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효의 광대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재효의 광대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신재효 (申在孝: 1812~1884)
2. 신재효와 판소리사
3. 광대가 내용 살펴보기

Ⅲ. 결론

본문내용

Ⅲ. 결론
지금까지 판소리사에 있어서의 신재효와 광대 판소리 공연에 대한 미학적 이론을 제시한 <광대가>를 살펴보았다.
위에 언급했듯이 신재효는 판소리에 많은 관심과 후원을 아끼지 않았다. 때문에 <광대가>룰 지어 판소리 광대의 이론을 체계화 하고자 했고, 판소리 사설 여섯 마당을 정리해서 표준을 삼으려 했다. 이것은 신재효가 판소리에 얼마나 많은 애착을 갖고 있었는지 알 수 있게 해준다.
특히, 광대가에서는 광대의 사대법례를 강조하고 있어 광대를 쉽게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일침을 가하며 광대에게 자부심을 가질 수 있게 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는 판소리가 발전하려면 광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신재효는 이미 알고 있었던 것이 아닐까 한다.
* 참고문헌
박진태,『동양고전극의 미학과 이론』, 박이정, 2005
우리마당 터,『민속학술자료총서. 213: 광대 (1)』, 우리마당 터, 2002
우리마당 터,『민속학술자료총서. 221: 판소리: 어문 (8)』, 우리마당 터, 2002
이혜구,『音樂·演藝의 名人8人 : 洪蘭坡·羅雲奎·李東伯 外』, 新丘文化社, 1975
황패강, 『한국문학작가론. 3: 조선시대의 작가, 2』, 집문당, 2000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1.13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28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