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원인 및 병태생리, 위험요인
3. 협심증의 형태
4. 증상
5. 진단
6. 치료
7. 일반적인 간호 (교육)
2. 원인 및 병태생리, 위험요인
3. 협심증의 형태
4. 증상
5. 진단
6. 치료
7. 일반적인 간호 (교육)
본문내용
.
3) 동반된 질환을 치료함 - 심근의 산소 요구량을 증가시키거나 산소 공급량을 감소시켜 협심증을 유발시키거나 악화시킬지 모르는 다른 동반된 질환을 치료한다. 이와 같은 질환으로 고혈압, 갑상선 기능 항진증, 폐질환, 흡연으로 인한 일산화탄소 중독, 빈혈 등이 있다.
4) 활동의 적응 - 허혈성 심질환의 치료는 심근의 산소 요구량과 공급량 사이의 불균형을 개선하는 것이므로 환자들도 이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일상 활동을 합리적으로 계획해야 한다. 일의 속도를 줄인다든지 식후 즉시 일하는 것을 삼가 한다든지 아침시간의 작업량을 줄일 수 있다. 식사를 소량으로 자주 하는것도 도움이 될 수 있고, 직장이나 집을 옮기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정신적인 불안이나 좌절 등이 심근 허혈을 조장하면 신경안정제를 복용하고 신경정신과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좋겠다. 운동부하검사의 결과를 참조하여 그 환자에 맞는 운동 계획을 개발해야 한다.
5) 약물요법 - 협심증 대상자에게 사용되는 약물은 크게 혈관확장제, 교감신경 차단제, 칼슘 차단데, 혈소판 응집억제제, 항응고제 등이 사용된다.
① 혈관 확장제(니트로글리세린 - NTG) - 니트로글리세린(NTG) 같은 약이나 안정은 협심증을 완화시키는 가장 빠른 방법이다. NTG는 혈관을 이완시키고 혈압을 낮추는 약이다. 협심증은 심장이 혈액과 산소가 필요하다는 것을 경고하는 것이기 때문에 환자가 협심증을 처음 느꼈을 때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통증이 오면 매 3~5분 마다 NTG 알약을 먹거나 스프레이를 사용할 수 있는데 최대 3번까지 적용할 수 있다. 협심증은 15분안에 또는 NTG를 3번 복용하기 전에 증상이 완화된다. 만약 통증이 15분 이상 지속된다면 의사를 부르거나 가장 가까운 응급실로 가야한다.
* 니트로글리세린의 종류 *
⑴ 속효형 - 정제와 스프레이 두가지 형태가 있으며 몇 분안에 최고 농도에 이르게 된다. 정제든 스프레이든 속효형 NTG를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닌다. NTG정제나 스프레이 모두 유통기한을 확인해 놓는다. 그리고 몇 개월 전에 교체한다.
ㆍ정제 - 작고 하얀 니트로글리세린 정제는 혀밑에 약을 넣어야지 가장 빨리 녹는다. 그냥 삼켜버리면 그 약은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NTG정제는 갈색병에 담겨 있다. 약을 혀밑에 물었을 때 쏘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런 느낌이 사라지면 약효가 떨어진 것이므로 다른 약으로 교체해야 한다.
ㆍ스프레이 - 스프레이를 사용하려면 먼저 뚜껑을 벗겨내고 혀 아래나 볼 안쪽으로 약을 한번 뿌린다. NTG 스프레이 한 캔은 NTG 200정과 같습니다. NTG 스프레이는 박하맛이 난다.
ㆍ패치, 연고 - 지속형NTG는 종종 협심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낮이나 밤동안 사용되어 진다. 이런 약들은 정제, 연고, 피부접착물(패치)이 있다.
② 교감신경 차단제 - 교감신경 차단제는 교감신경과 카테콜라민의 작용을 차단해서 심박수와 심근의 수축력 및 혈압을 저하시키고 심근의 산소 요구도를 감소시킨다. 그 외의 작용으로는 심근의 직접적인 억제효과, 심근내의 혈류를 재분포시키는 효과, 항혈소판 작용 등이 있다. 흔히 사용되는 교감신경 차단제로는 propranolol, atenolol 등이 있다. propranolol는 협심증의 발작빈도를 줄이기 위하여 구강으로 투여한다. 이 약은 심장의 수축력을 저하시키므로 심부전 대상자에게는 특히 조심해서 사용해야 한다.
오심, 구토, 정신적 억압, 피로, 설사 등의 부작용이 대상자의 2% 미만에서 나타나며 nitrate와 같이 사용하면 효과가 훨씬 높다.
③ 칼슘 차단제 - 심근과 평활근으 l전기적 흥분은 심장의 탈분극 시기동안 심근 세포외에 있는 칼
3) 동반된 질환을 치료함 - 심근의 산소 요구량을 증가시키거나 산소 공급량을 감소시켜 협심증을 유발시키거나 악화시킬지 모르는 다른 동반된 질환을 치료한다. 이와 같은 질환으로 고혈압, 갑상선 기능 항진증, 폐질환, 흡연으로 인한 일산화탄소 중독, 빈혈 등이 있다.
