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듣기의 이해 1
1. hearing과 listening의 차이 1
2. listening의 본질 1
3. 듣기의 과정 1
Ⅱ. 외국어 듣기 지도 2
1. 외국어 듣기 단계 2
2. 초보 학습자를 위한 듣기 지도의 내용 3
3. 듣기 지도의 원칙 4
4. 교실에서의 듣기 유형 5
5. 듣기 지도의 기법 6
6. 의사소통 활동(Communicative Activities) 7
Ⅲ. 초등 영어과 듣기 지도 9
1. 듣기(Listening) 지도 9
2. 듣기 지도의 방향 11
3. 듣기 지도 절차 11
4. 듣기 지도 방법 12
5. 듣기 지도상의 유의점 13
Ⅳ. TASKED-BASED ACTIVITIES 13
1. Drawing and Coloring 13
2. Performing actions 14
3. GUESSING 15
4. MATCHING 15
5. PROBLEM-SOLVING 15
6. SEQUENCING 16
7. TRANSFERRING INFORMATION 16
1. hearing과 listening의 차이 1
2. listening의 본질 1
3. 듣기의 과정 1
Ⅱ. 외국어 듣기 지도 2
1. 외국어 듣기 단계 2
2. 초보 학습자를 위한 듣기 지도의 내용 3
3. 듣기 지도의 원칙 4
4. 교실에서의 듣기 유형 5
5. 듣기 지도의 기법 6
6. 의사소통 활동(Communicative Activities) 7
Ⅲ. 초등 영어과 듣기 지도 9
1. 듣기(Listening) 지도 9
2. 듣기 지도의 방향 11
3. 듣기 지도 절차 11
4. 듣기 지도 방법 12
5. 듣기 지도상의 유의점 13
Ⅳ. TASKED-BASED ACTIVITIES 13
1. Drawing and Coloring 13
2. Performing actions 14
3. GUESSING 15
4. MATCHING 15
5. PROBLEM-SOLVING 15
6. SEQUENCING 16
7. TRANSFERRING INFORMATION 16
본문내용
어린이들에게 듣기 기능을 훈련시키기 위해서는 재미있고 다양한 활동들이 필요하다.
Task-based activity들은 초등학교 영어교육이 지향하는 좋은 지도 방법들 중의 하나 이다. Tasked-based activity들은 언어의 효율적인 사용을 권장하고, 구체적인 학습 목표를 설정해 주며, 보다 다양한 학습 환경을 제공해 준다. 이러한 형태의 활동에서는, 학생들은 주어진 과업의 목표에 주의를 기울이게 되고, 그 과업을 잘 수행하기 위해서 들려오는 message를 주의깊게 듣고 과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였을 때에는 학습에 대한 성취감을 느끼게 된다. Tasked-based activity들은 학습 동기를 유발시키고, 흥미를 지속시켜 주어, 결국 듣기 기능을 개발시켜 준다.
1. Drawing and Coloring
어린이들은 그리고 색칠하는 것을 무척 좋아한다. 그러한 성향을 잘 이해하여 수업에 적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듣기 활동이 될 것이다.
Dot-to-dot
점과 점을 연결하는 기본적인 drawing활동이다. 점마다 숫자가 있어서 부르는 숫자를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숫자 대신에 여러 가지 단어들을 사용하여 다양하게 바꾸어 볼 수 있다.
Coloring
예를 들어 여러 개의 꽃과 나무들이 그려진 그림을 학생들에게 나누어 주고 교사는 "Color ea-ch flower red."라고 말한다. 학생들은 빨간 색연필로 꽃들을 모두 색칠한다. 색칠을 마칠 즈음엔 'flower'와 'red' 두 단어가 자연스럽게 습득된다.
Shapes
여러 가지 도형들, 즉 직선, 원, 삼각형, 사각형 등이 그려진 종이를 나누어 주고 다음과 같이 말한다.
▶ Write your name on the line.
▶ Draw your face in the circle.
