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목차
Ⅰ.개요
1. bodybuilding의 역사
2. 장비
3. 보디빌딩 경기규칙
4. 트레이닝의 원리
5. 운동방법
Ⅱ.지도안
1.수업의 배경 및 목적
2. 단원의 성격(교육적 특성)
3. 지도의 기초
4, 학습 목표
5. 단원의 지도 계획
6. 지도상의 유의점
7. 학습지도 세부시간 계획
8. 주차별 세부 계획
9. 본시 수업의 전개
10.평가
Ⅲ. 참고문헌
1. bodybuilding의 역사
2. 장비
3. 보디빌딩 경기규칙
4. 트레이닝의 원리
5. 운동방법
Ⅱ.지도안
1.수업의 배경 및 목적
2. 단원의 성격(교육적 특성)
3. 지도의 기초
4, 학습 목표
5. 단원의 지도 계획
6. 지도상의 유의점
7. 학습지도 세부시간 계획
8. 주차별 세부 계획
9. 본시 수업의 전개
10.평가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
-chin-up, 풀업,
덤벨 로우, 바벨
벤트 오버
-정확한 의사전달
-정확한 동작전달
-정확한 호흡법
-동작보조
-스트레칭 습득
-등 운동의 올바른 자세 와 유의점을 설명 및
시범
-등 운동시 좋아지는
부분이나 장점을 설명 한다.
-올바른 호흡을 설명함
-동작의 정확성을 요구
-스트레칭법을 설명함
-강사의 설명과 시범을
잘보고, 따라한다.
-서두르지 말아야한다.
-정확한 호흡을 한다.
-집중되는 부위에 느낌
을 가져야 한다.
-확실한 스트레칭과 세
트와 세트사이에 1분
정도의 휴식을 갖는다
-빠르게 해선 안 된 다. 천천히 정확
하게 한다.
-중량이 알맞게 선
택되어야 한다.
-세트와 세트 사이
에 부위에 따른
스트레칭을 한다.
-허리에 무리를
주어서는 않된다.
-안전사고에 유의
60분
정리
-환자파악
-정리운동
-형성평가
-차시예고
-정리운동
-어깨운동의 예시
-정확한 자세 인식
-정리운동(유산소15분)
-반복학습을 통해 적응
-차시 인식
-스트레칭
-학습목표 달성 여부 파악
-만족도 파악
15분
▶15주차
대단원
보디빌딩
15주차(16주)
소단원
프리웨이트를 통한 승모 운동
1시간30분(90분)
학습목표
프리웨이트를 통해 승모근을 단련한다.
준비물
운동복, 덤벨, 바벨, cycle, 런닝머신, 스텝퍼
단계
지 도 내 용
활 동 내 용
지도상의 유의점
시간
(분)
강 사
강 습 생
도입
-인원점검
-환자확인
-준비운동
-선수학습제시
-강습생들의 이상 유무를
체크한다.
-안전 점검을 한다.
-어깨운동의 재교육
-상해방지를 위한
warm-up 실시한다.
-확실히 몸을 푼다.
-환자 견학조치
-복장확인
-준비운동
15분
전
개
-학습목표 제시
-덤벨 슈럭, 업라
잇 로우, 바벨슈럭
-정확한 의사전달
-정확한 동작전달
-정확한 호흡법
-강습생 보조
-승모운동의 올바른 자
세와 유의점을 설명 및
시범
-승모운동시 좋아지는
부분이나 장점을 설명 한다.
-올바른 호흡을 설명한
다.
-정확한 의사전달과 동작전달을 한다.
-강사의 설명과 시범을
잘보고, 따라한다.
-서두르지 말아야한다.
-정확한 호흡을 한다.
-집중되는 부위에 느낌
을 가져야 한다.
-강사의 동작과 흡사하
게 동작한다.
-잘 발달되지 않는
부위이기 때문에
장기간에 확실한 자세를 요구한다.
-중량이 알맞게 선
택되어야 한다.
