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산업 구조와 방송제작 시스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방송산업구조
1. 방송사의 종류
2. 제도 구분에 따른 분류
3. 방송사의 재원 구조
4. 방송 산업의 인력 구조

TV 방송사의 조직과 제작시스템
1. 외부환경과 방송사 조직 간의 관계
2. 방송사 내부조직
3.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시스템
4. 프로그램 제작과정

본문내용

자가 있는 부조종실과 스튜디오를 연결해 제작자와 출연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는 FD (floor director)의 역할도 한다.
④작가는 대본을 쓰는 사람이다. 작품 구성에 작가가 참여하는 정도는 개별 연출자와 작가의 관계에 따라 달라서 역할의 경계가 모호한 것이 사실이다. 즉, 주어진 구성내용에 따라 대본만 쓰는 작가가 있고 독자적으로 내용을 구성 하고 섭외, 대본작성까지 담당하는 작가도 있다. 드라마 작가의 경우 출연자 선정에 까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람들도 있다.
⑤크루는 주로 기재나 장비를 다루는 사람들을 말한다. 이들은 보통 여러 개의 프로그램 제작에 동시에 참여한다. 제작 크루에는 기술감독, 카메라맨, 영상담당자, 음향 담당자, 조명감독, 세트 디자이너, 무대 감독 등이 있다.
⑥지원요원에는 영상편집인, 그래픽 아티스트, 분장사, 의상책임자, 소품 책임자, 음악담당 등이 포함된다.
뉴스 제작에는 일반 프로그램 제작과는 달리 방송기자, 카메라 기자 등이 있어 개별 뉴스 아이템 제작을 담당한다. 미국 주요방송사의 경우 개별 뉴스 아이템 제작에도 프로듀서, 작가, 조사자 등이 참여하는 데 반해 한국은 방송기자와 카메라 기자가 모든 것을 책임진다.
이 밖에도 프로그램 제작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부서의 간부, 방송사 경영진, 시청자 집단 등이 그들이다.
담당 pd
출연진
제작 스태프
방송사 경영자
조직의 책임자
외부집단
36.7%
18%
14.7%
12.3%
12.0%
6.4%
표 프로그램 제작에서의 역할 분담정도
출처 :한국방송개발원
4. 프로그램 제작과정
프로그램 제작과정은 크게 기획, 제작, 후반작업의 3단계로 나뉜다.
1)기획
기획단계는 제작 아이디어를 내는 데서 실제 촬영, 녹화, 또는 생방송이 이루어지기 직전까지의 과정을 말한다. .
그림 4 기획 단계의 작업
①아이디어가 제시되면 자료조사와 관련부서 협의를 통해 실행가능성을 타진하고, 제작기획서가 작성된다. ②제작기획서는 기획의도와 실현방안을 얼마나 충실하게 보여주는 가가 중요하다. ③사전제작단계가 기획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사전제작단계가 철저하지 못하면 제작비와 시간의 막대한 손실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방송프로그램의 질이 문제가 되는 이유로 자주 지적되는 것이 기획에서 제작에 이르는 시간이 짧다는 사실이다. 같은 예산이라도 사전제작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질 낮은 프로그램이 만들어질 수밖에 없다.
2)제작
제작은 촬영, 편집, 생방송/녹화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1)촬 영
본 프로그램 녹화나 생방송에서 쓰일 비디오 클립은 사전에 촬영, 편집한다. 뉴스 프로그램에서도 개별 테이프에 편집한 뒤 생방송 중에 하나씩 틀게 된다. 다큐멘터리의 경우 녹화나 생방송이 없으므로 촬영과 편집이 제작의 전 과정이다.
