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풍속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의 풍속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풍속화
풍속화란 무엇인가.

2. 풍속화의 기원과 전개

3. 삼대 풍속화가
(1) 김홍도
(2) 신윤복
(3) 김득신

4. 풍속화의 쇠퇴

본문내용

학적 분위기와 정서를 좀더 가미하여 그에 못지않은 역량을 발휘하였다. 그는 풍속화에서 김홍도의 전통을 이은 대표적 화가로 손꼽히고 있을 뿐 아니라, 〈곽분양행락도 郭汾陽行樂圖>와 같은 공필(工筆)의 고사도(故事圖)를 남기고 있어 보다 다양한 일면을 보이고 있다. 산수와 영모에서도 서정성 높은 작품을 남겼다. 대표작으로는 〈파적도 破寂圖,〈풍속화첩>,〈귀시도 歸市圖,〈풍속팔곡병 風俗八曲屛>,〈오동폐월도 梧桐吠月圖>,〈신선도>등이 있다.
4. 풍속화의 쇠퇴
19세기에 이르러 풍속화는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1786-1856) 등 청대(淸代) 고증학에 기원을 둔 새로운 문인화풍의 강세에 밀려 사양길로 접어든다. 정치적 격동과 함께 회화 역시 위축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그 중 장승업(張承業)은 전통회화를 계승하였으며, 그의 영향을 받은 안중식(安中植)과 조석진(趙錫晉)은 조선 후기로부터 근대 회화로 연결되는 교량 역할을 담당하였다.
참고 문헌
오주석, 1998, 『단원 김홍도』(열화당)
박영대, 2002, 『우리그림 백가지』(현암사)
임두빈, 1998, 『한국 미술사 101장면』(가람기획)
한국박물관회, 2002, 『조선시대 풍속화』(국립중앙박물관)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12.27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98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