▶ Draw an apple in the square.
2. Performing actions
어린이들을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수업을 진행시킬 수 없다. 움직임이라는 요소는 수업에 활력과 흥미를 더해 주고, 학생들의 긴장감을 풀어 주며 편안한 수업 분위기를 조성해 줌으로써 언어 습득을 용이하게 해 준다. 'Simon says'나 노래에 맞추어 율동을 하는 것이 가장 알려진 활동들이다.
Clusters
학생들은 음악에 맞춰 자유롭게 윰직인다. 교사가 음악을 멈춘 후, "Group together in five."라고 크게 외피면 학생들은 다섯 명씩 모인다. 다시 음악을 틀고 학생들은 다음 지시 때까지 계속 움직인다.
Break the ice
학생들은 이열 원으로 서서 서로 마주 본다. 교사가 "Say hello to your partner." "Shake hand with your partner." 등을 말하면 그대로 따라 한다. 그런 후 안쪽에 있는 사람들만 오른쪽으로 한 발자국 움직이게 하여 짝을 바꾼다. 다시 교사가 새로운 지시를 내리고 계속 짝을 바꾸면서 진행시킨다.
Put it on!
학생들은 다양한 색깔과 모양의 옷을 준비해 온다. 교사는 학생들을 제 그룹으로 나눈 후 가져온 옷들을 한 가운데 놓도록 한다. 교사가 "Put a brown sweater on."이라고 하면 각 그룹의 학생들은 가져온 옷 중에서 갈색의 스웨트를 빨리 찾아 입어야 하고 가장 빨리 입은 그룹이 이기게 된다. 다 입은 후 "Take off ..."라는 교사의 지시에 따라 다시 옷을 벗는다.
3. GUESSING
Guseeing은 학생들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시키기 때문에 듣기 활동이 될 수 있다. 수수께끼, 스무고개 등이 그 예들이다.
What's in the box?
교사는 한 상자와 여러 개의 물건을 준비한다. 물건을 하나씩 학생들에게 보여 준 다음에 상자에 넣는다. 교사가 어느 한 물건을 묘사하면 그 물건이 무엇인지 알아 맞춰야 한다. 물건은 맞춘 학생에게 나누어주고 일단 물건들이 다 나뉘어지면 물건의 소재를 물어서 다시 그것들을 걷는다 : "Who has the cup?" 등 ... .
4. MATCHING
서로 어울리는 것끼리 짝을 짓게 하는 활동이다.
Butterfliers
교사는 각 학생들에게 두 장씩의 worksheet : worksheet A, worksheet B를 나누어 준다. worksheet A에는 번호가 매겨진 나비들이 그려져 있고 worksheet B에는 교실이 그려져 있다. 학생들은 worksheet A에 있는 나비들을 가위로 오려낸다. 아래와 같은 교사의 지시에 다라 worksheet A와 worksheet B의 그림을 서로 맞춘다.
▶ Butterfly No. 3 flies to the wall.
▶ Butterfly No. 8 flises on the blackboard.
▶ Butterfly No. 5 flies under the desk.
5. PROBLEM-SOLVING
Problem-solving activity는 여러 가지 형태의 문제들의 해결책을 찾는 과정을 통해 듣기 기능을 개발하고자 하는 활동이다. 학생들은 주어진 약간의 information을 이해해야만 하고 해결 과정을 모색할 수 있어야 한다.
Treasure hunt
교사는 학생들을 네 그룹으로 나누고 학생들은 그룹의 대표를 뽑는다. 교사가 요구하는 것을 학생들은 함께 찾아내고 그룹의 대표는 그것을 가능한 한 빨리 교사에게 갖다 준다. 예를 들어 교사는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 Find a white shoe.
▶ Who lives in Mokdong?
▶ Who has the longest hair?
6. SEQUENCING
교사는 이야기와 그 이야기 속에 나오는 일련의 사건들의 그림을 준비한다. 교사가 그림 한 세트를 각 학생에게 나누어 주고 이야기를 들려 주면, 학생들은 순서대로 그림을 나열한다. 다 들은 후 각자의 그림들을 다른 학생들과 비교해 본다.
