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기
2. 줄거리
3. 작품의 역사적 배경
4. 두 손님- 기독교, 맑스주의
5. 작품의 구조적 특징
6. 맺음말
2. 줄거리
3. 작품의 역사적 배경
4. 두 손님- 기독교, 맑스주의
5. 작품의 구조적 특징
6. 맺음말
본문내용
에 옆집 사람들이 들어와서 싸움박질 하고 내 집을 난장판으로 만들어 놓은 격이네!’
우리의 근대사를 돌이켜 봤을 때, 기독교와, 맑스주의라는 두 손님은 주인인 우리가 손님을 맞을 준비도 돼있지 않은 상태에서 불쑥 찾아온 불청객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떠한 사상이나 종교 등을 수용할 때는 주체성을 갖고 우리에 맞게 수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두 손님의 경우는 그러한 절차가 생략된 채 우리의 영역으로 들어와 버렸다. 그 결과 두 손님은 이성이 부재한 채 맹목적인 사상과 종교적 믿음으로 옮아간 것이라고 생각한다. 맑스주의와 기독교의 맹목적인 추종의 충돌이 바로 신천양민학살인 것이다.
작품에서 만행의 가해자인 요한과 피해자들은 자신들의 억울함을 하소연하고 결국 화해를 하게 된다. 그러나 천연두가 치료는 되어도 그 후에 흉한 상처를 남기듯이, 두 손님의 충돌로 인한 당사자들이 화해는 했어도 그 씻을 수 없는 상흔은 우리의 역사에 남는다는 것이 황석영씨의 인식이다.
나는 이 작품을 통해, 그리고 신천양민학살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통해 이성이 없는 맹목적 이념이나 종교, 사상 등의 이데올로기의 파괴성에 대해서 다시금 생각해보게 되었다. 소메삼촌이 “야소교(기독교)나 사회주의를 신학문이라고 받아 배운지 한 세대도 못되어 서로가 열심당만 되었지. 예전부터 살아오던 사람들의 일을 잊어버리고 만 것이다.” 라고 한 것처럼 맹목적이고 이성이 존재치 않은 여타의 이데올로기에 의한 지배는 주객이 전도되는, 즉 손님인 외세의 이데올로기가 주인인 우리의 전통은 물론이거니와 민족까지도 분열시킬 수 있는 것이다.
우리의 근대사를 돌이켜 봤을 때, 기독교와, 맑스주의라는 두 손님은 주인인 우리가 손님을 맞을 준비도 돼있지 않은 상태에서 불쑥 찾아온 불청객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떠한 사상이나 종교 등을 수용할 때는 주체성을 갖고 우리에 맞게 수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두 손님의 경우는 그러한 절차가 생략된 채 우리의 영역으로 들어와 버렸다. 그 결과 두 손님은 이성이 부재한 채 맹목적인 사상과 종교적 믿음으로 옮아간 것이라고 생각한다. 맑스주의와 기독교의 맹목적인 추종의 충돌이 바로 신천양민학살인 것이다.
작품에서 만행의 가해자인 요한과 피해자들은 자신들의 억울함을 하소연하고 결국 화해를 하게 된다. 그러나 천연두가 치료는 되어도 그 후에 흉한 상처를 남기듯이, 두 손님의 충돌로 인한 당사자들이 화해는 했어도 그 씻을 수 없는 상흔은 우리의 역사에 남는다는 것이 황석영씨의 인식이다.
나는 이 작품을 통해, 그리고 신천양민학살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통해 이성이 없는 맹목적 이념이나 종교, 사상 등의 이데올로기의 파괴성에 대해서 다시금 생각해보게 되었다. 소메삼촌이 “야소교(기독교)나 사회주의를 신학문이라고 받아 배운지 한 세대도 못되어 서로가 열심당만 되었지. 예전부터 살아오던 사람들의 일을 잊어버리고 만 것이다.” 라고 한 것처럼 맹목적이고 이성이 존재치 않은 여타의 이데올로기에 의한 지배는 주객이 전도되는, 즉 손님인 외세의 이데올로기가 주인인 우리의 전통은 물론이거니와 민족까지도 분열시킬 수 있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