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너의 표상형태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나선형 교육과정

2. 나선형 교육과정의 시사점

3. 표상형태

4. 지적 발달과 표상과의 관련 및 모형성

본문내용

상(형식적 조작기)
2) 천칭의 원리
▶ 천칭의 원리에 따르는 동작을 통하여(작동적 표상)→모형이나 그림을 통하여 (영상적 표상)→물리학에서 모멘트의 개념을 이해(상징적 표상)
3) 이차함수의 학습
⑴ 추상적인 이차함수식을 나무토막을 이용하여 학습(상징적 표상→작동적 표상)
⑵ 브루너는 구체물의 조작과 놀이를 이용하여 추상적인 지식을 풀이하여 제시하 면 어떤 교과이든 가르칠 수 있다고 봄.
◎의문점
① 모든 개념을 세 가지 표상만으로 적절히 나타내기에는 한계가 있지 않을까
② 작동적 / 영상적 표상이 반드시 인지 발달 단계가 낮은 학습자에게만 효과적인 것 일까?
③ 교수 측면 강조, 학습의 심리학적 요소 경시 →학습자에게 너무 어려운 학습 과제, 내적 보상의 어려움
④ 지식 습득과 이해에 한계가 있음
  • 가격8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5.11.14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06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