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장의 구조
2. 신장의 기능
3. 요형성 기전.
4. 요농축과 소변량의 조절
7. 요로(Urinary Tract)
8. 배뇨 기전
2. 신장의 기능
3. 요형성 기전.
4. 요농축과 소변량의 조절
7. 요로(Urinary Tract)
8. 배뇨 기전
본문내용
완전히 배설.
②요소나 요산과 같이 수동적으로 재흡수된 성분들을 다시 배설.
③과잉의 K+배설
④혈액의 pH조절
4. 요농축과 소변량의 조절
1) 역류기전과 수질의 삼투질 경사도
①헨레씨 고리의 하행각은 용질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투과도가 낮고 수분에 대해서는 투 과도가 높음.
②헨레씨 고리의 상행각은 수분에 대한 투과도가 없으며, NaCl을 주위 조직으로 능동적인 기전을 통해 재흡수.
③내측 수질의 집합관은 요소에 대해 투과도가 있음.
2) 소변의 희석과 농축
-수분 섭취가 많아져 혈액의 삼투질 농도가 감소: 시상하부에 위치하는 삼투수용체가 이를 감지하여 그 정보를 시상하부의 시삭상핵과 뇌하수체 후부로 보내 항이뇨 호르몬의 생성 과 분비 억제.
=>혈액내 항이뇨 호르몬의 농도가 감소-집합관의 수분에 대한 투과도가 그대로 낮게 유지.
-소변은 희석된 채로 배설.
-수분섭취가 감소, 염분섭취가 증가, 혈장의 삼투질 농도가 증가: 시상하부에 위치하는 삼 투 수용체가 이를 감지하여 그 정보를 시상하부의 시삭상핵과 뇌하수체 후부에 보내 항이 뇨 호르몬의 생성과 분비를 촉진. ->혈액내 항이뇨 호르몬의 농도가 증가되면 집합관의 수분에 대한 투과도가 증가. 여과액에서 수질과 평형을 이룰 때까지 수분 재흡수.
7. 요로(Urinary Tract)
1) 요관(Ureter)
-소변을 신장에서 방광으로 이동시키는 일.
-각 요관은 신우과 연결. 제2요추 부위에서 시작, 후복막강을 통해 내측으로 비스듬히 달려 방광후벽에 개구.
-요관에 소변이 유입, 요관이 신전-> 요관벽을 자극, 연동운동을 유발.
2) 방광(Bladder)
-인체내 가장 가소성이 높은 장기.
-방광첨 , 방광체, 방광저 및 방광경의 네 부분으로 구분.
-방광벽: 점막, 근육층, 장막
*점막-이행상피와 두꺼운 소성 결합조직. 방광내 소변이 축적되었을 때 쉽게 신전할 수 있는 성질 지님.
-방광이 비어 있을 때: 이소성 결합조직이 주름을 형성, 방광에 용적이 증가함에 따 라 그 주름이 소실.
*방광 근육층-평활근. 내측과 외측의 종주근과 가운데 층의 환상근이 마치 야구공을 감 싸고 있는 실타래와 같이 구성.
-신축성이 높아 소변을 낮은 압력하에서 저장할 수 있음.
*방광 장막: 상층은 벽측 복막으로 구성, 나머지는 섬유막.
-방광이완: 교감신경이 흥분되어서 방광벽의 β수용체가 활성화.
-방광수축: 부교감 신경이 흥분. 방광벽의 크리너직수용체가 활성화.
3) 요도 (Urethra)
(1) 남성 요도
-남성요도는 길이가 약 20cm 로 전립선 부분, 격막 부분 및 해면체 부분으로 구분
(2) 여성 요도
-길이 3~4cm의 곧은 관으로 방광삼각에서 시작하여 회음부에서 외요도구로 끝나게 됨.
8. 배뇨 기전
-뇨 배설 조절기관: 뇌
-배뇨행위는 척추의 배뇨반사기관에 의해 자극받음.
-뇌가 척추의 배뇨반사기전에 참여할 때 배뇨는 자발적이며, 척추만 배뇨반사기전에 참여할 때는 비자발적임.
-무의식 환자의 요실금 증상은 뇌와 척추의 반사기관 사이의 전달이 불가능하기 때문.
②요소나 요산과 같이 수동적으로 재흡수된 성분들을 다시 배설.
③과잉의 K+배설
④혈액의 pH조절
4. 요농축과 소변량의 조절
1) 역류기전과 수질의 삼투질 경사도
①헨레씨 고리의 하행각은 용질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투과도가 낮고 수분에 대해서는 투 과도가 높음.
