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읽기 평가의 편향성
(2) 읽기 평가의 원리
(3) 읽기 평가의 방향
(4) 읽기 평가의 실제
(2) 읽기 평가의 원리
(3) 읽기 평가의 방향
(4) 읽기 평가의 실제
본문내용
이 있는 날이 아니면 입지 않은 푸른색 코트를 입고 잔주름이 잡힌 가슴장식과 수를 놓은 검은 비단 모자를 쓰고 있다는 걸 알았다.(와, 멋있다. 오늘 공개 수업하나?) 교실 뒤쪽 의자에 삼각 모자를 손에 든 오제 할아버지, 옛 면장님, 옛 우체국장님,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있었다.(진짜 공개 수업하나보다)
( )의 문장은 학생이 책을 읽으면서 사고 구술한 것을 전사한 내용이다.
다. 자율적 수정(Self-Correction) : 학생들이 글을 잘못 읽었을 때, 이를 모르고 계속 읽다가 나중에 오독을 깨닫고 잘못 읽은 부분으로 돌아와 이를 정정한다. 이때 학생들은 자신이 잘못 읽은 것을 어떻게 알게 되었는지 자율적 수정의 단서를 찾아내는 방법이다.
이 평가 방법을 통해 학생들이 자기의 오독을 깨닫는 데 이용하는 단서를 찾아낼 수 있다. 한 예로 학생들은 의미로부터 단서를 얻을 수 있고, 통사 구조로부터 단서를 얻을 수 있으며, 또는 아직 우리가 알지 못하는 다른 요인으로부터 자신의 오독을 깨달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학생의 읽기 전략과 사용하는 단서를 확인할 수 있다.
뚜렷한 예를 들기 어렵지만, 수업 중에 한 학생에게 대표로 음독을 시켰는데, 그 학생이 잘못 읽고 자율적 수정의 단계를 거치는 경우를 들 수 있겠다. 음독이 다 끝난 뒤, 스스로 수정해 읽게 된 까닭을 물을 수 있다. 이 때, 학생은 주변 학생들의 반응, 문맥 상의 의미 등을 이야기 할 것이다.
라. 중요도 평정(Important Ratings) : 읽기란 글 속에 있는 수많은 정보들을 낱낱이 이해할 뿐만 아니라, 글 전체의 주제나 목적에 비추어 각 정보들이 갖는 중요도를 판정하는 과정이다. 글에 있는 정보들 중에서 중요한 정보와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올바로 가려낼 수 있다면 그 자체가 벌써 글을 잘 이해하고 있다는 증거가 된다. 중요도 평정 방법에서는 우선 학생들에게 글 한 편을 이해하며 읽으라고 지시한다. 그런 후 검사자는 별지에 지금 읽은 글을 의미 단위(보통 절 단위)로 나누고, 학생들에게 각 단위가 글 전체의 주제 또는 독서 목적에 비추어 볼 때 얼마나 중요한가를 평정하게 한다. 보통 “매우 중요하다.”, “조금 중요하다.”, “덜 중요하다.”, “중요하지 않다.”와 같은 4단계 평정이 많이 이용된다. 학생들의 평정 결과를 전문가들(예 : 국어교사 2,3명의 평정을 평균한 것의 평정과 비교하여 학생들의 평정이 전문가의 평정에 얼마나 가까운가, 학생은 ‘매우 중요한 것’과 ‘중요하지 않은 것’을 구별할 수 있는가 등의 여러 질문에 대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평가 목표
9.2. 문장의 중요도를 판정하여 글의 중심 내용을 파악한다.
① 여러 문장 중에서 중요한 문장을 파악할 수 있다.
예시 문항
1. 아래에 번호로 제시되어 있는 글은 완결된 글이다. 이 글의 주제를 생각하면서 각 내용의 중요도를 평가하라. 단, 중요도 4가 가장 중요한 내용이며, 각 중요도별로 해당 내용이 5개씩 되도록 균등하게 표시하라.