촬영은 편집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져야 시간과 경비를 아낄 수 있다. 특히 편집에서 부족한 부분을 발견해 재촬영이 필요하게 되면 이는 큰 낭패다. 때문에 촬영 리스트작성 등 사전제작이 필수이다.
(2)편집
편집은 결합, 삭제, 정정, 구성 등 네 가지 기능을 한다.
-결합은 여러 테이프에 나누어져 있는 화면을 하나로 연결시켜 하나의 완성된 방송용 테이프로 만드는 것이다.
-삭제는 촬영된 것을 압축하여 가장 필요한 것만을 선택하는 것이다.
-정정은 어떤 장면 가운데 제대로 안된 부분이나 촬영이 잘못된 것을 잘라 내거나 잘된 것으로 바꾸는 것이다.
-구성은 같은 장면을 다른 각도와 크기로 여러 번 촬영한 뒤 이것을 영상문법에 맞도록 자르고, 연결하여 하나의 이야기 구조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TV 프로그램의 편집은 필름을 물리적으로 잘라 붙이는 원리가 아니라, 전자적으로 원래의 내용을 다른 테이프 또는 디스크에 복사하는 원리에 의해 이루어진다. TV프로그램의 편집을 위해서는 적어도 한 대의 재생기와 한 대의 녹화기가 필요하다. 이것이 확장되면 재생기가 2대, 3대가 되어 여러 가지 촬영 테이프를 바꾸지 않고도 쉽게 편집을 할 수 있을뿐더러 비디오 믹서기를 덧붙이면 편집과정에서도 A화면에서 B화면으로 와이프 , 디졸브 등 여러 기법이 가능하다. 편집과정이 거의 녹화 수준으로 이루어지면서 각종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준비된 곳이 방송사의 종합편집실이다.
편집은 촬영보다 더 주관적이다. 편집은 '방송은 기술'이라는 사실을 잘 드러내주는 제작과정이다. 그러나 사실의 왜곡과 선정성의 근원이 편집과정에 있다는 것을 잊으면 안 된다.
설명 와이프 -한 화면이 닦아 내는 것처럼 조금씩 없어지며 다른 화면으로 바뀌는 것. 와이프 아웃(Wipe Out=W.O.)이라고 한다. O.L.과 함께 생략의 기법으로도 쓰인다.
디졸브 -약해서 Dis라고 씀. 오버랩과 같은 것이나 조금 약하다.
(3)생방송/녹화
생방송이나 녹화 과정에서는 현재 진행되는 사안을 카메라에 담는 것과 동시에 미리 촬영, 편집해 둔 테이프를 돌려가며 프로그램을 완성한다.
녹화에는 실황녹화와 분할녹화가 있다.
-실황녹화 :가능한 한 생방송처럼 끊지 않고 한 번에 녹화 (퀴즈처럼 상황을 반복할 수 없을 때, 스튜디오 사정이 여의치 않을 때 등)
-분할녹화 :전체 프로그램을 부분으로 나누어 녹화 (드라마처럼 출연진을 한 번에 모을 수 없거나 지어진 세트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
생방송이나 실황녹화에서는 NG를 내면 잘못된 부분을 수정할 수 없으므로 사전준비와 리허설이 철저해야 한다. 분할녹화에서는 녹화계획을 효율적으로 세우고, 사전기획을 꼼꼼히 해놓는 것이 중요하다.
3)후반작업
후반작업은 녹화과정에서 실수한 부분과 녹화 당시보다 더욱 정교한 기술적 처치가 필요한 부분을 손질하는 단계다. 분할녹화에서 잘라 녹화했던 부분을 연결하는 작업도 이에 해당된다. 후반작업은 주로 종합 편집실에서 이루어지는데 특정 샷이 기술적으로 문제가 되는 정도의 수정은 1:1 편집기에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자막처리나 특수효과도 후반작업에 포함된다. 후반작업은 프로그램의 질을 한층 높여주는 과정이다.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후반작업을 하려면, 녹화가 예정된 시간에 끝나야 하고, 이를 위해선 기획단계가 충실해야한다.

키워드

텔레비전,   문화,   미디어,   언론,   촬영,   카메라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09.06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18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