선택해야 한다.
예비조사를 통해 문항을 수정하고, 실시 시간 및 방법, 그리고 실시 도중에 발생할 수 있 는 제반 문제점을 사전에 검토하고 문항 분석을 위한 자료를 수집한다.
⑷문항분석
문항분석 : 검사 문항으로 적절한지를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하는 절차.
문항별로 난이도를 조사하여 극단적으로 쉽거나 어려운 문항을 제거한 후 변별도를 분석 한다.
문항분석에서는 각 문항에 대하여 문항의 난이도, 변별도, 동질도, 타당도, 선택지별 오답 률 등을 충분히 검토하여 적절한 문항을 선정해야 한다.
⑸표준화 검사 제작
문항 분석의 결과에 따라 선택된 문항들로 구성된 검사를 최종적인 형태의 표준화 검사로 제작하고, 실시방법과 채점방법을 결정한다.
⑹규준 작성
최종적인 검사가 완성되면 평가 대상인 모집단을 가장 잘 대표할 수 있는 집단을 표집하 여 표준화를 위한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의하여 규준을 작성한다.
⑺신뢰도와 타당도의 산출
통계적 방법을 통하여 검사 자체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산출하고 검증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진 표준화 검사는 검사지와 검사 요강의 모양으로 판매가 된 다.
*검사요강-검사의 실행, 처리, 해석의 지침서로서 검사 전반에 걸친 상세한 내용이 수록되 어 있다.
3)표준화 검사의 종류
⑴검사목적에 따른 분류
개관검사/ 분석검사/ 진단검사
⑵문항 형식에 따른 분류
언어검사/ 비언어검사/ 수행검사
⑶측정방법에 따른 분류
속도검사/ 역량검사
⑷실시방법에 따른 분류
개인검사/ 집단검사
⑸검사내용에 따른 분류
지능검사/ 적성검사/ 학력검사/ 성격검사/ 흥미검사/ 태도 및 가치관 검사/ 사회성 검사
4)표준화 검사의 활용
⑴학습 지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학력 진단에 활용된다.
⑵학습자의 생활 지도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해 준다.
⑶교육적 배치를 위한 자료를 제공한다.
⑷교육연구와 교사의 자질 향상에 도움을 준다.
표준화 검사는 동일한 목적을 가진 것이라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므로 적절한 검사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표준화 검사를 선택할 때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 또는 선택기준
①검사 대상자의 연령 수준이나 학년 수준에 알맞은가?
②검사내용이 본래 검사를 실시하는 목적에 적합한가?
③검사의 실시, 채점, 해석에 있어서 전문적 소양이 필요하지 않는가?
등에 관한 사항을 충분히 검토하여 가장 적절한 검사를 선택해야 한다.
추천자료
학습 양식 검사
진로 심리 검사
MMPI - 다면적 인성검사
나의MMPI(다면적 인성검사)분석
k-wab,k-bnt,대구실어증검사도구
KISE KIT(한국형 개인지능검사)
(A+ 레포트) 다면적 인성검사(MMPI) 결과 해석 방법
(A+ 레포트) 다면적 인성검사(MMPI) 결과 해석 방법
청소년 상담에서 사용되어지는 심리검사의 종류와 그 사용 목적을 기술하시오
사회 성숙도 검사
K-ABS 적응행동검사(Korean-Adaptive Behavior Scale)
K-WAB (한국판-웨스턴 실어증검사)
유아 지능검사종류를 세 가지 이상 제시하고 다음의 항목으로 소개하시오.
공공기관에서 주관하는 심리검사는 어떻게 신뢰도를 파악할 것인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