-세트와 세트 사이
에 부위에 따른
스트레칭을 한다.
-안전사고에 유의
60분
정리
-환자파악
-정리운동
-형성평가
-차시예고
-정리운동
-이두근운동의 예시
-좋아지고 있다는 칭찬
과 격려
-유산소15분 이상
-반복학습 중요성인식
-차시 인식
-스트레칭
-학습목표 달성 여부 파악
-만족도 파악
15분
▶16주차
대단원
보디빌딩
16주차(16주)
소단원
종합 평가
1시간30분(90분)
학습목표
향상의 정도, 몸의 균형, 체지방의 감소여부.
준비물
운동복, 부위별 머신기구, 프리웨이트
단계
지 도 내 용
활 동 내 용
지도상의 유의점
시간
(분)
강 사
강 습 생
도입
-인원점검
-환자확인
-준비운동
-선수학습제시
-강습생들의 이상 유무를
체크한다.
-안전 점검을 한다.
-하체운동의 재교육
-상해방지를 위한
warm-up 실시한다.
-유산소10~15분
-스트레칭
-환자 견학조치
-준비운동
15분
전
개
-학습목표 제시
-인바디 검사
-최대근력 측정
-어깨→가슴→복부→등
→이두근→삼두근→하 체 순서대로 측정
-관찰 및 기록
-기구들의 명칭 숙지상 태 여부조사
-최고로 자신있는 부위
의 운동법 요구한다.
-최선을 다해서 실시
한다.
-최대근력을 보여준다.
-자신있게 보여준다.
-자신있게 설명한다.
-옆에서 거들어선
안 된다.
스스로하게 한다.
-안전사고에 유의
-화이팅을 외치지
않는다.
60분
정리
-환자파악
-정리운동
-형성평가
-정리운동
-과제 제시
-꾸준히 반복을 강조
-성원의 감사의 말
-정리운동
-교육에 대한 감사
-성취감을 얻음
-학습목표 달성 여부 파악
-만족도 파악
-감사의 말
15분
10. 평 가
대상자의 운동 시작 전에 조사한 신체적 조건과 운동후의 신체의 변화에 대해 비교하여 본다.
그동안의 운동으로 인하여 신체 사이즈의 변화와 함께 근력, 근지구력의 향상 여부와 처음 마음먹었던 목표 얼마만큼 도달하였는지를 전반적으로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처음 지도자가 삼았던 운동기구 사용법 및 사용 요령 등 얼마나 알고 있는지 평가표를 만들어 얼마나 전보다 늘었는지를 기록 및 본인의 의견도 수렴을 중점을 두어 피드백을 적용하여 평가를 한다.
◈ 부위별 트레이닝 평가표 ◈ 구분
등급
내용
매우잘함
(50)
잘함
(25)
보통
(15)
노력
(10)
가
슴
벤치 프레스
인클라인 벤치프레스
덤벨 플라이
등
렛 머신 풀 다운
벤트 오버 바벨 로잉
어
깨
비하인드 넥 프레스
사이드 레터럴 레이즈
상
완
삼
두
근
덤벨 킥백
프레스 다운
라인 트라이셉스 익스텐션
상
완
이
두
근
바벨 컬
덤벨 컬
컨센트레이션 컬
복
부
크런치
싯-업
총 점
◎ 피드백
80점 이상
합격으로써 다음 단계 운동을 가르친다.
60점 이상
본인의 의견을 수렴을 하여 잘못하는 하거나 다음 단계 운동을 한다.
50점 미만
좀더 자세히 관심있게 지도를 한다.
회원들의 평가 일지를 항상 기록 및 보관을 한다.
회원들의 성적에 따라 우수한(80점 이상) 사람은 중급 단계로 올라간다.
성적이 저조한(50점 미만) 회원은 안 되는 운동 및 동작을 연습을 시켜서 운동에 자신감을 갖도록 만들어 준다.