7. TRANSFERRING INFORMATION
어떤 information이나 이야기를 듣고 주어진 도표를 완성하는 활동이다.
can swim
can skate
can ride a bike
Kathy
Tom
Ann
Task-based activity들은 초등학교 영어교육이 지향하는 좋은 지도 방법들 중의 하나 이다. Tasked-based activity들은 언어의 효율적인 사용을 권장하고, 구체적인 학습 목표를 설정해 주며, 보다 다양한 학습 환경을 제공해 준다. 이러한 형태의 활동에서는, 학생들은 주어진 과업의 목표에 주의를 기울이게 되고, 그 과업을 잘 수행하기 위해서 들려오는 message를 주의깊게 듣고 과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였을 때에는 학습에 대한 성취감을 느끼게 된다. Tasked-based activity들은 학습 동기를 유발시키고, 흥미를 지속시켜 주어, 결국 듣기 기능을 개발시켜 준다.
1. Drawing and Coloring
어린이들은 그리고 색칠하는 것을 무척 좋아한다. 그러한 성향을 잘 이해하여 수업에 적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듣기 활동이 될 것이다.
Dot-to-dot
점과 점을 연결하는 기본적인 drawing활동이다. 점마다 숫자가 있어서 부르는 숫자를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숫자 대신에 여러 가지 단어들을 사용하여 다양하게 바꾸어 볼 수 있다.
Coloring
예를 들어 여러 개의 꽃과 나무들이 그려진 그림을 학생들에게 나누어 주고 교사는 "Color ea-ch flower red."라고 말한다. 학생들은 빨간 색연필로 꽃들을 모두 색칠한다. 색칠을 마칠 즈음엔 'flower'와 'red' 두 단어가 자연스럽게 습득된다.
Shapes
여러 가지 도형들, 즉 직선, 원, 삼각형, 사각형 등이 그려진 종이를 나누어 주고 다음과 같이 말한다.
▶ Write your name on the line.
▶ Draw your face in the circle.
▶ Draw an apple in the square.
2. Performing actions
어린이들을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수업을 진행시킬 수 없다. 움직임이라는 요소는 수업에 활력과 흥미를 더해 주고, 학생들의 긴장감을 풀어 주며 편안한 수업 분위기를 조성해 줌으로써 언어 습득을 용이하게 해 준다. 'Simon says'나 노래에 맞추어 율동을 하는 것이 가장 알려진 활동들이다.
Clusters
학생들은 음악에 맞춰 자유롭게 윰직인다. 교사가 음악을 멈춘 후, "Group together in five."라고 크게 외피면 학생들은 다섯 명씩 모인다. 다시 음악을 틀고 학생들은 다음 지시 때까지 계속 움직인다.
Break the ice
학생들은 이열 원으로 서서 서로 마주 본다. 교사가 "Say hello to your partner." "Shake hand with your partner." 등을 말하면 그대로 따라 한다. 그런 후 안쪽에 있는 사람들만 오른쪽으로 한 발자국 움직이게 하여 짝을 바꾼다. 다시 교사가 새로운 지시를 내리고 계속 짝을 바꾸면서 진행시킨다.
Put it on!
학생들은 다양한 색깔과 모양의 옷을 준비해 온다. 교사는 학생들을 제 그룹으로 나눈 후 가져온 옷들을 한 가운데 놓도록 한다. 교사가 "Put a brown sweater on."이라고 하면 각 그룹의 학생들은 가져온 옷 중에서 갈색의 스웨트를 빨리 찾아 입어야 하고 가장 빨리 입은 그룹이 이기게 된다. 다 입은 후 "Take off ..."라는 교사의 지시에 따라 다시 옷을 벗는다.
3. GUESSING
Guseeing은 학생들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시키기 때문에 듣기 활동이 될 수 있다. 수수께끼, 스무고개 등이 그 예들이다.
