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론을 음양오행으로 설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상론을 음양오행으로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혈맥, 경락 그 어떤 조직도 脾臟으로부터의 精微물질을 제공받지 못하면 정상적인 생리활동에 장애를 초래한다. 또한 인체외부의 물질인 수곡을 정미물질인 精氣로 변화시키는 성질은 土의 대표적 성질인 生化개념을 그대로 물려받았다.
脾主升淸이란 기능은 胃主降濁과 상대되는 말인데 升淸이란 것은 水穀을 상부로 보내는 의미가 아니라 精微물질을 흡수, 轉輸, 산포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는 土의 치우침이 없이 통합하여 자기화 하려는 개념을 밑바탕으로 한다고 볼 수 있다.
脾는 六氣 중에 濕과 관련지어 생각을 하는데 이는 五惡 개념이다. “脾惡濕”이란 말이 있듯이 脾는 濕이 몰리는 것을 싫어하는데 脾에 濕이 몰리면 담음 등의 체내에 불필요한 노폐물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脾의 마지막 기능으로 脾主統血이 있는데 이는 통합력을 지닌 土의 개념으로 연결지어 생각할 수 있다. <難經 四十二難>“脾.....主血 溫五臟”이라 함은 바로 혈액이 脈中에서 운행하여 脈 밖으로 넘치지 않도록 제약하는 기능을 말한다. 전신의 氣血의 운행은 바로 血脈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脾는 血이 脈道밖으로 흘러 넘치지 않게 하여 인체 시스템이 거미망처럼 통합화되어 원활하게 소통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10.11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55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