항상 언제나 할 수 있는 운동이라는 장점을 이용하여 웨이트 운동이 쉽고 즐겁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Ⅲ. 참고문헌
1. 대한운동사회(2003). 운동검사 및 처방. 한미의학
2. 윤성원 외 12인(2002). 근력 트레이닝과 컨디셔닝. 대한미디어
3. 장경태 외 5인(2002). 체력평가와 운동처방. 한미의학
4. Bill Phillips & Michael D'Orso(2001). Body for LIFE.
한국언론자료간행회
5. http://www.movsvr.sportal.or.kr/leader/bodybuilding/body01.htm
6. http://www.pe2000.pe.kr/
-chin-up, 풀업,
덤벨 로우, 바벨
벤트 오버
-정확한 의사전달
-정확한 동작전달
-정확한 호흡법
-동작보조
-스트레칭 습득
-등 운동의 올바른 자세 와 유의점을 설명 및
시범
-등 운동시 좋아지는
부분이나 장점을 설명 한다.
-올바른 호흡을 설명함
-동작의 정확성을 요구
-스트레칭법을 설명함
-강사의 설명과 시범을
잘보고, 따라한다.
-서두르지 말아야한다.
-정확한 호흡을 한다.
-집중되는 부위에 느낌
을 가져야 한다.
-확실한 스트레칭과 세
트와 세트사이에 1분
정도의 휴식을 갖는다
-빠르게 해선 안 된 다. 천천히 정확
하게 한다.
-중량이 알맞게 선
택되어야 한다.
-세트와 세트 사이
에 부위에 따른
스트레칭을 한다.
-허리에 무리를
주어서는 않된다.
-안전사고에 유의
60분
정리
-환자파악
-정리운동
-형성평가
-차시예고
-정리운동
-어깨운동의 예시
-정확한 자세 인식
-정리운동(유산소15분)
-반복학습을 통해 적응
-차시 인식
-스트레칭
-학습목표 달성 여부 파악
-만족도 파악
15분
▶15주차
대단원
보디빌딩
15주차(16주)
소단원
프리웨이트를 통한 승모 운동
1시간30분(90분)
학습목표
프리웨이트를 통해 승모근을 단련한다.
준비물
운동복, 덤벨, 바벨, cycle, 런닝머신, 스텝퍼
단계
지 도 내 용
활 동 내 용
지도상의 유의점
시간
(분)
강 사
강 습 생
도입
-인원점검
-환자확인
-준비운동
-선수학습제시
-강습생들의 이상 유무를
체크한다.
-안전 점검을 한다.
-어깨운동의 재교육
-상해방지를 위한
warm-up 실시한다.
-확실히 몸을 푼다.
-환자 견학조치
-복장확인
-준비운동
15분
전
개
-학습목표 제시
-덤벨 슈럭, 업라
잇 로우, 바벨슈럭
-정확한 의사전달
-정확한 동작전달
-정확한 호흡법
-강습생 보조
-승모운동의 올바른 자
세와 유의점을 설명 및
시범
-승모운동시 좋아지는
부분이나 장점을 설명 한다.
-올바른 호흡을 설명한
다.
-정확한 의사전달과 동작전달을 한다.
-강사의 설명과 시범을
잘보고, 따라한다.
-서두르지 말아야한다.
-정확한 호흡을 한다.
-집중되는 부위에 느낌
을 가져야 한다.
-강사의 동작과 흡사하
게 동작한다.
-잘 발달되지 않는
부위이기 때문에
장기간에 확실한 자세를 요구한다.
-중량이 알맞게 선
택되어야 한다.
-세트와 세트 사이
에 부위에 따른
스트레칭을 한다.
-안전사고에 유의
60분
정리
-환자파악
-정리운동
-형성평가
-차시예고
-정리운동
-이두근운동의 예시
-좋아지고 있다는 칭찬
과 격려
-유산소15분 이상
-반복학습 중요성인식
-차시 인식
-스트레칭
-학습목표 달성 여부 파악
-만족도 파악
15분
▶16주차
대단원
보디빌딩
16주차(16주)
소단원
종합 평가
1시간30분(90분)
학습목표
향상의 정도, 몸의 균형, 체지방의 감소여부.