②헨레씨 고리의 상행각은 수분에 대한 투과도가 없으며, NaCl을 주위 조직으로 능동적인 기전을 통해 재흡수.
③내측 수질의 집합관은 요소에 대해 투과도가 있음.
2) 소변의 희석과 농축
-수분 섭취가 많아져 혈액의 삼투질 농도가 감소: 시상하부에 위치하는 삼투수용체가 이를 감지하여 그 정보를 시상하부의 시삭상핵과 뇌하수체 후부로 보내 항이뇨 호르몬의 생성 과 분비 억제.
=>혈액내 항이뇨 호르몬의 농도가 감소-집합관의 수분에 대한 투과도가 그대로 낮게 유지.
-소변은 희석된 채로 배설.
-수분섭취가 감소, 염분섭취가 증가, 혈장의 삼투질 농도가 증가: 시상하부에 위치하는 삼 투 수용체가 이를 감지하여 그 정보를 시상하부의 시삭상핵과 뇌하수체 후부에 보내 항이 뇨 호르몬의 생성과 분비를 촉진. ->혈액내 항이뇨 호르몬의 농도가 증가되면 집합관의 수분에 대한 투과도가 증가. 여과액에서 수질과 평형을 이룰 때까지 수분 재흡수.
7. 요로(Urinary Tract)
1) 요관(Ureter)
-소변을 신장에서 방광으로 이동시키는 일.
-각 요관은 신우과 연결. 제2요추 부위에서 시작, 후복막강을 통해 내측으로 비스듬히 달려 방광후벽에 개구.
-요관에 소변이 유입, 요관이 신전-> 요관벽을 자극, 연동운동을 유발.
2) 방광(Bladder)
-인체내 가장 가소성이 높은 장기.
-방광첨 , 방광체, 방광저 및 방광경의 네 부분으로 구분.
-방광벽: 점막, 근육층, 장막
*점막-이행상피와 두꺼운 소성 결합조직. 방광내 소변이 축적되었을 때 쉽게 신전할 수 있는 성질 지님.
-방광이 비어 있을 때: 이소성 결합조직이 주름을 형성, 방광에 용적이 증가함에 따 라 그 주름이 소실.
*방광 근육층-평활근. 내측과 외측의 종주근과 가운데 층의 환상근이 마치 야구공을 감 싸고 있는 실타래와 같이 구성.
-신축성이 높아 소변을 낮은 압력하에서 저장할 수 있음.
*방광 장막: 상층은 벽측 복막으로 구성, 나머지는 섬유막.
-방광이완: 교감신경이 흥분되어서 방광벽의 β수용체가 활성화.
-방광수축: 부교감 신경이 흥분. 방광벽의 크리너직수용체가 활성화.
3) 요도 (Urethra)
(1) 남성 요도
-남성요도는 길이가 약 20cm 로 전립선 부분, 격막 부분 및 해면체 부분으로 구분
(2) 여성 요도
-길이 3~4cm의 곧은 관으로 방광삼각에서 시작하여 회음부에서 외요도구로 끝나게 됨.
8. 배뇨 기전
-뇨 배설 조절기관: 뇌
-배뇨행위는 척추의 배뇨반사기관에 의해 자극받음.
-뇌가 척추의 배뇨반사기전에 참여할 때 배뇨는 자발적이며, 척추만 배뇨반사기전에 참여할 때는 비자발적임.
-무의식 환자의 요실금 증상은 뇌와 척추의 반사기관 사이의 전달이 불가능하기 때문.
추천자료
인체대사보고서
옥신(auxin)에 대하여
운동과 지방대사
신체구성
수혈의 부작용과 간호
심장과 순환계의 질병및 치료
[식물][생장호르몬][광합성][호흡][증산][물질수송][흡수][식물발달][식물재배]식물의 생장호...
해부생리 요점정리
[근육][고관절부][안면부][소근육운동]근육의 정의와 기능, 근육의 종류, 고관절부의 근육, ...
[뼈][골격][뼈의 성장][골격의 성장][뼈의 재생성][골격의 재생성][뼈대]뼈(골격)의 개념과 ...
(생활과건강)35세 여대생 박씨를 위해 비만관리 교육자료(1. 체질량지수(BMI)를 이용하여 박...
남성과 여성의 성 호르몬
[간호학] 내분비계 (Endocrine system)
[간호학] 순환기계 (Circulatory syste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