What's in the box?
교사는 한 상자와 여러 개의 물건을 준비한다. 물건을 하나씩 학생들에게 보여 준 다음에 상자에 넣는다. 교사가 어느 한 물건을 묘사하면 그 물건이 무엇인지 알아 맞춰야 한다. 물건은 맞춘 학생에게 나누어주고 일단 물건들이 다 나뉘어지면 물건의 소재를 물어서 다시 그것들을 걷는다 : "Who has the cup?" 등 ... .
4. MATCHING
서로 어울리는 것끼리 짝을 짓게 하는 활동이다.
Butterfliers
교사는 각 학생들에게 두 장씩의 worksheet : worksheet A, worksheet B를 나누어 준다. worksheet A에는 번호가 매겨진 나비들이 그려져 있고 worksheet B에는 교실이 그려져 있다. 학생들은 worksheet A에 있는 나비들을 가위로 오려낸다. 아래와 같은 교사의 지시에 다라 worksheet A와 worksheet B의 그림을 서로 맞춘다.
▶ Butterfly No. 3 flies to the wall.
▶ Butterfly No. 8 flises on the blackboard.
▶ Butterfly No. 5 flies under the desk.
5. PROBLEM-SOLVING
Problem-solving activity는 여러 가지 형태의 문제들의 해결책을 찾는 과정을 통해 듣기 기능을 개발하고자 하는 활동이다. 학생들은 주어진 약간의 information을 이해해야만 하고 해결 과정을 모색할 수 있어야 한다.
Treasure hunt
교사는 학생들을 네 그룹으로 나누고 학생들은 그룹의 대표를 뽑는다. 교사가 요구하는 것을 학생들은 함께 찾아내고 그룹의 대표는 그것을 가능한 한 빨리 교사에게 갖다 준다. 예를 들어 교사는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 Find a white shoe.
▶ Who lives in Mokdong?
▶ Who has the longest hair?
6. SEQUENCING
교사는 이야기와 그 이야기 속에 나오는 일련의 사건들의 그림을 준비한다. 교사가 그림 한 세트를 각 학생에게 나누어 주고 이야기를 들려 주면, 학생들은 순서대로 그림을 나열한다. 다 들은 후 각자의 그림들을 다른 학생들과 비교해 본다.
7. TRANSFERRING INFORMATION
어떤 information이나 이야기를 듣고 주어진 도표를 완성하는 활동이다.
can swim
can skate
can ride a bike
Kathy
Tom
Ann
추천자료
초등 영어 지도안
초등 영어 지도안
다섯째마당 마음을 나누며(말하기․듣기․쓰기) 지도안
4. 적극적으로 말하고 듣기-1.언어, 반언어, 그리고 비언어적 의사소통 본시지도안
7차 교육과정의 듣기, 읽기, 독서 영역의 교재와 지도의 실제 - 비판과 대안
국어 4학년 1학기 말하기.듣기.쓰기 넷째마당 '오가는 정' 학습 지도안
Today is Monday 초등 영어 학습 지도안 (영어로 수업)
초등6) <(영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1/6 차시) 듣기 말하기 수업 모형> 7. My Father Is a P...
만 5~6세) <언어지도 - 듣기, 말하기 프로그램계획서> 집으로 돌아오는 길
영유아의 구어지도(말하기와 듣기)를 위한 환경구성과 지도방법을 구체적인 예를들어 설명하시오
영유아의 구어지도(말하기와 듣기)를 위한 환경구성과 지도방법을 구체적인 예를들어 설명하시오
생활연령보다 언어연령이 느린 아이가 있다고 가정하고, 이러한 언어적 어려움을 갖고 있는 ...
5세 누리과정의 의사소통 영역에서 유아문학과 관련된 내용에서 교사가 지도 시 유의할 점을 ...
교사가 즐거운 언어지도를 하려고 한다(집단, 개별). 말하기, 듣기, 읽기 영역에서 각각 15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