준비물
운동복, 부위별 머신기구, 프리웨이트
단계
지 도 내 용
활 동 내 용
지도상의 유의점
시간
(분)
강 사
강 습 생
도입
-인원점검
-환자확인
-준비운동
-선수학습제시
-강습생들의 이상 유무를
체크한다.
-안전 점검을 한다.
-하체운동의 재교육
-상해방지를 위한
warm-up 실시한다.
-유산소10~15분
-스트레칭
-환자 견학조치
-준비운동
15분
전
개
-학습목표 제시
-인바디 검사
-최대근력 측정
-어깨→가슴→복부→등
→이두근→삼두근→하 체 순서대로 측정
-관찰 및 기록
-기구들의 명칭 숙지상 태 여부조사
-최고로 자신있는 부위
의 운동법 요구한다.
-최선을 다해서 실시
한다.
-최대근력을 보여준다.
-자신있게 보여준다.
-자신있게 설명한다.
-옆에서 거들어선
안 된다.
스스로하게 한다.
-안전사고에 유의
-화이팅을 외치지
않는다.
60분
정리
-환자파악
-정리운동
-형성평가
-정리운동
-과제 제시
-꾸준히 반복을 강조
-성원의 감사의 말
-정리운동
-교육에 대한 감사
-성취감을 얻음
-학습목표 달성 여부 파악
-만족도 파악
-감사의 말
15분
10. 평 가
대상자의 운동 시작 전에 조사한 신체적 조건과 운동후의 신체의 변화에 대해 비교하여 본다.
그동안의 운동으로 인하여 신체 사이즈의 변화와 함께 근력, 근지구력의 향상 여부와 처음 마음먹었던 목표 얼마만큼 도달하였는지를 전반적으로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처음 지도자가 삼았던 운동기구 사용법 및 사용 요령 등 얼마나 알고 있는지 평가표를 만들어 얼마나 전보다 늘었는지를 기록 및 본인의 의견도 수렴을 중점을 두어 피드백을 적용하여 평가를 한다.
◈ 부위별 트레이닝 평가표 ◈ 구분
등급
내용
매우잘함
(50)
잘함
(25)
보통
(15)
노력
(10)
가
슴
벤치 프레스
인클라인 벤치프레스
덤벨 플라이
등
렛 머신 풀 다운
벤트 오버 바벨 로잉
어
깨
비하인드 넥 프레스
사이드 레터럴 레이즈
상
완
삼
두
근
덤벨 킥백
프레스 다운
라인 트라이셉스 익스텐션
상
완
이
두
근
바벨 컬
덤벨 컬
컨센트레이션 컬
복
부
크런치
싯-업
총 점
◎ 피드백
80점 이상
합격으로써 다음 단계 운동을 가르친다.
60점 이상
본인의 의견을 수렴을 하여 잘못하는 하거나 다음 단계 운동을 한다.
50점 미만
좀더 자세히 관심있게 지도를 한다.
회원들의 평가 일지를 항상 기록 및 보관을 한다.
회원들의 성적에 따라 우수한(80점 이상) 사람은 중급 단계로 올라간다.
성적이 저조한(50점 미만) 회원은 안 되는 운동 및 동작을 연습을 시켜서 운동에 자신감을 갖도록 만들어 준다.
항상 언제나 할 수 있는 운동이라는 장점을 이용하여 웨이트 운동이 쉽고 즐겁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Ⅲ. 참고문헌
1. 대한운동사회(2003). 운동검사 및 처방. 한미의학
2. 윤성원 외 12인(2002). 근력 트레이닝과 컨디셔닝. 대한미디어
3. 장경태 외 5인(2002). 체력평가와 운동처방. 한미의학
4. Bill Phillips & Michael D'Orso(2001). Body for LIFE.
한국언론자료간행회
5. http://www.movsvr.sportal.or.kr/leader/bodybuilding/body01.htm
6. http://www.pe2000.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