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언
성과주의 인사 철학
도전적 성과 목표 설정
성과 중심의 평가 및 차별 보상 강화
낮은 성과 창출자 관리에 역점을 두어야
성과주의 인사 철학
도전적 성과 목표 설정
성과 중심의 평가 및 차별 보상 강화
낮은 성과 창출자 관리에 역점을 두어야
본문내용
하고, 뚜렷한 성과 개선 실적이 없는 사람에게는 과감한 인사 조치(타 부문 전배, 감봉 등)를 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PepsiCo사 경우 고위층 인력의 약 10% 정도를 항시 인사 조치를 하는데, 이중 절반 정도는 성과 부진에 따른 것이다. 지금까지 성과주의 인사 정착을 위해 고려해야할 몇가지 포인트를 살펴 보았다. 성과주의 인사는 경영 자원의 효과적인 활용과 구성원들의 동기 부여를 위해 매우 효과적인 방안일 수 있다. 그러나 그 도입 과정 상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고, 정착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성공적 도입을 위해서는 자사의 상황에 맞는지부터 충분히 검토해야 하며, 성과 평가 및 차별 보상이라는 수단적인 요인에만 국한되지 않고, 인사 시스템 전반에 걸친 변화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추천자료
성과급 제도
(HRM 분석 PPT) LG electronics의 HRM 분석과 우리의 견해 (고급 발표 자료)
인력개발에 대한 가설
인적자원관리 이론과 한국기업의 실천적 과제
취업준비, 포스코의 인적자원관리제도 분석
변화관리를 위한 HR 제도 혁신
우수동기부여사례 조사 - CJ를 중심으로
유한킴벌리의 성과보상제도
다른 평가제도를 사용하고 있는 3개의 기업을 택하여 각각 어떠한 평가제도를 사용하고 있는...
효과적인 연봉제 도입을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
연봉제의 개념
[인센티브제도]인센티브제도의 정의, 인센티브제도의 종류, 인센티브제도의 현황, 인센티브제...
근무성적평가 - 검찰청 사례
1980년대 채용방식의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