요약하기
* 정의 : 요약하기는 읽은 내용을 필요(내용 정리 및 보존, 다른 사람에게 전달 목적, 암기를 위한 방편)에 따라 다양한 길이(1/5 요약, 1/3 요악 등)로 요약하는 것으로, 원래보다 적은 분량으로 줄여 재조직하는 것이다. 이 평가는 읽은 내용의 추상화와 재조직이 요구되는 것으로 독서 능력과의 상관성이 매우 높다.
* 방법 : 요약하기 평가는 먼저 학생들에게 요약하기의 단계를 숙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요약하기 단계를 숙지하고 난 후 분량을 제시하고 요약 평가를 실시하도록 한다. 이 때 문학적인 글보다는 비문학적인 글을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글에 나온 말을 그대로 옮겨 쓰지 말고, 글을 이해한 후에 학생 자신의 말로 환원하여 요약하는 것을 높이 평가하도록 한다.
※ 요약하기의 단계
1) 사소한 내용과 불필요한 내용 삭제하기
2) 반복되는 내용 삭제하기
3) 하위 항목의 나열을 상위어로 대체하기
4) 글 속에서 주제문 선택하기
5) 마땅한 주제문이 없을 때 주제문 만들기
* 장ㆍ단점 : 요약하기는 독해 정도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기억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리고 문항 출제가 용이하고, 타당도가 높으며, 쉽게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요약의 분량이 길어질수록 작문 능력 변인이 개입될 수 있고, 요약 성분이 길어질 경우 요약 자료에 대한 분석과 평가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 예시
♠ 아래의 글 내용을 약 1/5 분량으로 요약하시오.
( )의 문장은 학생이 책을 읽으면서 사고 구술한 것을 전사한 내용이다.
다. 자율적 수정(Self-Correction) : 학생들이 글을 잘못 읽었을 때, 이를 모르고 계속 읽다가 나중에 오독을 깨닫고 잘못 읽은 부분으로 돌아와 이를 정정한다. 이때 학생들은 자신이 잘못 읽은 것을 어떻게 알게 되었는지 자율적 수정의 단서를 찾아내는 방법이다.
이 평가 방법을 통해 학생들이 자기의 오독을 깨닫는 데 이용하는 단서를 찾아낼 수 있다. 한 예로 학생들은 의미로부터 단서를 얻을 수 있고, 통사 구조로부터 단서를 얻을 수 있으며, 또는 아직 우리가 알지 못하는 다른 요인으로부터 자신의 오독을 깨달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학생의 읽기 전략과 사용하는 단서를 확인할 수 있다.
뚜렷한 예를 들기 어렵지만, 수업 중에 한 학생에게 대표로 음독을 시켰는데, 그 학생이 잘못 읽고 자율적 수정의 단계를 거치는 경우를 들 수 있겠다. 음독이 다 끝난 뒤, 스스로 수정해 읽게 된 까닭을 물을 수 있다. 이 때, 학생은 주변 학생들의 반응, 문맥 상의 의미 등을 이야기 할 것이다.
라. 중요도 평정(Important Ratings) : 읽기란 글 속에 있는 수많은 정보들을 낱낱이 이해할 뿐만 아니라, 글 전체의 주제나 목적에 비추어 각 정보들이 갖는 중요도를 판정하는 과정이다. 글에 있는 정보들 중에서 중요한 정보와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올바로 가려낼 수 있다면 그 자체가 벌써 글을 잘 이해하고 있다는 증거가 된다. 중요도 평정 방법에서는 우선 학생들에게 글 한 편을 이해하며 읽으라고 지시한다. 그런 후 검사자는 별지에 지금 읽은 글을 의미 단위(보통 절 단위)로 나누고, 학생들에게 각 단위가 글 전체의 주제 또는 독서 목적에 비추어 볼 때 얼마나 중요한가를 평정하게 한다. 보통 “매우 중요하다.”, “조금 중요하다.”, “덜 중요하다.”, “중요하지 않다.”와 같은 4단계 평정이 많이 이용된다. 학생들의 평정 결과를 전문가들(예 : 국어교사 2,3명의 평정을 평균한 것의 평정과 비교하여 학생들의 평정이 전문가의 평정에 얼마나 가까운가, 학생은 ‘매우 중요한 것’과 ‘중요하지 않은 것’을 구별할 수 있는가 등의 여러 질문에 대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평가 목표
9.2. 문장의 중요도를 판정하여 글의 중심 내용을 파악한다.
