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부모님을 향한 지극한 효성
◎학문적 방황과 급작스런 어머니의 죽음
◎불교에서 뜻을 구하려
◎새로운 출발
3. 맺음말
2. 부모님을 향한 지극한 효성
◎학문적 방황과 급작스런 어머니의 죽음
◎불교에서 뜻을 구하려
◎새로운 출발
3. 맺음말
본문내용
매진했을 것이다. 그러나 율곡은 학문을 출세의 도구로 생각하지 않았다. 자기 발전과 더불어 남을 위한 현실적 학문을 원했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토록 오랫동안 갈등해왔고 결국엔 스스로 깨달음을 얻어 결론을 내리고 새롭게 시작할 수 있었던 것이리라. 비록 유교와 불교, 어느 쪽이 진정 올바른 길인가는 누구도 확답할 수 없는 문제이지만 그 속에서 주체적으로 자신이 원하던 길을 찾고 그 길을 향해 똑바로 나아갔던 율곡의 삶이야말로 진정 본받을만한 ‘인생의 참고서’라고 생각하는 바이다.
<참고자료>
황준연 『이율곡, 그 삶의 모습』 서울대학교출판부
율곡사랑 http://www.yulgok.co.kr/index1.htm
도덕과 인물학습 http://edupoint.co.kr/inmul/index1.html
<참고자료>
황준연 『이율곡, 그 삶의 모습』 서울대학교출판부
율곡사랑 http://www.yulgok.co.kr/index1.htm
도덕과 인물학습 http://edupoint.co.kr/inmul/index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