4) 활동의 적응 - 허혈성 심질환의 치료는 심근의 산소 요구량과 공급량 사이의 불균형을 개선하는 것이므로 환자들도 이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일상 활동을 합리적으로 계획해야 한다. 일의 속도를 줄인다든지 식후 즉시 일하는 것을 삼가 한다든지 아침시간의 작업량을 줄일 수 있다. 식사를 소량으로 자주 하는것도 도움이 될 수 있고, 직장이나 집을 옮기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정신적인 불안이나 좌절 등이 심근 허혈을 조장하면 신경안정제를 복용하고 신경정신과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좋겠다. 운동부하검사의 결과를 참조하여 그 환자에 맞는 운동 계획을 개발해야 한다.
5) 약물요법 - 협심증 대상자에게 사용되는 약물은 크게 혈관확장제, 교감신경 차단제, 칼슘 차단데, 혈소판 응집억제제, 항응고제 등이 사용된다.
① 혈관 확장제(니트로글리세린 - NTG) - 니트로글리세린(NTG) 같은 약이나 안정은 협심증을 완화시키는 가장 빠른 방법이다. NTG는 혈관을 이완시키고 혈압을 낮추는 약이다. 협심증은 심장이 혈액과 산소가 필요하다는 것을 경고하는 것이기 때문에 환자가 협심증을 처음 느꼈을 때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통증이 오면 매 3~5분 마다 NTG 알약을 먹거나 스프레이를 사용할 수 있는데 최대 3번까지 적용할 수 있다. 협심증은 15분안에 또는 NTG를 3번 복용하기 전에 증상이 완화된다. 만약 통증이 15분 이상 지속된다면 의사를 부르거나 가장 가까운 응급실로 가야한다.
* 니트로글리세린의 종류 *
⑴ 속효형 - 정제와 스프레이 두가지 형태가 있으며 몇 분안에 최고 농도에 이르게 된다. 정제든 스프레이든 속효형 NTG를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닌다. NTG정제나 스프레이 모두 유통기한을 확인해 놓는다. 그리고 몇 개월 전에 교체한다.
ㆍ정제 - 작고 하얀 니트로글리세린 정제는 혀밑에 약을 넣어야지 가장 빨리 녹는다. 그냥 삼켜버리면 그 약은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NTG정제는 갈색병에 담겨 있다. 약을 혀밑에 물었을 때 쏘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런 느낌이 사라지면 약효가 떨어진 것이므로 다른 약으로 교체해야 한다.
ㆍ스프레이 - 스프레이를 사용하려면 먼저 뚜껑을 벗겨내고 혀 아래나 볼 안쪽으로 약을 한번 뿌린다. NTG 스프레이 한 캔은 NTG 200정과 같습니다. NTG 스프레이는 박하맛이 난다.
ㆍ패치, 연고 - 지속형NTG는 종종 협심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낮이나 밤동안 사용되어 진다. 이런 약들은 정제, 연고, 피부접착물(패치)이 있다.
② 교감신경 차단제 - 교감신경 차단제는 교감신경과 카테콜라민의 작용을 차단해서 심박수와 심근의 수축력 및 혈압을 저하시키고 심근의 산소 요구도를 감소시킨다. 그 외의 작용으로는 심근의 직접적인 억제효과, 심근내의 혈류를 재분포시키는 효과, 항혈소판 작용 등이 있다. 흔히 사용되는 교감신경 차단제로는 propranolol, atenolol 등이 있다. propranolol는 협심증의 발작빈도를 줄이기 위하여 구강으로 투여한다. 이 약은 심장의 수축력을 저하시키므로 심부전 대상자에게는 특히 조심해서 사용해야 한다.
오심, 구토, 정신적 억압, 피로, 설사 등의 부작용이 대상자의 2% 미만에서 나타나며 nitrate와 같이 사용하면 효과가 훨씬 높다.
③ 칼슘 차단제 - 심근과 평활근으 l전기적 흥분은 심장의 탈분극 시기동안 심근 세포외에 있는 칼
추천자료
[논문] 급성 심근경색증
급성 심근 경색증 - 관상동맥의 폐색으로 심근으로의 혈류가 갑자기 차단되어 심근에 괴사를 ...
심장질환관련 치료중재 종류. 절차 및 간호에 관한 조사
[간호학]내과 데일리
MICU내과계중환자실 cardiac arrest 심정지
내과-컨퍼런스 : 심근경색 (STEMI)
심전도 검사(Electrocardiogram, ECG)
심혈관계질환
심혈관 질환 간호, ECG
성인간호학) 관상동맥 중재술 A+
성인간호학) 식도열공탈장과 이완불능증
성인간호 case study - STEMI ST분절상승 심근경색
Hiatal hernia, Esophageal achalasia(식도 열공 탈장, 식도 이완불능증)
응급실(ER) 컨퍼런스 -심근경색증(MI)- 케이스 스터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