① 여러 문장 중에서 중요한 문장을 파악할 수 있다.
예시 문항
1. 아래에 번호로 제시되어 있는 글은 완결된 글이다. 이 글의 주제를 생각하면서 각 내용의 중요도를 평가하라. 단, 중요도 4가 가장 중요한 내용이며, 각 중요도별로 해당 내용이 5개씩 되도록 균등하게 표시하라.
요약하기
* 정의 : 요약하기는 읽은 내용을 필요(내용 정리 및 보존, 다른 사람에게 전달 목적, 암기를 위한 방편)에 따라 다양한 길이(1/5 요약, 1/3 요악 등)로 요약하는 것으로, 원래보다 적은 분량으로 줄여 재조직하는 것이다. 이 평가는 읽은 내용의 추상화와 재조직이 요구되는 것으로 독서 능력과의 상관성이 매우 높다.
* 방법 : 요약하기 평가는 먼저 학생들에게 요약하기의 단계를 숙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요약하기 단계를 숙지하고 난 후 분량을 제시하고 요약 평가를 실시하도록 한다. 이 때 문학적인 글보다는 비문학적인 글을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글에 나온 말을 그대로 옮겨 쓰지 말고, 글을 이해한 후에 학생 자신의 말로 환원하여 요약하는 것을 높이 평가하도록 한다.
※ 요약하기의 단계
1) 사소한 내용과 불필요한 내용 삭제하기
2) 반복되는 내용 삭제하기
3) 하위 항목의 나열을 상위어로 대체하기
4) 글 속에서 주제문 선택하기
5) 마땅한 주제문이 없을 때 주제문 만들기
* 장ㆍ단점 : 요약하기는 독해 정도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기억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리고 문항 출제가 용이하고, 타당도가 높으며, 쉽게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요약의 분량이 길어질수록 작문 능력 변인이 개입될 수 있고, 요약 성분이 길어질 경우 요약 자료에 대한 분석과 평가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 예시
♠ 아래의 글 내용을 약 1/5 분량으로 요약하시오.
추천자료
[과외]중학 국어 1-1학기 중간 2단원 읽기와 쓰기 예상문제
[과외]중학 국어 1-1학기 중간 4단원 메모하며 읽기 기출문제
[과외]중학 국어 1-1학기 중간 4단원 메모하며 읽기 예상문제
[과외]중학 국어 2-1학기 중간 1단원 감상하며 읽기 기출문제
[과외]중학 국어 3-1학기 기말 4단원 읽기와 토의 기출문제(교사용)
[과외]중학 국어 3-1학기 기말 4단원 읽기와 토의 예상문제(교사용)
[과외]중학 국어 3-1학기 기말 5단원 읽기와 매체활용 기출문제(교사용)
[과외]중학 국어 3-1학기 기말 5단원 읽기와 매체활용 예상문제(교사용)
[과외]중학 국어 3-1학기 기말 4단원 읽기와 토의 기출문제
[과외]중학 국어 3-1학기 기말 4단원 읽기와 토의 예상문제
[과외]중학 국어 3-1학기 기말 5단원 읽기와 매체활용 기출문제
[과외]중학 국어 3-1학기 기말 5단원 읽기와 매체활용 예상문제
[과외]중학 국어 1-1학기 중간 2단원 읽기와 쓰기 기출문제(교사용)
[과외]중학 국어 1-1학기 중간 2단원 읽기와 쓰기 예상문제(교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